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충북249

충북 괴산 보안사삼층석탑 보물 괴산 보안사 삼층석탑 (槐山 寶安寺 三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2000.08.04 소재지 : 충북 괴산군 청안면 효근1길 23 (효근리) 시   대 : 고려 중기 보안사의 북쪽 담장 옆에 자리하고 있는 석탑으로, 1단의 기단(基檀)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이다. 기단은 네 모서리에 기둥 모양을 본떠 새기고, 탑신의 1층 몸돌 남쪽 면에는 감실(龕室:불상을 모셔두는 방)을 본떠 간략히 조각해 두었다. 충북지역에서 발견된 석탑 가운데에는 이처럼 탑신에 감실을 새긴 예가 드물어 특이한 양식이라 할 수 있다. 석탑의 각 부분이 훼손되지 않은 비교적 완전한 모습으로, 탑신부가 균형을 보이고 있어 안정감을 준다. 지붕돌 밑면의 받침.. 2024. 11. 24.
충북 괴산 보광사 충북 괴산 보광사2024.06.09괴산 보광사 이전글보기2021.05.23 - [한국의법당/충청북도] - 충북 괴산 보광사 충북 괴산 보광사충북 괴산 보광사 2021.04.17sajin365.net 2024. 11. 23.
충북 충주 탑평리칠층석탑(중앙탑) 및 유학사지삼층석탑 국보 충주 탑평리 칠층석탑 (忠州 塔坪里 七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62.12.20 소재지 : 충청북도 충주시 중앙탑면 탑평리 11 시   대 : 통일신라시대 8세기 남한강의 아름다운 경관과 잘 어우러져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석탑으로, 당시에 세워진 석탑 중 가장 규모가 크며, 우리나라의 중앙부에 위치한다고 해서 중앙탑(中央塔)이라고도 부르는 이 탑은 2단의 기단(基壇) 위에 7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이다. 높은 탑신을 받치기 위해 넓게 시작되는 기단은 각 면마다 여러 개의 기둥 모양을 새겨 놓았고, 탑신부의 각 층 몸돌 역시 모서리마다 기둥 모양의 조각을 두었다. 몸돌을 덮고 있는 지붕돌은 네 귀퉁이 끝이 경쾌하게 치켜올려 있어.. 2024. 10. 16.
충북 충주 대영베이스 CC 석탑 충북 충주 대영베어스 CC 소경 충주 대영베어스 내 해저드에 뜬금없이 석탑 한기 2024.04.09 2024. 10. 16.
충북 제천 신륵사 삼층석탑 보물 제천 신륵사 삼층석탑 (堤川 神勒寺 三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등록)일 : 1999.06.23 소재지 : 충북 제천시 덕산면 월악산로4길 180 (월악리) 시   대 : 고려시대 초기 신륵사에 세워져 있는 탑으로, 2단의 기단(基壇) 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이다. 기단은 각 면의 모서리와 가운데에 기둥 모양을 하나씩 본떠 새겼고, 탑신에서도 역시 몸돌의 모서리마다 기둥 모양의 조각을 두었다. 지붕돌은 밑면의 받침수가 층마다 4단이며, 빗물을 받는 낙수면은 경사를 약하게 두었고, 네 귀퉁이에서 약간씩 치켜 올려진 상태이다. 꼭대기에는 머리장식으로 노반, 복발, 앙화, 보륜, 보개(寶蓋:지붕모양의 장식) 등이 올려져 있으며, 머.. 2024. 9. 24.
충북 제천 신륵사 충청북도 유형문화유산 제천 신륵사 극락전 (堤川 神勒寺 極樂殿)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불전 수량/면적 : 1동 지정(등록)일 : 1982.12.17 소재지 : 충청북도 제천시 월악산로4길 180 (덕산면) 신륵사는 월악산 기슭에 있는 절로 신라 진평왕 4년(582) 아도가 지었다고 하나 연대가 확실하지 않다. 그 뒤 신라 문무왕(재위 661∼681) 때 원효가 고쳤다고 하며, 조선 선조(재위 1567∼1608) 때 사명대사가 다시 지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신륵사 극락전은 아미타불을 모시는 건물이다. 앞면 3칸·옆면 3칸이며, 지붕 옆면이 사람 인(人)자 모양인 맞배지붕집이다.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해 장식하여 만든 공포는 기둥 위와 기둥 사이에도 있는 다포계 양식의 건물이다.. 2024. 9. 24.
충북 제천 사자빈신사지 사사자 구층석탑 보물 제천 사자빈신사지 사사자 구층석탑 (堤川 獅子頻迅寺址 四獅子 九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등록)일 : 1963.01.21 소재지 : 충북 제천시 한수면 송계리 1002-1번지 시   대 : 고려 현종 13년(1022) 빈신사터에 세워져 있는 고려시대의 탑으로 상·하 2단으로 된 기단 위에 4층의 지붕돌을 얹은 모습이다. 아래기단은 글이 새겨져 있어 탑의 조성 경위를 알 수 있으며 위기단은 사자 4마리를 배치하여 탑신을 받치고 있는 특이한 모습이다. 네 모서리에 한마리씩 배치한 사자의 안쪽 공간에 불상을 모셔 두었다. 앉은 모습의 불상은 특이하게도 두건을 쓰고 있으며 표정이 매우 흥미롭다. 이러한 양식은 통일신라시대의 구례 화엄사 사사자 삼.. 2024. 9. 24.
충북 진천 한반도지형 충북 진천 한반도지형 전망대 일몰2023.10.02진천 한반도지형 이전글보기2020.01.07 - [한국의산하/풍경및생태] - 충북 진천 두타산 한반도 지형 충북 진천 두타산 한반도 지형충북 진천 두타산 한반도지형 전망대에서 2019.12.04sajin365.net 2024. 8. 5.
충북 진천 지암리 석조여래입상 충청북도 유형문화유산 진천 지암리 석조여래입상 (鎭川 芝岩里 石造如來立像) 분   류 : 유물 / 불교조각 / 석조 / 불상 수량/면적 : 1구 지정일 : 2002.04.26 소재지 : 충북 진천군 진천읍 금사로 252-106, 문수암 (지암리) 시   대 : 고려시대 초기 이 불상은 미륵산(彌勒山) 높은 산봉우리 가까이 위치하였는데 뒤편 숲속에 드러나 있던 것을 1970년대에 수습하여 현재의 위치에 세운 석가여래입상으로 전체 높이 180㎝이다. 민머리의 정수리 부분에는 상투 모양의 머리(육계)가 큼직하게 솟아 있고, 얼굴은 원만하며 눈·코·입 또한 솜씨있게 처리되어 있다. 양쪽 귀는 긴 편이 아니나 목에는 3줄의 주름인 삼도(三道)가 뚜렷하며, 양 어깨를 감싸고 있는 옷은 가슴에 굵은 옷주름이 표현되었.. 2024. 8.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