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충북244

충북 단양 도담삼봉 종 목 : 명승 제44호 명 칭 : 단양 도담삼봉 (丹陽 島潭三峰) 분 류 : 자연유산 / 명승/ 역사문화명승 수량/면적 : 82,979㎡(지정구역) 지정일 : 2008.09.09 소재지 : 충북 단양군 단양읍 도담리 195번지 등 시 대 소유자 : 국유 관리자 : 단양군 「단양 도담삼봉(丹陽 島潭三峰)」은 절경이 특이하고 아름다워 단양팔경 중 으뜸으로 손꼽히며 단양군수를 지낸 이황을 비롯하여 황준량, 홍이상, 김정희, 김홍도, 이방운 등이 많은 시와 그림을 남긴 곳이다. 이곳에는 조선시대 개국공신인 정도전 탄생에 관련한 설화가 전해 내려오는데 정도전은 자신을 삼봉이라 자호할 정도로 이곳을 사랑했다고 전한다. 도담삼봉은 석회암 카르스트 지형이 만들어낸 원추 모양의 봉우리로 남한강이 휘돌아 이룬 깊은 못에.. 2016. 8. 21.
충북 충주 탑평리칠층석탑(중앙탑) 종   목 : 국보 제6호  명   칭 : 충주 탑평리 칠층석탑 (忠州 塔坪里 七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62.12.20 소재지 : 충청북도 충주시 중앙탑면 탑평리 11  시   대 : 통일신라 소유자 : 국유 관리자 : 충주시 남한강의 아름다운 경관과 잘 어우러져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석탑으로, 당시에 세워진 석탑 중 가장 규모가 크며, 우리나라의 중앙부에 위치한다고 해서 중앙탑(中央塔)이라고도 부르는 이 탑은 2단의 기단(基壇) 위에 7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이다.높은 탑신을 받치기 위해 넓게 시작되는 기단은 각 면마다 여러 개의 기둥 모양을 새겨 놓았고, 탑신부의 각 층 몸돌 역시 모서리마다 기둥 모양의 조각을 두었다. 몸돌.. 2016. 4. 27.
충북 청주 야경 충북 것대산에서 바라본 청주야경 2015.09.07 문현준 2016. 4. 15.
충북 영동 반야사삼층석탑 종 목 : 보물 제1371호 명 칭 : 영동 반야사 삼층석탑 (永同 般若寺 三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량/면적 : 지정일 : 2003.03.14 소재지 : 충북 영동군 황간면 백화산로 652 (우매리)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반야사 관리자 : 반야사주지 이 탑은 반야사의 경내에 건립되어 있는데, 원래 반야사 북쪽의 석천계곡 ‘탑벌’에 있던 것을 1950년에 지금의 자리로 이전한 것이라 한다. 지대석 위에 1층의 기단을 이루고 그 위에 3층의 탑신(몸돌)을 올린 석탑으로 높이는 335cm이다. 토단 위에 건립되어 있는데, 지대석으로부터 마지막 층까지 대체로 완전한 편이다. 지대석은 모두 6매의 판석으로 구성되었다. 지대석 윗면의 네 모서리에는 합각선이 돌출되어 있으며.. 2015. 12. 22.
충북 영동 반야사 부도 영동군 향토유적 제10,11호 반야사부도 2015.08.21 문현준 반야사 이전글보기 2011/10/14 - [한국의석탑/충청북도] - [충북]영동 반야사삼층석탑 2011/10/13 - [한국의석탑/충청북도] - [충북]영동 반야사 삼층석탑 2011/10/07 - [한국의법당/충청권] - [충북]영동 반야사 2011/10/07 - [한국의석탑/충청북도] - [충북]영동 반야사 삼층석탑 2015. 12. 22.
충북 충주 탑평리칠층석탑(중앙탑) 종   목 : 국보 제6호  명   칭 : 충주 탑평리 칠층석탑 (忠州 塔坪里 七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62.12.20 소재지 : 충청북도 충주시 중앙탑면 탑평리 11  시   대 : 통일신라 소유자 : 국유 관리자 : 충주시 남한강의 아름다운 경관과 잘 어우러져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석탑으로, 당시에 세워진 석탑 중 가장 규모가 크며, 우리나라의 중앙부에 위치한다고 해서 중앙탑(中央塔)이라고도 부르는 이 탑은 2단의 기단(基壇) 위에 7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이다.높은 탑신을 받치기 위해 넓게 시작되는 기단은 각 면마다 여러 개의 기둥 모양을 새겨 놓았고, 탑신부의 각 층 몸돌 역시 모서리마다 기둥 모양의 조각을 두었다. 몸돌.. 2015. 12. 1.
충주 탑평리 칠층석탑 (중앙탑) 종   목 : 국보 제6호  명   칭 : 충주 탑평리 칠층석탑 (忠州 塔坪里 七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62.12.20 소재지 : 충청북도 충주시 중앙탑면 탑평리 11  시   대 : 통일신라 소유자 : 국유 관리자 : 충주시 남한강의 아름다운 경관과 잘 어우러져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석탑으로, 당시에 세워진 석탑 중 가장 규모가 크며, 우리나라의 중앙부에 위치한다고 해서 중앙탑(中央塔)이라고도 부르는 이 탑은 2단의 기단(基壇) 위에 7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이다.높은 탑신을 받치기 위해 넓게 시작되는 기단은 각 면마다 여러 개의 기둥 모양을 새겨 놓았고, 탑신부의 각 층 몸돌 역시 모서리마다 기둥 모양의 조각을 두었다. 몸돌.. 2015. 11. 17.
충북 충주 추평리 삼층석탑 종 목 :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225호 명 칭 : 충주 추평리 삼층석탑 (忠州 楸坪里 三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2003.06.13 소재지 : 충북 충주시 엄정면 추평리 576-6번지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관리자 : 충주시 문 의 : 충청북도 충주시 문화체육과 043-850-6631~4 추평리(楸坪里) 탑평(塔坪) 마을에 위치하며 탑 주변의 경작지와 인근 민가일대까지 주초석과 많은 기와들이 나오고 있다. 또한 추평리사지의 암자로 추정되는 뒤쪽 8부 능선상에도 많은 기와가 확인되고 있다. 사명(寺名)은 밝혀진 바 없으나 자기(磁器)와 고려시대 와편(瓦片)들이 상당량 출토되고 있어 고려시대 전반기인 11세기경 축조된 탑으로 추정된다. 이.. 2015. 11. 17.
충북 충주 원평리 석조여래입상 종 목 :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18호 명 칭 : 충주 원평리 석조여래입상 (忠州 院坪里 石造如來立像) 분 류 : 유물 / 불교조각/ 석조/ 불상 수량/면적 : 1구 지정일 : 1976.12.21 소재지 : 충북 충주시 신니면 원평리 108번지 시 대 : 소유자 : 관리자 : 충주시 문 의 : 충청북도 충주시 문화체육과 043-850-6631~4 연꽃이 새겨진 대좌(臺座) 위에 8각형의 넓은 갓을 쓰고 서 있는 거대한 석불이다. 머리 위에는 상투 모양의 큼직한 머리묶음이 있으며, 얼굴은 이목구비가 뚜렷하고 풍만한 얼굴이다. 양감 넘치는 어깨와 당당한 하체, 양 어깨를 감싸고 있는 묵중한 옷은 불상의 격을 높여 주고 있다. 고려시대 경기·충청 일대에서 유행하던 석불입상의 형식을 잘 따르고 있는 이 불상은 .. 2015. 11.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