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괴산문화유산10

충북 괴산 원풍리 마애이불병좌상 보물 괴산 원풍리 마애이불병좌상 (槐山 院豊里 磨崖二佛並坐像) 분   류 : 유물 / 불교조각 / 석조 / 불상 수량/면적 : 2구 지정일 : 1963.01.21 소재지 : 충북 괴산군 연풍면 원풍리 산124-2번지 시   대 : 고려시대 높이가 12m나 되는 큰 암석을 우묵하게 파고, 두 불상을 나란히 배치한 마애불로서 우리나라에서는 드문 예이다. 둥근 얼굴에 가늘고 긴 눈, 넓적한 입 등 얼굴 전반에 미소가 번지고 있어 완강하면서도 한결 자비로운 느낌을 준다. 반듯한 어깨, 평평한 가슴 등 신체의 표현은 몸의 굴곡이 거의 드러나지 않고 형식화되었다. 옷은 양 어깨를 감싸고 있으며 옷주름은 무딘 선으로 형식적으로 표현하였다. 몸에서 나오는 빛을 상징하는 광배(光背)에는 작은 부처가 새겨져 있으나, 세부.. 2024. 11. 25.
충북 괴산 보안사삼층석탑 보물 괴산 보안사 삼층석탑 (槐山 寶安寺 三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2000.08.04 소재지 : 충북 괴산군 청안면 효근1길 23 (효근리) 시   대 : 고려 중기 보안사의 북쪽 담장 옆에 자리하고 있는 석탑으로, 1단의 기단(基檀)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이다. 기단은 네 모서리에 기둥 모양을 본떠 새기고, 탑신의 1층 몸돌 남쪽 면에는 감실(龕室:불상을 모셔두는 방)을 본떠 간략히 조각해 두었다. 충북지역에서 발견된 석탑 가운데에는 이처럼 탑신에 감실을 새긴 예가 드물어 특이한 양식이라 할 수 있다. 석탑의 각 부분이 훼손되지 않은 비교적 완전한 모습으로, 탑신부가 균형을 보이고 있어 안정감을 준다. 지붕돌 밑면의 받침.. 2024. 11. 24.
충북 괴산 봉학사지 오층석탑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29호 괴산 봉학사지 오층석탑 (槐山 鳳鶴寺址 五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등록)일 : 1976.12.21 소재지 : 충북 괴산군 사리면 사담리 산1번지 이 석탑은 기단(基壇)이 제대로 갖추어지지 않은 채, 평평한 돌 위로 5층의 탑신(塔身)이 올려져 있다. 탑신의 1층 몸돌은 2개의 돌로 이루어졌고, 나머지 몸돌과 지붕돌은 각각 하나의 돌로 만들어졌다. 1층 몸돌은 큰편이고, 2층 몸돌에서 급격히 낮아지다가 5층까지는 비슷한 크기를 유지한다. 각 층 지붕돌은 두꺼운 편이며, 밑면에는 5단씩의 받침을 두었다. 전체적으로 비례가 좋지 않고, 지붕돌이 두꺼워진 점 등으로 보아 고려시대 작품으로 짐작된다. 일제시대에 쓰러졌던 것을 .. 2021. 5. 23.
충북 괴산 보안사삼층석탑 보물 제1299호 괴산 보안사 삼층석탑 (槐山 寶安寺 三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등록)일 : 2000.08.04 소재지 : 충북 괴산군 청안면 효근1길 23 (효근리) 시 대 : 고려 중기 보안사의 북쪽 담장 옆에 자리하고 있는 석탑으로, 1단의 기단(基檀)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이다. 기단은 네 모서리에 기둥 모양을 본떠 새기고, 탑신의 1층 몸돌 남쪽 면에는 감실(龕室:불상을 모셔두는 방)을 본떠 간략히 조각해 두었다. 충북지역에서 발견된 석탑 가운데에는 이처럼 탑신에 감실을 새긴 예가 드물어 특이한 양식이라 할 수 있다. 석탑의 각 부분이 훼손되지 않은 비교적 완전한 모습으로, 탑신부가 균형을 보이고 있어 안정감을 준다. 지붕돌.. 2021. 5. 22.
