본문 바로가기

한국의석탑/충청남도379

[충남]부여 한국전통문화학교삼층석탑 충남 부여 한국문화전통학교내 삼층석탑 2012.02.26 촬영 문현준 2012. 3. 5.
[충남]부여 한국전통문화학교오층석탑 충남 부여 한국전통문화학교내 오층석탑 2012.02.26 촬영 문현준 2012. 3. 5.
[충남]부여 조왕사석탑 부여군 향토유적 제18호 조왕사석탑 2012.02.26 촬영 문현준 2012. 3. 5.
[충남]공주 박물관석탑들 공주박물관석탑 공주반죽동석탑 공주봉황동석탑 공주박물관 야외전시장 석탑들.. 2012.02.26 촬영 문현준 2012. 3. 5.
[충남]아산 세심사다층탑 종 목 :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231호 명 칭 : 세심사다층탑 (洗心寺多層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 량 : 1기 지정일 : 1984.05.17 소재지 : 충남 아산시 염치면 산양리 시 대 : 신라 소유자 : 세심사 관리자 : 세심사 문 의 : 충청남도 아산시 문화예술과 041-540-2069 고려시대에 창건된 세심사는 원래 ‘신심사’였다가 최근에 세심사라 그 이름이 바뀌었다. 절안에 자리하고 있는 이 탑은 3층 기단(基壇) 위로 9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형태로, 기단은 화강암으로 만들었고 탑신부는 벼루를 만드는 돌인 점판암으로 제작하였다. 3층을 이루는 기단은 모서리마다 기둥 모양의 조각을 두었으며 곳곳에 연꽃무늬를 새겨놓았다. 탑신부는 1층 몸돌만 4단의 널돌로 만들었고.. 2012. 2. 29.
[충남]부여 장하리삼층석탑 종 목 : 보물 제184호 명 칭 : 부여 장하리 삼층석탑 (扶餘 長蝦里 三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 량 : 면적 1기 지정일 : 1963.01.21 소재지 : 충남 부여군 장암면 장하리 536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국유 관리자 : 부여군 백제의 옛 땅이었던 충청·전라도에는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국보 제9호)의 양식을 모방한 백제계 석탑이 몇 개 전하고 있는데 이 탑 역시 그런 계열에 속하는 탑이다. 땅 위에 자연석에 가까운 바닥돌을 깔고 그 위에 같은 돌로 너비를 좁히면서 3단의 기단(基壇)을 만들었다. 탑신(塔身)은 네 귀퉁이에 위로 오를수록 좁아지는 형태의 기둥 모양을 새겼고, 그 사이에 긴 판돌을 세워 면을 이루게 하였다. 동서남북 사면에 감실모양이 있는.. 2012. 2. 28.
[충남]공주 천태산 동혈사지삼층석탑 충남 공주시 의당면 월곡리 동혈사에 있는 석탑으로 자세한 설명은 디지털공주문화대전에 자세한 설명이 되었있음 자료보러가기 : 디지털공주문화대전 2012.02.18 촬영 문현준 2012. 2. 28.
[충남]부여 성흥산 대조사석탑 종 목 :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90호 명 칭 : 대조사석탑 (大鳥寺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 량 : 1기 지정일 : 1984.05.17 소재지 : 충남 부여군 임천면 구교리 126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대조사 관리자 : 대조사 문 의 : 충청남도 부여군 문화관광과 041-830-2241 대조사 원통보전 앞에 서 있는 탑으로, 일부만 남아있던 것을 1975년에 다른 일부를 찾아 다시 세운 것이다. 탑은 전체의 무게를 지탱해 주는 기단(基壇)을 2층으로 마련하고, 그 위로 3층의 탑신(塔身)을 올려놓은 모습인데, 탑신의 2·3층 몸돌과 꼭대기의 머리장식은 새로 만들어 놓은 것이다. 기단은 각 층마다 면의 모서리와 가운데에 기둥 모양을 본 뜬 조각을 두었다. 탑신의 지.. 2012. 2. 28.
[충남]논산 관촉사오층석탑 충청남도 논산시 관촉동 관촉사에 있는 고려시대 석탑으로 관촉사 석탑은 관촉사 내 관촉사 석등(보물 제232호)과 관촉사 배례석(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53호)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자세한 자료는 디지탈논산문화대전 으로 .. 그리 멀지 않은곳이면서두 여기 들러본지가 벌써 꽤 오래 된듯.. 날씨는 춥고 늦게 도착하였더니 사람도 없고 조용한데 .. 빛이없다. 언제 시간이 된다면 오전에 다시들러봐야 할듯.. 상기의 자료는 디지털논산문화대전에서 발췌 비영리 목적은 사용이 가능하다고 하여 가져옴. 논산 관촉사석탑 2012.02.15 촬영 문현준 2012. 2.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