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충북244

충북 제천 신륵사 충청북도 유형문화유산 제천 신륵사 극락전 (堤川 神勒寺 極樂殿)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불전 수량/면적 : 1동 지정(등록)일 : 1982.12.17 소재지 : 충청북도 제천시 월악산로4길 180 (덕산면) 신륵사는 월악산 기슭에 있는 절로 신라 진평왕 4년(582) 아도가 지었다고 하나 연대가 확실하지 않다. 그 뒤 신라 문무왕(재위 661∼681) 때 원효가 고쳤다고 하며, 조선 선조(재위 1567∼1608) 때 사명대사가 다시 지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신륵사 극락전은 아미타불을 모시는 건물이다. 앞면 3칸·옆면 3칸이며, 지붕 옆면이 사람 인(人)자 모양인 맞배지붕집이다.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해 장식하여 만든 공포는 기둥 위와 기둥 사이에도 있는 다포계 양식의 건물이다.. 2024. 9. 24.
충북 제천 사자빈신사지 사사자 구층석탑 보물 제천 사자빈신사지 사사자 구층석탑 (堤川 獅子頻迅寺址 四獅子 九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등록)일 : 1963.01.21 소재지 : 충북 제천시 한수면 송계리 1002-1번지 시   대 : 고려 현종 13년(1022) 빈신사터에 세워져 있는 고려시대의 탑으로 상·하 2단으로 된 기단 위에 4층의 지붕돌을 얹은 모습이다. 아래기단은 글이 새겨져 있어 탑의 조성 경위를 알 수 있으며 위기단은 사자 4마리를 배치하여 탑신을 받치고 있는 특이한 모습이다. 네 모서리에 한마리씩 배치한 사자의 안쪽 공간에 불상을 모셔 두었다. 앉은 모습의 불상은 특이하게도 두건을 쓰고 있으며 표정이 매우 흥미롭다. 이러한 양식은 통일신라시대의 구례 화엄사 사사자 삼.. 2024. 9. 24.
충북 진천 한반도지형 충북 진천 한반도지형 전망대 일몰2023.10.02진천 한반도지형 이전글보기2020.01.07 - [한국의산하/풍경및생태] - 충북 진천 두타산 한반도 지형 충북 진천 두타산 한반도 지형충북 진천 두타산 한반도지형 전망대에서 2019.12.04sajin365.net 2024. 8. 5.
충북 진천 지암리 석조여래입상 충청북도 유형문화유산 진천 지암리 석조여래입상 (鎭川 芝岩里 石造如來立像) 분   류 : 유물 / 불교조각 / 석조 / 불상 수량/면적 : 1구 지정일 : 2002.04.26 소재지 : 충북 진천군 진천읍 금사로 252-106, 문수암 (지암리) 시   대 : 고려시대 초기 이 불상은 미륵산(彌勒山) 높은 산봉우리 가까이 위치하였는데 뒤편 숲속에 드러나 있던 것을 1970년대에 수습하여 현재의 위치에 세운 석가여래입상으로 전체 높이 180㎝이다. 민머리의 정수리 부분에는 상투 모양의 머리(육계)가 큼직하게 솟아 있고, 얼굴은 원만하며 눈·코·입 또한 솜씨있게 처리되어 있다. 양쪽 귀는 긴 편이 아니나 목에는 3줄의 주름인 삼도(三道)가 뚜렷하며, 양 어깨를 감싸고 있는 옷은 가슴에 굵은 옷주름이 표현되었.. 2024. 8. 5.
