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249 충북 진천 용화사 석조여래입상 충청북도 유형문화유산 진천 용화사 석조여래입상 (鎭川 龍華寺 石造如來立像) 분 류 : 유물 / 불교조각 / 석조 / 불상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84.12.31 소재지 :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신정리 584-4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신정리에 있는 높이 7m의 커다란 불상으로 타원형의 얼굴에 은근한 미소가 보인다. 머리 꼭지에는 벙거지 같은 것이 올려져 있는데 나중에 고친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목에는 3줄로 새겨진 삼도(三道)가 있고 그 아래에 표현된 목걸이 장식은 얼굴과 함께 불상을 돋보이게 하고 있다. 신체는 부피감이 거의 없는 커다란 직사각형을 이루고 있다. 옷은 가슴을 드러낸 채 양 어깨에 걸쳐 입었고 하체에는 U자 모양의 주름을 겹쳐 나타냈다. 가슴 앞에 들고 있는 오른손이나, .. 2024. 8. 5. 충북 진천 배티성 충청북도 기념물 진천 배티 성지 (鎭川 梨峙 聖地)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천주교 / 성당 수량/면적 : 3개소, 일원(6필지 2,197㎡) 지정일 : 2011.03.04 소재지 : 충청북도 진천군 배티로 708 (백곡면) 시 대 : 1850~1860년대 진천 배티 성지[鎭川 梨峙 聖地]는 한국 천주교회사에서 중요한 성지로 박해를 피해 숨어들은 천주교 신자들에 의해 1830년대에 敎友村이 형성되었으며, 1850년에는 프랑스 선교사 다블뤼(한국 성명 安敦伊) 성인 주교가 설립한 우리나라 최초의 신학교인 朝鮮敎區神學校가 자리를 잡았던 곳이다. 또한 우리나라 최초의 유학생이며 두 번째 신부인 崔良業(1821~1861년, 세례명 : 토마스) 신부를 비롯하여 프랑스 선교사 프티니콜라(한국 .. 2024. 8. 5. 충북 옥천 금암리 삼층석탑 충북 옥천 금암리삼층석탑2023.18.15금암리삼층석탑 이전글보기2012.06.13 - [한국의석탑/충청북도] - [충북]옥천 금암리삼층석탑 [충북]옥천 금암리삼층석탑충북 옥천군 동이면 금암리 금암리사지석탑 2012.04.14 문현준sajin365.net 2024. 7. 30. 충북 옥천 두암리 삼층석탑 충청북도 유형문화유산 옥천 두암리 삼층석탑 (沃川 斗岩里 三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82.12.17 소재지 : 충북 옥천군 이원면 이원리 582-3번지 두암마을의 민가 옆에 자리하고 있는 탑으로, 주위에서 고려시대의 기와조각이 발견되어 이곳이 당시의 옛 절터임을 알게 되었다. 탑은 전체의 무게를 받치는 기단(基壇)을 2층으로 쌓고, 그 위로 3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으로, 꼭대기의 머리장식을 제외하고는 대체로 본모습을 잘 간직하고 있다. 아래층 기단에는 각 면마다 3개씩의 안상(眼象)을 움푹 들어가게 새겼고, 위층 기단에는 4면의 모서리와 가운데에 기둥모양의 조각을 두었다. 탑신부의 1층 몸돌에는 한쪽면에 문짝모양을 새겼는데 그 .. 2024. 7. 30. 충북 옥천 용암사 동·서 삼층석탑 보물 옥천 용암사 동·서 삼층석탑 (沃川 龍岩寺 東·西 三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면적 : 2기 지정일 : 2002.03.12 소재지 : 충북 옥천군 옥천읍 삼청리 산51-1번지 용암사 시 대 : 고려시대 용암사는 신라 진흥왕 13년(552) 때 의신(義信)이 세운 사찰이다. 