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석탑1023 충북 음성 대경사 삼층석탑 충청북도 음성군 소이면 비산리 573에 있는 석탑 충북 음성 대경사 삼층석탑2025.06.03문현준의사진속으로대경사석탑 이전글보기2012.03.29 - [한국의석탑/충청북도] - [충북]음성 대경사삼층석탑 [충북]음성 대경사삼층석탑충북 음성군 소이면 비산리 573 번지 대경사에 있는 고려전기 삼층석탑으로자세한 안내는 디지털음성문화대전 으로 2012.03.10 촬영문현준sajin365.net천안 / 아산 세무사 문정호 세무회계 열린 열정적인 세무 파트너, '세무회계 열린' : 네이버 블로그'모험가', '경영가', '시인' '세무회계 열린'의 문정호 세무사입니다. 언제나 열정적이고 맑은 자세로 대표님의 세무 문제를 따뜻하게 생각하고 냉철하게 분석해드립니다. 놓치고 있는 절세 방법blog.naver.com 2025. 9. 9. 충북 음성 갑산리석탑(탑골칠층석탑) 충북 음성군 소이면 갑산리의 옛 절터에 있는 석탑으로, 현재는 4층만 남아 있으나,원래는 7층 석탑이었다고 한다. 갑산리 정산 앞 탑골이라고 불리는 골짜기에 있었다고 추정되며, 절터 주변지역은 현재 모두 밭으로 변하여 정확한 절터 위치는 확인할 수 없다. 자세한 자료는 디지털음성대전 에서 2025.06.03문현준의사진속으로갑산리석탑(탑골칠층석탑) 이전글보기2012.03.29 - [한국의석탑/충청북도] - [충북]음성 갑산리칠층석탑(탑골칠층석탑) [충북]음성 갑산리칠층석탑(탑골칠층석탑)오전에 조금 늦장을 부렸더니 ..여기 도착을하니 막 서산너머로 해는 기울고 ,..촬영을 하고 있노라니 어르신 한분 오토바이 타고 오시더니잃어버린거는 언제 찿아주는겨...?난 거기에 대해 아무sajin365.net 천안 /.. 2025. 9. 5. 충북 제천 장락동 칠층모전석탑 제천 장락동 칠층모전석탑 (堤川 長樂洞 七層模塼石塔) 보물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등록)일 : 1967.06.23 소재지 : 충북 제천시 장락동 65-2번지 시 대 : 통일신라시대 모전석탑이란 돌을 벽돌모양으로 깎아 쌓은 탑으로, 흙벽돌을 쌓아 올린 전탑을 모방하였다 하여 모전탑(模塼塔)이라고도 한다. 탑이 서있던 절터가 논밭으로 변하여 절의 규모는 알 수 없고, 7층에 이르는 거대한 이 탑이 주위를 압도하듯 버티고 서 있다. 회흑색의 점판암을 사용한 탑으로, 탑을 받치는 기단(基壇)만은 점판암이 아닌 자연석으로 1단을 마련하였으며, 그 위로 벽돌로 이루어진 7층의 탑신(塔身)을 올렸다. 탑신은 부처의 사리나 불경 등을 모셔두는 곳으로, 1층의 .. 2025. 8. 13. 강원 평창 월정사팔각구층석탑 평창 월정사 팔각 구층석탑 (平昌 月精寺 八角 九層石塔) 국보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등록)일 1962.12.20 소재지 : 강원 평창군 진부면 오대산로 374-8, 월정사 (동산리) 시 대 : 고려시대 자장율사가 창건한 월정사 안에 있는 탑으로, 그 앞에는 공양하는 모습의 석조보살좌상이 마주보며 앉아 있다. 탑은 8각 모양의 2단 기단(基壇) 위에 9층 탑신(塔身)을 올린 뒤, 머리장식을 얹어 마무리한 모습이다. 아래층 기단에는 안상(眼象)을 새겨 놓았고, 아래·위층 기단 윗부분에는 받침돌을 마련하여 윗돌을 괴어주도록 하였다. 탑신부는 일반적인 석탑이 위층으로 올라 갈수록 급격히 줄어드는 모습과 달리 2층 탑신부터 거의 같은 높이를 유지하고 .. 2025. 8. 8. 전북 익산 왕궁리오층석탑 국보 익산 왕궁리 오층석탑 (益山 王宮里 五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등록)일 : 1997.01.01 소재지 : 전북 익산시 왕궁면 왕궁리 산80-1번지 시 대 고려시대 마한시대의 도읍지로 알려진 익산 왕궁면에서 남쪽으로 2㎞쯤 떨어진 언덕에 자리하고 있는 석탑이다. 1단의 기단(基壇) 위로 5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으로, 기단부가 파묻혀 있던 것을 1965년 해체하여 수리하면서 원래의 모습이 드러났다. 