충북 진천 용화사 석조여래입상 충청북도 유형문화유산 진천 용화사 석조여래입상 (鎭川 龍華寺 石造如來立像) 분   류 : 유물 / 불교조각 / 석조 / 불상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84.12.31 소재지 :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신정리 584-4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신정리에 있는 높이 7m의 커다란 불상으로 타원형의 얼굴에 은근한 미소가 보인다. 머리 꼭지에는 벙거지 같은 것이 올려져 있는데 나중에 고친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목에는 3줄로 새겨진 삼도(三道)가 있고 그 아래에 표현된 목걸이 장식은 얼굴과 함께 불상을 돋보이게 하고 있다. 신체는 부피감이 거의 없는 커다란 직사각형을 이루고 있다. 옷은 가슴을 드러낸 채 양 어깨에 걸쳐 입었고 하체에는 U자 모양의 주름을 겹쳐 나타냈다. 가슴 앞에 들고 있는 오른손이나, .. 2024. 8. 5.
충북 진천 배티성 충청북도 기념물 진천 배티 성지 (鎭川 梨峙 聖地)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천주교 / 성당 수량/면적 : 3개소, 일원(6필지 2,197㎡) 지정일 : 2011.03.04 소재지 : 충청북도 진천군 배티로 708 (백곡면) 시   대 : 1850~1860년대 진천 배티 성지[鎭川 梨峙 聖地]는 한국 천주교회사에서 중요한 성지로 박해를 피해 숨어들은 천주교 신자들에 의해 1830년대에 敎友村이 형성되었으며, 1850년에는 프랑스 선교사 다블뤼(한국 성명 安敦伊) 성인 주교가 설립한 우리나라 최초의 신학교인 朝鮮敎區神學校가 자리를 잡았던 곳이다. 또한 우리나라 최초의 유학생이며 두 번째 신부인 崔良業(1821~1861년, 세례명 : 토마스) 신부를 비롯하여 프랑스 선교사 프티니콜라(한국 .. 2024. 8. 5.
충북 옥천 금암리 삼층석탑 충북 옥천 금암리삼층석탑2023.18.15금암리삼층석탑 이전글보기2012.06.13 - [한국의석탑/충청북도] - [충북]옥천 금암리삼층석탑 [충북]옥천 금암리삼층석탑충북 옥천군 동이면 금암리 금암리사지석탑 2012.04.14 문현준sajin365.net 2024. 7. 30.
충북 옥천 두암리 삼층석탑 충청북도 유형문화유산 옥천 두암리 삼층석탑 (沃川 斗岩里 三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82.12.17 소재지 : 충북 옥천군 이원면 이원리 582-3번지 두암마을의 민가 옆에 자리하고 있는 탑으로, 주위에서 고려시대의 기와조각이 발견되어 이곳이 당시의 옛 절터임을 알게 되었다. 탑은 전체의 무게를 받치는 기단(基壇)을 2층으로 쌓고, 그 위로 3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으로, 꼭대기의 머리장식을 제외하고는 대체로 본모습을 잘 간직하고 있다. 아래층 기단에는 각 면마다 3개씩의 안상(眼象)을 움푹 들어가게 새겼고, 위층 기단에는 4면의 모서리와 가운데에 기둥모양의 조각을 두었다. 탑신부의 1층 몸돌에는 한쪽면에 문짝모양을 새겼는데 그 .. 2024. 7. 30.
충북 옥천 용암사 동·서 삼층석탑 보물 옥천 용암사 동·서 삼층석탑 (沃川 龍岩寺 東·西 三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면적 : 2기 지정일 : 2002.03.12 소재지 : 충북 옥천군 옥천읍 삼청리 산51-1번지 용암사 시   대 : 고려시대 용암사는 신라 진흥왕 13년(552) 때 의신(義信)이 세운 사찰이다. 이 석탑은 일반적인 가람배치와 달리 대웅전의 앞이 아니라 사방이 한 눈에 조망되는 북쪽 낮은 봉우리에 있다. 석탑이 사방의 조망권이 확보된 위치에 건립된 것으로 보아 고려시대에 이르러 성행했던 산천비보(山川裨補)사상에 의해 건립된 것으로 추정된다. 산천비보사상이란, 탑이나 건물을 건립해 산천의 쇠퇴한 기운을 북돋아준다는 것이다. 같은 모양의 석탑 2기는 이층 기단 위에 3층의 탑신을 올렸.. 2024. 7.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