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보령41

충남 보령 성주사지 , 오층석탑외 사적  보령 성주사지 (保寧 聖住寺址)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사찰 수량/면적 : 67,295㎡ 지정일 : 1984.08.13 소재지 : 충남 보령시 성주면 성주리 72번지 시   대 : 신라 문성왕 보령 성주산 남쪽 기슭에 있는 9산선문의 하나인 성주사가 있던 자리이다. 백제 법왕 때 처음 지어졌는데 당시에는 오합사(烏合寺)라고 부르다가, 신라 문성왕때 당나라에서 돌아온 낭혜화상이 절을 크게 중창하면서 성주사라고 하였다. 산골에 자리잡고 있는 절이지만 통일신라시대의 다른 절과는 달리 평지에 자리하는 가람의 형식을 택하였다. 절터에는 남에서부터 차례로 중문처, 석등, 5층석탑(보물), 금당건물과 그뒤에 동서로 나란히 서있는 동삼층석탑, 중앙 3층석탑(보물), 서 3층석탑(보물).. 2024. 10. 10.
충남 보령 충정공 이시방 신도비 보령 충정공 이시방 신도비  보령시 향토문화유산 제9호 (2019.05.10 지정) 충남 보령시 오천면 영보리 53-2번지외   이시방 신도비는 이시방의 묘소 인근에 세운 비석으로, 조선 중기 양반가 신도비의 전형적인 형식을 반영하고 있는 자료이다. 우암 송시열이 비문을 짓고 송준길이 세우려고 비신까지 마련하였으나, 정치적으로 몰락하여 세우지 못하고 묘지 인근에 묻힌것이 1953년 폭우로 비석이 드러나 이곳에 다시 세웠다. 비문 3,000여자에 대동법의 실시 정묘호란 병자호란등이 기록되어 있어 조선 중기의 사회상을 알 수 있는 소중한 자료이다.  충정공 이시방(1594~1660)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인조반정에 참여하여 정사공신으로 녹훈되었으며, 정묘호란 당시 강화의 군비를 정비하고 8도의 군량미를 조.. 2024. 10. 1.
충남 보령 학성리 공룡화석지 일몰 충남 보령 학성리 공룡화석지 일몰 2024. 7. 30.
충남 보령 성주산에서 바라본 야경 충남 보령 성주산 전망대에서 바라본 보령야경 2022.10.12 촬영 2023. 9. 14.
충남 보령 성주사지 석탑 사적 보령 성주사지 (保寧 聖住寺址)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사찰 수량/면적 : 67,295㎡ 지정일 : 1984.08.13 소재지 : 충남 보령시 성주면 성주리 72번지 시 대 : 신라 문성왕 보령 성주산 남쪽 기슭에 있는 9산선문의 하나인 성주사가 있던 자리이다. 백제 법왕 때 처음 지어졌는데 당시에는 오합사(烏合寺)라고 부르다가, 신라 문성왕때 당나라에서 돌아온 낭혜화상이 절을 크게 중창하면서 성주사라고 하였다. 산골에 자리잡고 있는 절이지만 통일신라시대의 다른 절과는 달리 평지에 자리하는 가람의 형식을 택하였다. 절터에는 남에서부터 차례로 중문처, 석등, 5층석탑(보물), 금당건물과 그뒤에 동서로 나란히 서있는 동삼층석탑, 중앙 3층석탑(보물), 서 3층석탑(보물)가 있고 .. 2023. 9. 14.
충남 보령 성주산 전망대 충남 보령 성주산 전망대에서 바라본 보령 2021.09.04 촬영 2022. 1. 6.
충남 보령 성주사지 석탑 보령성주사지 사적 제307호 분 류 : 유적건조물/종교신앙/불교/사찰 수량/면적 : 67,295㎡ 지정(등록)일 : 1984.08.13 소재지 : 충남 보령시 성주면 성주리 72번지 시 대 : 통일신라 자 료 : 국가문화유산포탈 보령 성주산 남쪽 기슭에 있는 9산선문의 하나인 성주사가 있던 자리이다. 백제 법왕 때 처음 지어졌는데 당시에는 오합사(烏合寺)라고 부르다가, 신라 문성왕때 당나라에서 돌아온 낭혜화상이 절을 크게 중창하면서 성주사라고 하였다. 산골에 자리잡고 있는 절이지만 통일신라시대의 다른 절과는 달리 평지에 자리하는 가람의 형식을 택하였다. 절터에는 남에서부터 차례로 중문처, 석등, 5층석탑(보물 제19호), 금당건물과 그뒤에 동서로 나란히 서있는 동삼층석탑, 중앙 3층석탑(보물 제20호),.. 2022. 1. 6.
충남 보령 천북 청보리밭 충남 보령 천북면 하만리 청보리밭에서.. 2021.05.02 2021. 6. 15.
충남 보령 성주사지 보령성주사지 사적 제307호 분 류 : 유적건조물/종교신앙/불교/사찰 수량/면적 : 67,295㎡ 지정(등록)일 : 1984.08.13 소재지 : 충남 보령시 성주면 성주리 72번지 시 대 : 통일신라 소유자(소유단체) 관리자(관리단체) : 보령시 자 료 : 국가문화유산포탈 보령 성주산 남쪽 기슭에 있는 9산선문의 하나인 성주사가 있던 자리이다. 백제 법왕 때 처음 지어졌는데 당시에는 오합사(烏合寺)라고 부르다가, 신라 문성왕때 당나라에서 돌아온 낭혜화상이 절을 크게 중창하면서 성주사라고 하였다. 산골에 자리잡고 있는 절이지만 통일신라시대의 다른 절과는 달리 평지에 자리하는 가람의 형식을 택하였다. 절터에는 남에서부터 차례로 중문처, 석등, 5층석탑(보물 제19호), 금당건물과 그뒤에 동서로 나란히 서있.. 2018. 8.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