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산157 충남 예산 덕산향교 충청남도 기념물 덕산향교 (德山鄕校) 분 류 : 유적건조물 / 교육문화 / 교육기관 / 향교 수량/면적 : 2,110㎡ 지정(등록)일 1997.12.23 소재지 : 충남 예산군 덕산면 덕산향교길 88-34 (사동리) 향교는 공자와 여러 성현께 제사를 지내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해 나라에서 세운 교육기관이다. 덕산향교를 처음 지은 정확한 연대는 알 수 없으나, 조선 인조(재위 1623∼1649) 때 세운 것으로 전한다. 대성전은 숙종 8년(1682)에 수리하였다는 기록이 있으며 1987년에 다시 한번 보수했다. 건물 배치는 외삼문 없이 앞쪽에 바로 교육 공간인 명륜당이 있고, 뒤쪽에 제사 공간인 대성전이 있어 전학후묘의 형태를 따르고 있다. 대성전은 앞면 3칸·옆면 3칸 규모로, 지붕은 옆면에서 .. 2025. 7. 29. 충남 예산 덕산 광덕사 덕산면 광덕사충남 예산군 덕산면 온천단지로 148 2025.04.13 2025. 7. 29. 충남 예산 대흥동헌 충청남도 유형문화유산 예산대흥동헌및아문 (禮山大興東軒및衙門) 분 류 :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 궁궐·관아 / 관아 수량/면적 : 2동 지정(등록)일 : 2003.10.30 소재지 : 충남 예산군 대흥면 동서리 106-1번지 시 대 : 조선 태종 7년(1407) 대흥동헌은 조선 초인 태종 7년(1407)에 창건되었고, 1914년에 대흥면사무소로 개조하여 사용되다가 1979년 해체복원 정비되었다. 대흥동헌은 기본 구조가 잘 남아 있고, 예산지역에 현존하고 있는 유일한 관아건물이며 1405년에 건립된 대흥향교와 함께 대흥지역의 역사를 증명하는 건축물로서 역사적·건축학적 보존가치가 있다 자료 : 국가유산포털 충청남도 유형문화유산예산대흥동헌및아문 2025.04.13대흥동헌 이전글보기2024.10... 2025. 7. 29. 충남 예산 향천사 충남 예산 향천사2024.11.17 충남 예산 향천사 이전글보기2023.11.24 - [한국의법당/충청남도] - 충남 예산 향천사 충남 예산 향천사대한불교조계종 수덕사의 말사로 충남 예산군 예산읍 향천리에 있는 절. 2023.07.01 충남 예산 향천사 이전글보기 2020.01.06 - [한국의법당/충청남도] - 충남 예산 향천사 충남 예산 향천사 충남 예산sajin365.net 2025. 6. 8. 충남 예산 대흥동헌의 봄 충청남도 유형문화유산 예산대흥동헌및아문 (禮山大興東軒및衙門) 분 류 :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 궁궐·관아 / 관아 수량/면적 : 2동 지정일 : 2003.10.30 소재지 : 충남 예산군 대흥면 동서리 106-1번지 시 대 : 조선 태종 7년(1407) 대흥동헌은 조선 초인 태종 7년(1407)에 창건되었고, 1914년에 대흥면사무소로 개조하여 사용되다가 1979년 해체복원 정비되었다. 대흥동헌은 기본 구조가 잘 남아 있고, 예산지역에 현존하고 있는 유일한 관아건물이며 1405년에 건립된 대흥향교와 함께 대흥지역의 역사를 증명하는 건축물로서 역사적·건축학적 보존가치가 있다. 자료 : 국가유산포털 충남 예산 대흥동헌의 봄2024.04.06대흥동헌 이전글보기2023.10.11 - [한국의문화유산/충.. 2024. 10. 6. 