충북 괴산 삼방리 삼층석탑 종 목 :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182호 명 칭 : 괴산삼방리삼층석탑 (槐山三訪里三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 량 : 1기 지정일 : 1995.06.30 소재지 : 충북 괴산군 불정면 삼방리 61 자 료 : 국가문화유산포털 1층 기단(基壇) 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의 석탑이다. 기단과 탑신부의 각 층 몸돌에는 기둥모양을 새겼고, 특히 탑신의 1층 몸돌 네 면에는 약사여래, 아미타여래, 대일여래, 석가여래상 등의 불상을 조각하였다. 지붕돌은 밑면에 4단의 받침을 두었고, 윗면의 경사가 비교적 급하다.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182호 괴산삼방리삼층석탑 2021.04.17 괴산 삼방리 삼층석탑 이전글보기 2012.09.15 - [한국의석탑/충청북도] - [충북]괴산 삼.. 2021. 5. 21.
[충북]괴산 삼방리마애여래좌상 종 목 :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128호 명 칭 : 괴산삼방리마애여래좌상 (槐山三訪里磨崖如來坐像) 분 류 : 유물 / 불교조각/ 석조/ 불상 수 량 :1구 지정일 : 1982.12.17 소재지 : 충북 괴산군 불정면 삼방리 산55 시 대 : 소유자 : 국유 관리자 : 괴산군 문 의 : 충청북도 괴산군 문화관광과 043-830-3444 충청북도 괴산군 불정면 삼방리에 있는 불상으로 낮은 연꽃무늬 대좌 위에 앉아 있는 모습이다. 민머리 위에는 큼직한 상투 모양의 머리묶음이 있으며, 목에는 3줄의 뚜렷한 삼도(三道)가 있다. 체구는 단아하며 굴곡이 없는 신체에는 양 어깨를 덮은 옷자락과 몇 가닥의 간략한 옷주름이 선으로 표현되어 있다. 오른손은 무릎 위에 올리고 왼손은 가슴 앞에서 독특한 모양을 나타내고 있다.. 2012. 9. 15.
[충북]괴산 봉학사지오층석탑 종 목 :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29호 명 칭 : 괴산봉학사지오층석탑 (槐山鳳鶴寺址五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 량 : 1기 지정일 : 1976.12.21 소재지 :충북 괴산군 사리면 사담리 산1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보광사 관리자 : 보광사 문 의 : 충청북도 괴산군 문화관광과 043-830-3444 이 석탑은 기단(基壇)이 제대로 갖추어지지 않은 채, 평평한 돌 위로 5층의 탑신(塔身)이 올려져 있다. 탑신의 1층 몸돌은 2개의 돌로 이루어졌고, 나머지 몸돌과 지붕돌은 각각 하나의 돌로 만들어졌다. 1층 몸돌은 큰편이고, 2층 몸돌에서 급격히 낮아지다가 5층까지는 비슷한 크기를 유지한다. 각 층 지붕돌은 두꺼운 편이며, 밑면에는 5단씩의 받침을 두었다. 전체적으.. 2012. 9. 15.
[충북]괴산 삼방리마애여래좌상 종 목 :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128호 명 칭 : 괴산삼방리마애여래좌상 (槐山三訪里磨崖如來坐像) 분 류 : 유물 / 불교조각/ 석조/ 불상 수 량 : 1구 지정일 : 1982.12.17 소재지 : 충북 괴산군 불정면 삼방리 산55 소유자 : 국유 관리자 : 괴산군 문 의 : 충청북도 괴산군 문화관광과 043-830-3444 문현준의사진속으로[2009.11.02] 2011. 10. 10.
[충북]괴산 봉학사지오층석탑 종 목 :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29호 명 칭 : 괴산봉학사지오층석탑 (槐山鳳鶴寺址五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 량 : 1기 지정일 : 1976.12.21 소재지 : 충북 괴산군 사리면 사담리 산1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보광사 관리자 : 보광사 문 의 : 충청북도 괴산군 문화관광과 043-830-3444 문현준의사진속으로[2009.11.02] 2011. 10.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