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충북244

충북 영동 두평리 오층석탑 영동 두평리오층석탑 충묵 영동군 양강면 두평길 2-153 고려초기에 세워진 풍곡사가 조선초에 폐사되자 그터에 세운 서당이 자풍서당이다. 1989년에 매몰되어 있던 석탑 부재들을 찿아내어 자풍서당 앞 마당에 오층석탑을 세웠다.화강석재로 조성되어 발견된 5개의 옥개석과 4층 옥신석,노반의 보존상태가 양호하다.석탑의 조성연대는 탑의 조각수법과 층급 받침의 형태로보나 고려시대로 추정되는데 이로인하여 풍곡사의 절터임을 입증하고있다. 충북 영동 두평리 오층석탑 2020.10.28 두평리오층석탑 이전글보기 2012.11.09 - [한국의석탑/충청북도] - [충북]영동 두평리오층석탑 [충북]영동 두평리오층석탑 영동 두평리오층석탑 충묵 영동군 양강면 두평길 2-153 고려초기에 세워진 풍곡사가 조선초에 폐사되자 그터에 .. 2021. 5. 8.
충북 영동 마니사지 석탑 충북 영동 마니사지 오층석탑 및 석조여래입상 2020.10.28 충북 영동 마니사지 이전글 보기 2012.11.09 - [한국의석탑/충청북도] - [충북]영동 마니사지오층석탑 [충북]영동 마니사지오층석탑 충북 영동 마니사지오층석탑 2012.08.19 문현준 이전글보기 2012/06/13 - [한국의석탑/충북권] - [충북]영동 마니사지오층석탑 [충북]영동 마니사지오층석탑 마니사지 5층석탑(摩尼寺址 五層石塔) 영동 sajin365.net 2012.06.13 - [한국의석탑/충청북도] - [충북]영동 마니사지오층석탑 [충북]영동 마니사지오층석탑 마니사지 5층석탑(摩尼寺址 五層石塔) 영동군 향토문화재로 송호리 송림 여의정 앞에 석불과 함께 옮겨 세웠으나 연대가 명확하지 않으며, 고려시대로 추정하고 있다. 충북.. 2021. 5. 8.
충북 영동 이리사지 삼층석탑 충북 영동 이리사지 삼층석탑 2020.10.28 충북 영동 이리사지 삼층석탑 이전글보기 2012.11.09 - [한국의석탑/충청북도] - [충북]영동 이리사지삼층석탑 [충북]영동 이리사지삼층석탑 충북 영동 이리사지 삼층석탑 영동 향토유적 제26호 충북 영동군 양산면 가곡리 293-1 2012.08.19 문현준 이전글보기 2012/06/14 - [한국의석탑/충북권] - [충북]영동 이리사지삼층석탑 sajin365.net 2012.06.14 - [한국의석탑/충청북도] - [충북]영동 이리사지삼층석탑 [충북]영동 이리사지삼층석탑 영동 향토유적 제26호 이리사지삼층석탑 충북 영동군 양산면 가곡리 293-1 2012.04.14 문현준 sajin365.net 2021. 5. 8.
충북 영동 월류봉 충북 영동 월류봉 2020.10.28 2021. 5. 8.
충북 옥천 상춘정 충북 옥천 상춘정 2020.10.28 문현준의사진속으로 2021. 5. 8.
충북 영동 반야사 충북 영동군 황간면 백화산로 652 (우매리) 2020.10.28 충북 영동 반야사 이전글보기 2015.12.22 - [한국의문화유산/충청권] - 충북 영동 반야사 부도 충북 영동 반야사 부도 영동군 향토유적 제10,11호 반야사부도 2015.08.21 문현준 반야사 이전글보기 2011/10/14 - [한국의석탑/충청북도] - [충북]영동 반야사삼층석탑 2011/10/13 - [한국의석탑/충청북도] - [충북]영동 반야사.. sajin365.net 2011.10.07 - [한국의법당/충청권] - [충북]영동 반야사 [충북]영동 반야사 충북 영동군 황간면 우매리 151-1번지 백화산자락에 위치한 절. 문현준의사진속으로[2009.06.22] sajin365.net 2021. 5. 8.
충북 영동 반야사 삼층석탑 보물 제1371호 영동 반야사 삼층석탑 (永同 般若寺 三層石塔) 분 류: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면적 :1기 지정(등록)일:2003.03.14 소재지:충북 영동군 황간면 백화산로 652 (우매리) 이 탑은 반야사의 경내에 건립되어 있는데, 원래 반야사 북쪽의 석천계곡 ‘탑벌’에 있던 것을 1950년에 지금의 자리로 이전한 것이라 한다. 지대석 위에 1층의 기단을 이루고 그 위에 3층의 탑신(몸돌)을 올린 석탑으로 높이는 335cm이다. 토단 위에 건립되어 있는데, 지대석으로부터 마지막 층까지 대체로 완전한 편이다. 지대석은 모두 6매의 판석으로 구성되었다. 지대석 윗면의 네 모서리에는 합각선이 돌출되어 있으며, 중심부는 깊이 3cm정도의 홈을 파 기단면석이 꼽히도록 하였다. 기단부는 .. 2021. 5. 8.
충북 청주 충북대 석탑 충북 괴산군 칠성면 예산리 오층석탑 충북 옥천군 안내면 현리 삼층석탑 충남 천안시 병천민 신촌리 삼층석탑 충북대학교 석탑들 2020.10.10 충북대학교 석탑 이전글보기 2011.10.16 - [한국의석탑/충청북도] - [충북]청주 충북대의 석탑들 [충북]청주 충북대의 석탑들 충남 천안시 병천면삼층석탑 (고려시대) 충북 괴산군 칠성면 예산리오층석탑 (조선시대) 충북 옥천군 안내면 신촌리 삼층석탑 (고려시대) 문현준의사진속으로[2011.03.04] sajin365.net 2021. 5. 7.
충북 청주 보살사 극락보전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56호 청주 보살사 극락보전 (淸州 菩薩寺 極樂寶殿) 분 류: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불전 수량/면적:1동 지정(등록)일:1980.01.09 소재지:충북 청주시 상당구 낙가산로 168 (용암동) 보살사는 신라 진흥왕 28년(567)에 의신이 처음 지었으며, 청주 근교에서 가장 오래된 유서 깊은 절이다. 아미타불을 모신 극락보전은 조선 초기에 지은 것으로 선조(재위 1567∼1608) 때 수리하였으며, 고종 9년(1872)에 다시 지었다. 앞면 3칸·옆면 2칸의 규모이며, 지붕 옆면이 사람 인(人)자 모양인 소박한 맞배지붕집이다. 지붕 처마를 받치면서 장식을 겸하는 공포는 기둥 위와 기둥 사이에도 배치된 다포식 건물이다. 안에는 석조이존병립여래상(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24호.. 2021. 5.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