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충북244

충북 청주 용화사석탑 충북 청주 용화사석탑 2016.12.31 2019. 8. 19.
충북 괴산 수옥폭포 충북 괴산 수옥폭포 2016.08.07 문현준의사진속으로 폭포관련 이전글보기 2015/12/21 - [한국의산하/풍경및생태] - 전북 완주 위봉폭포 전북 완주 위봉폭포 전북 완주 위봉폭포 2015.08.19 문현준 위봉폭포 이전글보기 2011/11/24 - [한국의산하/풍경및생태] - [전북]완주 위봉폭포 sajin365.net 2014/11/19 - [한국의산하/풍경및생태] - [충북]괴산 수옥폭포 [충북]괴산 수옥폭포 충북 괴산군 연풍면 원평리 수옥폭포 2014.05.01 문현준 sajin365.net 2014/10/16 - [한국의산하/풍경및생태] - [제주]천지연폭포외 [제주]천지연폭포외 제주 천지연폭포 2014.02.16 문현준 sajin365.net 2011/11/24 - [한국의산하/풍경및생.. 2019. 8. 13.
충북 제천 장락동 칠층모전석탑 종 목 : 보물 제459호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등록)일 : 1967.06.23 소재지 : 충북 제천시 장락동 65-2번지 시 대 : 통일신라 소유자 : 국유 관리자 : 제천시 모전석탑이란 돌을 벽돌모양으로 깎아 쌓은 탑으로, 흙벽돌을 쌓아 올린 전탑을 모방하였다 하여 모전탑(模塼塔)이라고도 한다. 탑이 서있던 절터가 논밭으로 변하여 절의 규모는 알 수 없고, 7층에 이르는 거대한 이 탑이 주위를 압도하듯 버티고 서 있다. 회흑색의 점판암을 사용한 탑으로, 탑을 받치는 기단(基壇)만은 점판암이 아닌 자연석으로 1단을 마련하였으며, 그 위로 벽돌로 이루어진 7층의 탑신(塔身)을 올렸다. 탑신은 부처의 사리나 불경 등을 모셔두는 곳으로, 1층의 네 모서리에는.. 2017. 9. 6.
충북 괴산 수옥폭포 충북 괴산 수옥폭포 2016.04.10 이전글보기 2014/11/19 - [한국의산하/풍경및생태] - [충북]괴산 수옥폭포 2017. 6. 17.
충북 단양 향산리삼층석탑 종 목 : 보물 제405호 명 칭 : 단양 향산리 삼층석탑 (丹陽 香山里 三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64.09.03 소재지 : 충북 단양군 가곡면 향산1길 24 (향산리) 시 대 : 통일신라 소유자 : 국유 관리자 : 단양군 단양읍에서 동쪽으로 16㎞ 떨어진 산골짜기의 밭 한가운데에 서 있는 탑이다. 주변에 자기조각들과 기와가 널려 있어서 이 곳이 절터였음을 알려주고 있으나, 절의 흔적은 찾을 수 없다. 1935년경 탑 속의 사리를 도둑맞으면서 허물어졌던 탑을 마을 주민들이 다시 세웠다고 한다. 이 탑은 2단의 기단(基壇) 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세운 형태이다. 기단은 여러 장의 길고 큰 돌로 바닥돌을 놓고 그 위에 쌓은 모습이며, 각 .. 2017. 1. 17.
충북 단양 향산리 삼층석탑 종 목 : 보물 제405호 명 칭 : 단양 향산리 삼층석탑 (丹陽 香山里 三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64.09.03 소재지 : 충북 단양군 가곡면 향산1길 24 (향산리) 시 대 : 통일신라 소유자 : 국유 관리자 : 단양군 단양읍에서 동쪽으로 16㎞ 떨어진 산골짜기의 밭 한가운데에 서 있는 탑이다. 주변에 자기조각들과 기와가 널려 있어서 이 곳이 절터였음을 알려주고 있으나, 절의 흔적은 찾을 수 없다. 1935년경 탑 속의 사리를 도둑맞으면서 허물어졌던 탑을 마을 주민들이 다시 세웠다고 한다. 이 탑은 2단의 기단(基壇) 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세운 형태이다. 기단은 여러 장의 길고 큰 돌로 바닥돌을 놓고 그 위에 쌓은 모습이며, 각 .. 2017. 1. 6.
충북 충주 탑평리칠층석탑(중앙탑) 종   목 : 국보 제6호  명   칭 : 충주 탑평리 칠층석탑 (忠州 塔坪里 七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62.12.20 소재지 : 충청북도 충주시 중앙탑면 탑평리 11  시   대 : 통일신라 소유자 : 국유 관리자 : 충주시 남한강의 아름다운 경관과 잘 어우러져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석탑으로, 당시에 세워진 석탑 중 가장 규모가 크며, 우리나라의 중앙부에 위치한다고 해서 중앙탑(中央塔)이라고도 부르는 이 탑은 2단의 기단(基壇) 위에 7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이다.높은 탑신을 받치기 위해 넓게 시작되는 기단은 각 면마다 여러 개의 기둥 모양을 새겨 놓았고, 탑신부의 각 층 몸돌 역시 모서리마다 기둥 모양의 조각을 두었다. 몸돌.. 2017. 1. 6.
충북 제천 청풍 팔영루 종 목 :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35호 명 칭 : 제천 청풍 팔영루 (堤川 淸風 八詠樓) 분 류 : 유적건조물 / 교통통신/ 교통/ 도로 수량/면적 : 1동 지정일 : 1976.12.21 소재지 : 충북 제천시 청풍면 청풍호로 2048 (물태리) 시 대 : 조선시대 소유자 : 관리자 : 제천시 문 의 : 충청북도 제천시 문화관광과 043-641-5133~4 옛 청풍부를 드나드는 관문이었던 누문으로 고종(재위 1863∼1907) 때의 부사 민치상이 청풍 8경을 노래한 팔영시로 인하여 팔영루라 불리게 되었다. 조선 숙종 28년(1702)에 부사 이기홍이 현덕문이라고 한 자리에 고종 7년(1870) 부사 이직현이 다시 지었다. 충주댐 건설로 인하여 1983년 지금 위치로 옮겨 지었다. 앞면 3칸·옆면 2칸 규.. 2017. 1. 6.
충북 단양 향산리삼층석탑 종 목 : 보물 제405호 명 칭 : 단양 향산리 삼층석탑 (丹陽 香山里 三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64.09.03 소재지 : 충북 단양군 가곡면 향산1길 24 (향산리) 시 대 : 통일신라 소유자 : 국유 관리자 : 단양군 단양읍에서 동쪽으로 16㎞ 떨어진 산골짜기의 밭 한가운데에 서 있는 탑이다. 주변에 자기조각들과 기와가 널려 있어서 이 곳이 절터였음을 알려주고 있으나, 절의 흔적은 찾을 수 없다. 1935년경 탑 속의 사리를 도둑맞으면서 허물어졌던 탑을 마을 주민들이 다시 세웠다고 한다. 이 탑은 2단의 기단(基壇) 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세운 형태이다. 기단은 여러 장의 길고 큰 돌로 바닥돌을 놓고 그 위에 쌓은 모습이며, 각 .. 2016. 8.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