이 석탑은 일반적인 가람배치와 달리 대웅전의 앞이 아니라 사방이 한 눈에 조망되는 북쪽 낮은 봉우리에 있다. 석탑이 사방의 조망권이 확보된 위치에 건립된 것으로 보아 고려시대에 이르러 성행했던 산천비보(山川裨補)사상에 의해 건립된 것으로 추정된다. 산천비보사상이란, 탑이나 건물을 건립해 산천의 쇠퇴한 기운을 북돋아준다는 것이다. 같은 모양의 석탑 2기는 이층 기단 위에 3층의 탑신을 올렸.. 2024. 7. 30. 충북 옥천 용암사 마애여래입상 충청북도 유형문화유산 옥천 용암사 마애여래입상 (沃川 龍岩寺 磨崖如來立像) 분 류 : 유물 / 불교조각 / 석조 / 불상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76.12.21 소재지 : 충북 옥천군 옥천읍 삼청리 산51-1번지 신라 진흥왕 13년(552)에 창건한 용암사에 있는 마애불로 방 모양으로 암벽을 파고 그 안에 불상을 도드라지게 새겼는데, 붉은 바위색이 퍽 인상적인 작품이다. 사찰에서는 마의태자상이라고 하는데 마의태자를 추모하였던 신라 도공의 후손이 염불하는 태자의 모습을 그리워하며 미륵불을 조각하였다고 한다. 이 마애불은 영험이 있어 기도하면 이루어지지 않는 것이 없다고 전한다. 발을 좌우로 벌리고 연꽃대좌 위에 서 있으며, 가늘고 긴 눈, 작은 입, 가는 코 등이 묘사된 얼굴에는 파격적인 미소.. 2024. 7. 30. 충북 옥천 용암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충청북도 유형문화유산 옥천 용암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沃川 龍巖寺 木造阿彌陀如來坐像) 분 류 : 유물 / 불교조각 / 목조 / 불상 수량/면적 : 1구 지정일 : 1998.11.20 소재지 : 충북 옥천군 옥천읍 삼청2길 400 (삼청리) 용암사는 충청북도 옥천군 옥천읍 장령산에 있는 사찰로, 법주사의 말사(末寺)이다. 용처럼 생긴 바위가 있어서 용암사라고 이름지었으나, 일제시대 일본인에 의해 용바위가 파괴되어 현재는 그 흔적만이 남아 있다. 대웅전 안에는 불상과 5종의 탱화(幀畵)가 보관되어 있다. 현재 이 대웅전에 모셔져 있는 목조불상은 이전의 연혁이 알려지지 않고 있다. 1880년 불상을 열어 보았을 때 속에서 ‘순치 8년 신묘년(효종 2년, 1651)’에 만들어진 다라니경이 발견되었다. 이로 인.. 2024. 7. 30. 충북 옥천 용암사 충북 옥천 용암사2023.08.15용암사 이전글보기2011.09.29 - [한국의산하/일출및일몰] - [충북]옥천 용암사운해 [충북]옥천 용암사운해옥천 용암사 여러번 찿았으나 ... 항상 카메라 한번 제대로 꺼내보지도 못하고 ... 오늘은 아쉬운대로 몇컷촬영.. 문현준의사진속으로[2008.05.01]sajin365.net 2024. 7. 30. 충북 옥천성당 국가등록문화유산 옥천성당 (沃川聖堂) Okcheon Catholic Church 분 류 : 등록문화유산 / 기타 / 종교시설 수량/면적 : 1동 연면적 49.3㎡ 지정일 : 2002.02.28 소재지 : 충북 옥천군 옥천읍 삼양리 158-2번지 시 대 : 1945 소유자 : 천주교유지재단 관리자 : 옥천성당 1945년 또는 1948년 건립된 것으로 추정되는 이 건물은 메리놀외방전교회 미국인 사제에 의해 건립된 서양식 성당이다. 초기에는 장방형의 강당형 평면 구성이었으나, 1991년에 성당 뒷면 벽을 철거하고 트랜셉트(Transept, 翼廊)와 제단 앱스(Apse)부를 증축하면서 십자형으로 바뀌었다. 시멘트 벽돌조적에 시멘트 뿜칠로 마감하였고, 전면에 박공형 지붕과 아치 출입문을 둔 전실을 두고.. 2024. 7. 30. 이전 1 2 3 4 5 6 ··· 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