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충북244

충북 충주 온천리 탑동삼층석탑 수안보면 온천리 탐동삼층석탑충북 충주시 수안보면 온천리 853번지(탑골2길 25-1)자세한 설명은 한국향토문화대전 으로 2024.06.09탑동삼층석탑 이전글보기2012.03.03 - [한국의석탑/충청북도] - [충북]충주 온천리탑동삼층석탑 [충북]충주 온천리탑동삼층석탑흔들렸네요.. 그래도 글자는 읽을수 있을듯하여.. 요집 바로 앞에 있습니다. 온천리탑동삼층석탑 충북 충주시 수안보면 온천리 853 번지 (탑골2길 25-1) 봉불사앞 개울가에 있는 고려후기의 석탑으sajin365.net 2024. 11. 27.
충북 충주 온천리석탑 충북 충주 수안보면 온천리석탑  충청북도 충주시 수안보면 온천리 867 에 있는 고려 후기 석탑 으로자세한 자료는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으로 2024.06.09 온천리석탑 이전글보기2012.03.03 - [한국의석탑/충청북도] - [충북]충주 온천리석탑 [충북]충주 온천리석탑여기저기 자료를 찿아봐도 파출소에 있다고 소개되고 있으나 2010년도에 현재의 자리 충북 충주시 수안보면 온천리 867번지로 이전하였다고함. 자세한 설명보기는 충주디지털문화대전 2012.02.25sajin365.net 2024. 11. 27.
충북 괴산 봉학사지오층석탑 충청북도 유형문화유산 괴산 봉학사지 오층석탑 (槐山 鳳鶴寺址 五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76.12.21 소재지 : 충북 괴산군 사리면 사담리 산1번지 이 석탑은 기단(基壇)이 제대로 갖추어지지 않은 채, 평평한 돌 위로 5층의 탑신(塔身)이 올려져 있다. 탑신의 1층 몸돌은 2개의 돌로 이루어졌고, 나머지 몸돌과 지붕돌은 각각 하나의 돌로 만들어졌다. 1층 몸돌은 큰편이고, 2층 몸돌에서 급격히 낮아지다가 5층까지는 비슷한 크기를 유지한다. 각 층 지붕돌은 두꺼운 편이며, 밑면에는 5단씩의 받침을 두었다. 전체적으로 비례가 좋지 않고, 지붕돌이 두꺼워진 점 등으로 보아 고려시대 작품으로 짐작된다. 일제시대에 쓰러졌던 것을 1967년 .. 2024. 11. 26.
충북 괴산 원풍리 마애이불병좌상 보물 괴산 원풍리 마애이불병좌상 (槐山 院豊里 磨崖二佛並坐像) 분   류 : 유물 / 불교조각 / 석조 / 불상 수량/면적 : 2구 지정일 : 1963.01.21 소재지 : 충북 괴산군 연풍면 원풍리 산124-2번지 시   대 : 고려시대 높이가 12m나 되는 큰 암석을 우묵하게 파고, 두 불상을 나란히 배치한 마애불로서 우리나라에서는 드문 예이다. 둥근 얼굴에 가늘고 긴 눈, 넓적한 입 등 얼굴 전반에 미소가 번지고 있어 완강하면서도 한결 자비로운 느낌을 준다. 반듯한 어깨, 평평한 가슴 등 신체의 표현은 몸의 굴곡이 거의 드러나지 않고 형식화되었다. 옷은 양 어깨를 감싸고 있으며 옷주름은 무딘 선으로 형식적으로 표현하였다. 몸에서 나오는 빛을 상징하는 광배(光背)에는 작은 부처가 새겨져 있으나, 세부.. 2024. 11. 25.
충북 괴산 보안사삼층석탑 보물 괴산 보안사 삼층석탑 (槐山 寶安寺 三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2000.08.04 소재지 : 충북 괴산군 청안면 효근1길 23 (효근리) 시   대 : 고려 중기 보안사의 북쪽 담장 옆에 자리하고 있는 석탑으로, 1단의 기단(基檀)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이다. 기단은 네 모서리에 기둥 모양을 본떠 새기고, 탑신의 1층 몸돌 남쪽 면에는 감실(龕室:불상을 모셔두는 방)을 본떠 간략히 조각해 두었다. 충북지역에서 발견된 석탑 가운데에는 이처럼 탑신에 감실을 새긴 예가 드물어 특이한 양식이라 할 수 있다. 석탑의 각 부분이 훼손되지 않은 비교적 완전한 모습으로, 탑신부가 균형을 보이고 있어 안정감을 준다. 지붕돌 밑면의 받침.. 2024. 11. 24.
충북 괴산 보광사 충북 괴산 보광사2024.06.09괴산 보광사 이전글보기2021.05.23 - [한국의법당/충청북도] - 충북 괴산 보광사 충북 괴산 보광사충북 괴산 보광사 2021.04.17sajin365.net 2024. 11. 23.
충북 충주 탑평리칠층석탑(중앙탑) 및 유학사지삼층석탑 국보 충주 탑평리 칠층석탑 (忠州 塔坪里 七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62.12.20 소재지 : 충청북도 충주시 중앙탑면 탑평리 11 시   대 : 통일신라시대 8세기 남한강의 아름다운 경관과 잘 어우러져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석탑으로, 당시에 세워진 석탑 중 가장 규모가 크며, 우리나라의 중앙부에 위치한다고 해서 중앙탑(中央塔)이라고도 부르는 이 탑은 2단의 기단(基壇) 위에 7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이다. 높은 탑신을 받치기 위해 넓게 시작되는 기단은 각 면마다 여러 개의 기둥 모양을 새겨 놓았고, 탑신부의 각 층 몸돌 역시 모서리마다 기둥 모양의 조각을 두었다. 몸돌을 덮고 있는 지붕돌은 네 귀퉁이 끝이 경쾌하게 치켜올려 있어.. 2024. 10. 16.
충북 충주 대영베이스 CC 석탑 충북 충주 대영베어스 CC 소경 충주 대영베어스 내 해저드에 뜬금없이 석탑 한기 2024.04.09 2024. 10. 16.
충북 제천 신륵사 삼층석탑 보물 제천 신륵사 삼층석탑 (堤川 神勒寺 三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등록)일 : 1999.06.23 소재지 : 충북 제천시 덕산면 월악산로4길 180 (월악리) 시   대 : 고려시대 초기 신륵사에 세워져 있는 탑으로, 2단의 기단(基壇) 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이다. 기단은 각 면의 모서리와 가운데에 기둥 모양을 하나씩 본떠 새겼고, 탑신에서도 역시 몸돌의 모서리마다 기둥 모양의 조각을 두었다. 지붕돌은 밑면의 받침수가 층마다 4단이며, 빗물을 받는 낙수면은 경사를 약하게 두었고, 네 귀퉁이에서 약간씩 치켜 올려진 상태이다. 꼭대기에는 머리장식으로 노반, 복발, 앙화, 보륜, 보개(寶蓋:지붕모양의 장식) 등이 올려져 있으며, 머.. 2024. 9.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