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법당/강원도

강원 평창 오대산 적멸보궁

sajin365 2025. 8. 1. 09:57
728x90


보물 
평창 오대산 중대 적멸보궁 (平昌 五臺山 中臺 寂滅寶宮)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불전
수량/면적 : 일곽
지정일 : 2018.07.04
소재지 : 강원도 평창군 오대산로 1211-92 (진부면, 월정사 적멸보궁)
시   대 : 조선시대

평창 오대산 중대 적멸보궁은 유례를 찾아 볼 수 없는 독특한 구조인 내·외부 이중구조의 불전 건축물이다. 내부와 외부 건물 모두 동일하게 정면 3칸, 측면 2칸으로 외부는 익공식, 내부는 다포식 건축양식이다. 외부 건물은 조선 후기(19세기)의 보편적인 이익공양식 구조를 보이지만, 내부 건물은 기둥의 편수깍기, 창방뺄목의 형태, 살미와 첨차의 공안, 모각소로의 표현, 앙서 상면의 곡선처리 등 부재의 치목수법과 구성형식이 조선 초·중기의 건축물인 심원사 보광전(북한 소재, 1374년), 국보 안동 봉정사 대웅전(1435년 중창), 국보 서울 숭례문(1448년 중수) 등과 유사한 고식기법을 가지고 있어 건축·양식사적으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개별안내판

월정사 적멸보궁 月精寺 寂滅保躬  대한민국 보물 

 적멸보궁은 석가모니의 진신사리를 봉안 한 사찰의 법당을 일컫는다. 태백산 정암사와 설악산 봉정암, 사자산 법흥사 오대산 월정사의 적멸보궁 등 강원도의 네 곳과 경남 양산 영취산 통도사의 적멸보궁을 합하여 5대 적멸보궁이라 한다. 월정사 적멸보궁은 신라 선덕여왕 때 자장율사가 당나라에서 돌아오면서 석가의 진신사리를 가져와 오대산에 봉안하고 이 보궁을 창건하였다.
 현재의 건물은 낮은 한 단의 기단 위에 정면 3칸, 측면 2칸 의 규모로, 단층인 팔작지붕의 겹처마 집이다. 건물 전면의 중앙에만 두 짝의 판문을 달고, 좌우측에는 중방을 설치하고 협간 아래는 판벽을 하고, 그 위에 띠살창을 한 점이 특이하다.
 이 건물은 그간 조선시대 후기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어 왔으나, 최근 건물 내부의 구조에서 15세기 후반 양식의 다포와 고식 단청, 배흘림기둥 등의 특징이 조사되어 조선 전기에 조성된 것으로 보고 있다. 그리고 적멸보궁은 보통의 법당과 달리 곁칸과 속칸이 벽으로 구분된 겹집의 형태라는 사실이 보고되어 있다.

자료 :  국가유산포털


한국의법당 
강원 평창 오대산 적멸보궁
2025.05.03


문현준의사진속으로


천안 아산 세무사  세무회계 열린  세무사 문정호

 

열정적인 세무 파트너, '세무회계 열린' : 네이버 블로그

'모험가', '경영가', '시인' '세무회계 열린'의 문정호 세무사입니다. 언제나 열정적이고 맑은 자세로 대표님의 세무 문제를 따뜻하게 생각하고 냉철하게 분석해드립니다. 놓치고 있는 절세 방법

blog.naver.com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