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마애여래입상4

충북 옥천 용암사 마애여래입상 충청북도 유형문화유산 옥천 용암사 마애여래입상 (沃川 龍岩寺 磨崖如來立像) 분  류 : 유물 / 불교조각 / 석조 / 불상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76.12.21 소재지 : 충북 옥천군 옥천읍 삼청리 산51-1번지 신라 진흥왕 13년(552)에 창건한 용암사에 있는 마애불로 방 모양으로 암벽을 파고 그 안에 불상을 도드라지게 새겼는데, 붉은 바위색이 퍽 인상적인 작품이다. 사찰에서는 마의태자상이라고 하는데 마의태자를 추모하였던 신라 도공의 후손이 염불하는 태자의 모습을 그리워하며 미륵불을 조각하였다고 한다. 이 마애불은 영험이 있어 기도하면 이루어지지 않는 것이 없다고 전한다. 발을 좌우로 벌리고 연꽃대좌 위에 서 있으며, 가늘고 긴 눈, 작은 입, 가는 코 등이 묘사된 얼굴에는 파격적인 미소.. 2024. 7. 30.
경기 이천 영월암 마애여래입상 종 목 : 보물 제822호 명 칭 : 이천 영월암 마애여래입상 (利川 映月庵 磨崖如來立像) 분 류 : 유물 / 불교조각/ 석조/ 불상 수량/면적 : 1좌 지정일 : 1985.01.08 소재지 : 경기 이천시 관고동 산64-1번지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국유 관리자 : 이천시 높이 7∼8m의 자연 암석을 다듬고 바위면 전체에 꽉 채워 조각한 마애불로 전체적으로 장대하며 힘찬 솜씨를 보이고 있어 고려 초기에 만든 것으로 추정된다. 머리와 양 손은 얕은 돋을새김으로 표현하였고 옷주름 등은 선으로 조각되었다. 원만하고 둥근 얼굴에 이목구비가 크고 뚜렷하며 지그시 감은 듯한 눈과 굵직한 코, 두터운 입술 등에서 힘차고 후덕한 고승의 느낌을 갖게 한다. 양 손은 가슴에 모아 엄지와 약지를 맞대고 있으며, 손.. 2015. 10. 2.
[경기]이천 영월암 마애여래입상 종 목 : 보물 제822호 명 칭 : 이천 영월암 마애여래입상 (利川 映月庵 磨崖如來立像) 분 류 : 유물 / 불교조각/ 석조/ 불상 수량/면적 : 1좌 지정일 : 1985.01.08 소재지 : 경기 이천시 관고동 산64-1번지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국유 관리자 : 이천시 높이 7∼8m의 자연 암석을 다듬고 바위면 전체에 꽉 채워 조각한 마애불로 전체적으로 장대하며 힘찬 솜씨를 보이고 있어 고려 초기에 만든 것으로 추정된다. 머리와 양 손은 얕은 돋을새김으로 표현하였고 옷주름 등은 선으로 조각되었다. 원만하고 둥근 얼굴에 이목구비가 크고 뚜렷하며 지그시 감은 듯한 눈과 굵직한 코, 두터운 입술 등에서 힘차고 후덕한 고승의 느낌을 갖게 한다. 양 손은 가슴에 모아 엄지와 약지를 맞대고 있으며, 손.. 2015. 6. 4.
[충남]천안 삼태리마애여래입상 종 목 : 보물 제407호명 칭 : 천안 삼태리 마애여래입상 (天安 三台里 磨崖如來立像)분 류 : 유물 / 불교조각/ 석조/ 불상수 량 : 1좌지정일 : 1964.09.03소재지 : 충남 천안시 동남구 풍세면 휴양림길 70 (삼태리)시 대 : 고려시대소유자 : 국유관리자 : 천안시 충청남도 천안시 풍세면 태학산의 해선암 뒷산 기슭 큰 바위에 높이 7.1m나 되는 거대한 불상이 조각되어 있으며 마애불 윗부분의 바위에는 건물이 있었던 흔적이 남아 있다. 얼굴 부분은 도드라지게 조각하고 신체는 선을 이용하여 표현하였는데, 이는 고려 후기 마애불의 일반적인 양식으로 이 작품이 만들어진 시기를 짐작할 수 있게 해준다. 민머리 위에는 둥근 상투 모양의 머리묶음이 큼직하게 솟아 있다. 양감있는 넓적한 얼굴은 가는 눈.. 2013. 8.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