탑의 기단은 네 모서리에 8각으로 깎은 주춧돌을 기둥삼아 놓고, 기둥과 기둥 사이에는 길고 큰 네모난 돌을 지그재그로 맞물리게 여러 층 쌓아 올려놓아 목조탑의 형식을 석탑에서 그대로 재현하고 있다. 이 팔각기둥과 네모난 돌들 사이는 흙을.. 2025. 7. 11. 전북 정읍 천곡사지 칠층석탑 보물 정읍 천곡사지 칠층석탑 (井邑 泉谷寺址 七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등록)일 : 1963.01.21 소재지 : 전북 정읍시 망제동 산9-2번지 시 대 : 고려시대 속칭 전곡사지라고 일컫는 망제동의 서쪽 산기슭에 위치한 탑으로 낮은 단층기단 위에 7층탑신을 올린 방형 평면의 석탑이다. 이 석탑은 8매의 석재로 구성된 지대석 위에 1매의 판석형 석재로 조성한 낮은 단층기단을 놓았다. 기단은 거칠게 다듬었으며, 측면에는 아무런 조식도 없다. 측면 상단에는 갑석형의 굽을 돌렸는데, 상면은 약간 경사지게 다듬은 후 중앙에 낮은 받침을 조출해 탑신을 받고 있다. 이와같은 기단구조는 통일신라시대의 석탑에서는 볼 수 없는 특이한 형태로 운주사석탑군에.. 2025. 7. 6. 전북 정읍 은선리삼층석탑 보물 정읍 은선리 삼층석탑 (井邑 隱仙里 三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등록)일 : 1963.01.21 소재지 : 전북 정읍시 영원면 은선리 43번지 시 대 고려시대 정읍 은선리 마을에 세워져 있는 3층 석탑으로, 우리나라에서는 일찍이 볼 수 없었던 독특한 모습을 하고 있다. 기단(基壇)은 낮은 1단으로,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국보)과 같은 양식이다. 탑신(塔身)은 몸돌과 지붕돌이 여러 장의 돌로 이루어졌다. 1층의 몸돌은 대단히 높아 기형적인 인상을 주고, 각 면 모서리에는 희미하게 기둥모양을 본떠 새겨놓았다. 2층 몸돌은 높이와 너비가 급격히 줄었으며, 남쪽면에 2매의 문짝이 달려 있는데, 이는 감실(龕室:불상을 모시는 방)을 설치한 것으.. 2025. 6. 30. 충남 청양 서정리 구층석탑 보물 청양 서정리 구층석탑 (靑陽 西亭里 九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등록)일 : 1963.01.21 소재지 : 충남 청양군 정산면 서정리 16-2번지 시 대 : 고려시대 공주에서 청양쪽으로 23㎞ 떨어진 벌판 가운데에 서 있는 탑으로, 부근에 고려시대 백곡사(白谷寺)라는 절이 있었다고 하나 주위에 기와조각 등이 흩어져 있을 뿐 다른 유물들은 찾아볼 수 없다. 탑은 2단의 기단 위에 9층의 탑신을 올린 모습이다. 아래층 기단에는 안상(眼象)을 돌려 새겼는데, 바닥선이 꽃모양으로 솟아올라 있어 고려시대의 양식상 특징을 드러낸다. 윗층 기단에는 네 모서리와 면의 가운데에 기둥 모양을 새겼으며, 그 위로 알맞은 두께의 돌을 덮어 안정된 모양새를 .. 2025. 6. 26. 충남 아산 세심사다층탑 충청남도 문화유산자료 세심사다층탑 (洗心寺多層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등록)일 1984.05.17 소재지 : 충남 아산시 염치읍 산양리 시 대 : 27년(645) 고려시대에 창건된 세심사는 원래 ‘신심사’였다가 최근에 세심사라 그 이름이 바뀌었다. 절안에 자리하고 있는 이 탑은 3층 기단(基壇) 위로 9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형태로, 기단은 화강암으로 만들었고 탑신부는 벼루를 만드는 돌인 점판암으로 제작하였다. 3층을 이루는 기단은 모서리마다 기둥 모양의 조각을 두었으며 곳곳에 연꽃무늬를 새겨놓았다. 탑신부는 1층 몸돌만 4단의 널돌로 만들었고, 나머지 여덟 층의 몸돌은 모두 1매의 널돌로 만들었으며, 각 몸돌마다 모서리에 기둥 모양을 새.. 2025. 6. 17. 이전 1 2 3 4 ··· 1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