충남 예산 용궁리 백송 천연기념물 예산 용궁리 백송 (禮山 龍宮里 白松) 분 류 : 자연유산 / 천연기념물 / 문화역사기념물 / 역사 수량/면적 : 1주 지정일 : 1962.12.07 소재지 : 충남 예산군 신암면 용궁리 산73-28번지 백송은 나무껍질이 넓은 조각으로 벗겨져서 흰빛이 되므로 백송 또는 백골송(白骨松)이라고도 한다. 중국이 원산지로서 조선시대에 중국을 왕래하던 사신들이 가져다 심은 것이라고 전한다. 예산의 백송은 나이가 약 200살 정도로 추정되며, 높이 14.5m, 가슴높이 둘레 4.77m이다. 줄기가 밑에서 세 갈래로 갈라져 있는데 두 가지는 죽고 한 가지만 남아 빈약한 모습이다. 나무껍질은 거칠고 흰색이 뚜렷하며, 주변의 어린 백송들과 함께 자라고 있다. 이 나무는 추사 김정희 선생이 조선 순조 9년(.. 2024. 7. 31. 충남 예산 예산읍삼층석탑 충청남도 문화유산자료 예산읍삼층석탑 (禮山邑三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84.05.17 소재지 : 충남 예산군 덕산면 상가리 227번지 보덕사 내에 자리하고 있는 3층 석탑이다. 원래는 근처의 가야사터에 있었으나, 1914년 일본인이 몰래 반출하려던 것을 보덕사 주지의 항의로 돌려 받아 이 절에 남아 있게 되었다. 2층의 기단(基壇) 위로 3층으로 이루어진 탑신(塔身)을 올려놓은 모습인데, 처음에는 5층이었던 것이 훼손되어 3층 까지만 남게 되었다 한다. 안내판 설명 예산읍삼층석탑 禮山邑三層石塔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75호 불탑은 부처님의 사리를 모신 조형물로 실제 사리를 모시지 않았더라도 부처님을 모신 신성한 곳으로 여겨져, .. 2024. 7. 31. 충남 예산 보덕사 극락전 충청남도 유형문화유산 보덕사극락전 (報德寺極樂殿)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불전 수량/면적 : 1동 지정일 : 1995.10.07 소재지 : 충남 예산군 덕산면 가야산로 400-74 (상가리) 보덕사는 서원산 남쪽기슭에 위치한다. 본래 옥양봉 남쪽 기슭에 있던 가야사의 뒤를 이어 고종 8년(1871)에 처음 지어졌다. 가야사에는 금탑이라 불리는 지극히 빼어난 석탑이 있었고, 그 탑의 4면에는 돌로 만든 방이 있어 각각 돌부처가 모셔져 있었다. 그러나 이 절의 터가 왕손을 낳게 한다는 풍수설에 따라 흥선대원군이 철종 11년(1860)에 가야사를 불사르고 아버지인 남원군의 묘를 썼다. 그 뒤 아들 고종(재위 1863∼1907)이 왕위에 오르게 되었으므로 은혜를 갚는다는 뜻에서 지금의.. 2024. 7. 31. 충남 예산 보덕사 석등 충청남도 문화유산자료 보덕사석등 (報德寺石燈)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석등 수량/면적 : 1기 지정(등록)일 1984.05.17 소재지 : 충남 예산군 덕산면 상가리 227번지 보덕사 내에 남아 있는 석등으로, 거의 절반이 없어진 상태이다. 일반적으로 석등은 등불을 밝혀두는 화사석(火舍石)을 중심으로, 아래로는 3단의 받침을 두고 위로는 지붕돌을 올려놓는데, 이 석등은 현재 화사석과 1단의 받침돌, 지붕돌만 남아있다. 8각을 이루는 화사석은 4곳에 불빛이 새어나오도록 창을 내고, 나머지 4면에는 4천왕상(四天王像)을 정교하게 새겨 놓았다. 지붕돌은 심하게 닳아 옛 모습을 찾기가 힘든 상태이며, 꼭대기에는 둥근 돌이 솟아 머리장식을 하고 있다. 보덕사는 조선시대 후기인 고종 2년.. 2024. 7. 31. 이전 1 2 3 4 ··· 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