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의석탑1010

전북 정읍 무성리삼층석탑 전북특별자치도 유형문화유산 무성리삼층석탑 (武城里三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98.01.09 소재지 : 전북 정읍시 칠보면 원촌1길 96 (무성리) 무성리 마을의 논 가운데 자리하고 있는 탑으로, 높게 마련된 축대 위에 서 있다. 바닥돌 위로 1층 기단(基壇)과 3층의 탑신(塔身)을 올려놓은 모습으로, 탑신의 1층 몸돌이 지나치게 크다. 기단과 탑신의 각 몸돌은 모서리마다 기둥모양을 본떠 새겼다. 지붕돌은 밑면에 3단씩의 받침을 두었으며, 윗면에는 느린 경사가 흐르고 있다. 얇아 보이는 지붕처마는 수평을 이루다가 양 끝에서 살짝 위로 들려 있다. 꼭대기에는 노반(露盤:머리장식받침), 앙화(仰花:활짝 핀 연꽃모양 장식), 보주(寶珠:구슬.. 2024. 9. 10.
전남 순천 금둔사지 삼층석탑 보물 순천 금둔사지 삼층석탑 (順天 金芚寺址 三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88.04.01 소재지 : 전라남도 순천시 수정암길 192 (낙안면) 시   대 : 통일신라시대 9세기 낙안면 소재지에서 북으로 약 2km 떨어진 금전산의 무너진 절터에 자리하고 있는 탑이다. 『동국여지승람』에 “금전산에 금둔사가 있다”라는 기록이 있어 이 절터를 금둔사라고 추정하고 있으며, 현재는 조그마한 암자가 지어져 금둔사의 명맥을 잇고 있다. 탑은 2단의 기단(基壇)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이다. 아래층 기단에는 기둥 모양을 본떠 새기고, 위층 기단에는 기둥과 8부중상(八部衆像)을 도드라지게 새겨 놓았다. 탑신은 몸돌과 지붕돌이 각각 한 개의 돌.. 2024. 8. 22.
경기 용인 용덕사 삼층석탑 경기 용인 용덕사 삼층석탑2023.10.21경기 용인 용덕사 삼층석탑 이전글보기2012.04.11 - [한국의석탑/서울경기] - [경기]용인 용덕사삼층석탑 [경기]용인 용덕사삼층석탑경기 용인 용덕사 삼층석탑 한쪽옆에 탑의 형태만 간직하고있는 석탑이 하나더.. 2012.03.31 촬영 문현준sajin365.net 2024. 8. 19.
경기 용인 법륜사삼층석탑 경기도 문화유산자료 용인법륜사삼층석탑 (龍仁法輪寺三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등록)일 2009.03.10 소재지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농촌파크로 126 (원삼면, 법륜사) 시   대 : 고려시대 현재 법륜사 관음전 앞에 세워져 있다. 2매의 판석으로 지대석이 만들어져 있으며, 단층 기단과 3층의 탑신부로 제작된, 고려 중기의 석탑으로 추정된다. 기단은 1매 석재를 이용해 제작했는데 모서리마다 우주(隅柱)를 선명하게 조각했다. 기단 면석에는 측면 기둥인 우주를 모각했고, 갑석(甲石, 돌 위에 다시 포개어 얹는 납작한 돌) 중앙부에는 2단의 탑신받침을 두었다. 탑신석과 옥개석(屋蓋石; 석탑이나 석등 따위의 위에 지붕처럼 덮은 돌)은 각각 1석으.. 2024. 8. 19.
경기 용인 어비리삼층석탑 경기도 유형문화유산 용인어비리삼층석탑 (魚肥里三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2004.11.29 소재지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이동읍 어비리 807-9 시   대 : 고려시대 석탑과 석불이 있었던 사찰은 금단사(金丹寺)로 전해지고 있으나, 알려진 연혁은 없으며 산중턱에 사지의 흔적이 확인된다. ‘용인 어비리 삼층석탑’은 2층 기단 위에 3층의 탑신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현재 상륜부는 결실되었다. 지대석은 4매의 장대석을 결구한 전형적인 2층 기단이다. 하층 기단은 면석의 좌우에 우주를 세우고 한가운데에는 탱주를 세웠는데 낮게 모각되어 간략화된 경향을 보이고 있다. 상층 기단은 면석의 좌우에 우주를 세우고 한가운데 탱주를 마련하였다. 탑신부는.. 2024. 8. 19.
