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층석탑7 경기 남양주 묘적사 팔각다층석탑 경기도 유형문화유산 남양주 묘적사 팔각다층석탑 (南楊州 妙寂寺 八角多層石塔) 분 류 : 유물 / 불교공예 / 기타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2013.11.12 소재지 : 경기도 남양주시 와부읍 월문리 349 시 대 : 16세기 초 우리나라에서 흔하지 않은 팔각다층석탑으로 묘적사 대웅전 앞에 건립되어 있다. 기초가 되는 지대석은 2장의 판석으로 구성했으며, 팔각형으로 되어있다. 지대석 위에는 2매 석으로 구성된 하층 기단을 놓았는데, 측면 하단에는 상각(象脚) 문양을 조각했고, 상단에는 각 면에 사각형 액(額)으로 공간을 구획한 후에 2조의 안상(眼象)문양을 조각했다. 상층기단은 아래서부터 하대, 중대석, 상대의 순서로 배치되어있다. 하대에는 상각, 안상(眼象)문양, 복연 연판문양 순서로 표현.. 2024. 8. 13. 경남 진주 묘엄사지삼층석탑외 진주 석탑들 명 칭 : 두방암다층석탑 (杜芳庵多層石塔) 종 목 :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200호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82.08.02 소재지 : 경남 진주시 문산읍 상문리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관리자 : 두방암 문 의 : 경상남도 진주시 문화관광담당관실 055-749-2053 두방암에 자리하고 있는 탑으로, 원래 법륜사에 있던 것을 임진왜란으로 절이 없어져 이곳으로 옮겨 놓은 것이다. 푸른빛이 도는 점판암을 이용해 만든 것으로 일명 청석탑(靑石塔)이라 한다. 기단부(基壇部)의 바닥돌은 탑을 옮겨 세울 때 새로 시멘트로 만들었고, 각 기단의 맨윗돌에는 연꽃을 새겨 장식하였다. 탑신부(塔身部)는 부서지기 쉬운 돌의 특성상 상자모양의 몸돌과 얇은 지붕돌을.. 2015. 12. 17. [충북]충주 창룡사 다층청석탑 종 목 : 충청북도 문화재자료 제56호 명 칭 : 충주 창룡사 다층청석탑 (忠州 蒼龍寺 多層靑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2006.06.30 소재지 : 충청북도 충주시 고든골길 63-89 (직동, 창룡사)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관리자 : 문 의 : 충청북도 충주시 문화체육과 043-850-6631~4 높이 35센티미터의 화강암 탑신석 위에 9층의 점판암제 옥개석이 올려져 있다. 평면 정사각형이며 초층 및 2층 옥개석 하면에는 연판문이 장식되어 있으며 그 이상은 각형 층급받침을 새기고 있다. 충주 지역에서는 다른 예가 없으며 전국적으로도 몇 기 안되는 청석탑으로 규모는 작으나 공예품과 같은 아름다움을 지니고 있다. 자료바로가기 : 문화재청 극.. 2015. 8. 5. [경기]여주 신륵사 다층석탑 종 목 : 보물 제225호 명 칭 : 여주 신륵사 다층석탑 (驪州 神勒寺 多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63.01.21 소재지 : 경기도 여주시 신륵사길 73 (천송동) 시 대 : 조선시대 소유자 : 신륵사 관리자 : 신륵사 신륵사 극락보전 앞에 있는 탑으로, 기단(基壇)을 2단으로 마련한 후, 그 위로 여러 층의 탑신(塔身)을 세운 모습이다. 통일신라와 고려시대의 일반적인 석탑양식을 따르고 있으나 각 부분의 세부적인 조형방법은 전혀 달라서, 기단에서부터 탑신부까지 전부 한 장씩의 돌로 이루어져 있다. 바닥돌 윗면에는 연꽃을 돌려 새겼다. 아래층 기단의 네 모서리에 새겨진 기둥조각은 형식적이나, 특이하게도 물결무늬를 돋을새김해 두어 눈길을 끈다.. 2015. 7. 9. [경북]문경 미면사지다층석탑 기단부 경북 문경 미면사지 다층석탑 기단부 2012.09.11 문현준 2013. 3. 4. [전북]김제 금산사육각다층석탑 종 목 : 보물 제27호 명 칭 : 김제 금산사 육각 다층석탑 (金堤 金山寺 六角 多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 량 : 1기 지정일 : 1963.01.21 소재지 : 전북 김제시 금산면 모악15길 1, 금산사 (금산리)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금산사 관리자 : 금산사 금산사 소속의 봉천원(奉天院)에 있던 것을 현재 자리인 대적광전 앞의 왼쪽으로 옮겨 왔다. 우리나라의 탑이 대부분 밝은 회색의 화강암으로 만든 정사각형의 탑인데 비해, 이 탑은 흑백의 점판암으로 만든 육각다층석탑이다. 탑을 받치는 기단(基壇)에는 연꽃조각을 아래위로 장식하였다. 탑신부(塔身部)는 각 층마다 몸돌이 있었으나 지금은 가장 위의 2개 층에만 남아 있다. 몸돌은 각 귀퉁이마다 기둥모양이 새겨져 .. 2012. 2. 7. [충남]아산 세심사 다층석탑 세심사다층탑 종 목 : 문화재자료 제231호 (충남)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 량 : 1기 지정일 : 1984.05.17 소재지 : 충남 아산시 염치면 산양리 시 대 : 신라 소유자 : 세심사 관리자 : 세심사 연락처 : 충청남도 아산시 문화관광과 041-540-2546 문현준의사진속으로[2009.07.16] 2011. 10. 21.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