경기 남양주 묘적사 팔각다층석탑 경기도 유형문화유산 남양주 묘적사 팔각다층석탑 (南楊州 妙寂寺 八角多層石塔) 분   류 : 유물 / 불교공예 / 기타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2013.11.12 소재지 : 경기도 남양주시 와부읍 월문리 349 시   대 : 16세기 초 우리나라에서 흔하지 않은 팔각다층석탑으로 묘적사 대웅전 앞에 건립되어 있다. 기초가 되는 지대석은 2장의 판석으로 구성했으며, 팔각형으로 되어있다. 지대석 위에는 2매 석으로 구성된 하층 기단을 놓았는데, 측면 하단에는 상각(象脚) 문양을 조각했고, 상단에는 각 면에 사각형 액(額)으로 공간을 구획한 후에 2조의 안상(眼象)문양을 조각했다. 상층기단은 아래서부터 하대, 중대석, 상대의 순서로 배치되어있다. 하대에는 상각, 안상(眼象)문양, 복연 연판문양 순서로 표현.. 2024. 8. 13.
제주 불탑사 오층석탑 보물 제주 불탑사 오층석탑 (濟州 佛塔寺 五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93.11.19 소재지 : 제주 제주시 원당로16길 41 (삼양일동) / (지번)제주 제주시 삼양1동 696 시   대 : 고려시대 원당사의 옛 터에 세워져 있는 석탑이다. 원당사는 조선 중기에 폐지되었고, 1950년대 이후 절터에 새로이 지어진 불탑사가 대신 자리잡고 있다. 탑은 1단의 기단(基壇) 위로 5층의 탑신(塔身)을 두고, 머리장식을 얹어 마무리한 모습이다. 탑 주변에는 돌담이 둘려져 있다. 기단은 뒷면을 뺀 세 면에 안상(眼象)을 얕게 새겼는데, 무늬의 바닥선이 꽃무늬처럼 솟아나도록 조각하였다. 탑신의 1층 몸돌 남쪽면에는 감실(龕室:불상을 모셔두는 방).. 2024. 8. 1.
충남 예산 예산읍삼층석탑 충청남도 문화유산자료 예산읍삼층석탑 (禮山邑三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84.05.17 소재지 : 충남 예산군 덕산면 상가리 227번지 보덕사 내에 자리하고 있는 3층 석탑이다. 원래는 근처의 가야사터에 있었으나, 1914년 일본인이 몰래 반출하려던 것을 보덕사 주지의 항의로 돌려 받아 이 절에 남아 있게 되었다. 2층의 기단(基壇) 위로 3층으로 이루어진 탑신(塔身)을 올려놓은 모습인데, 처음에는 5층이었던 것이 훼손되어 3층 까지만 남게 되었다 한다. 안내판 설명 예산읍삼층석탑 禮山邑三層石塔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75호   불탑은 부처님의 사리를 모신 조형물로 실제 사리를 모시지 않았더라도 부처님을 모신 신성한 곳으로 여겨져, .. 2024. 7. 31.
전남 신안 흑산진리무심사지삼층석탑과석등 전라남도 문화유산자료 신안흑산진리무심사지삼층석탑과석등 (新安 黑山 鎭里 三層石塔과 石燈)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면적 : 일괄 지정일 : 1994.01.31 소재지 : 전남 신안군 흑산면 진리 721-2번지 읍동마을 당산나무 밑에 놓여 있는 석탑과 석등으로, 주위에는 밭이 펼쳐 있고 뒤로는 상라산이 병풍처럼 배경을 이루고 있다. 절터의 흔적은 찾아볼 수 없으나 주위에서 토기나 기와조각들이 발견되고 있어, 지금도 불교신도들이 이곳에 찾아와 불공을 드리고 있다. 석탑은 땅 위로 기단(基壇)의 맨 윗돌만 드러나 그 아래는 모두 묻혀 있으며, 위로는 3층의 탑신(塔身)이 쌓여 있다. 탑신의 세 몸돌은 모두 위아래와 서로 틀이 딱 맞지 않아 원래의 것이 아니었을 것으로 보이는데.. 2024. 7.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