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상원사4

강원 평창 오대산 적멸보궁 보물 평창 오대산 중대 적멸보궁 (平昌 五臺山 中臺 寂滅寶宮)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불전 수량/면적 : 일곽 지정일 : 2018.07.04 소재지 : 강원도 평창군 오대산로 1211-92 (진부면, 월정사 적멸보궁) 시 대 : 조선시대 평창 오대산 중대 적멸보궁은 유례를 찾아 볼 수 없는 독특한 구조인 내·외부 이중구조의 불전 건축물이다. 내부와 외부 건물 모두 동일하게 정면 3칸, 측면 2칸으로 외부는 익공식, 내부는 다포식 건축양식이다. 외부 건물은 조선 후기(19세기)의 보편적인 이익공양식 구조를 보이지만, 내부 건물은 기둥의 편수깍기, 창방뺄목의 형태, 살미와 첨차의 공안, 모각소로의 표현, 앙서 상면의 곡선처리 등 부재의 치목수법과 구성형식이 조선 초·중기의 건.. 2025. 8. 1.
[강원]평창 오대산 상원사석탑 문현준의사진속으로[2011.10.03 촬영] 2011. 12. 14.
[강원]평창 상원사에서 상원사 석탑을 잠시 보러 갔다가... 문현준의사진속으로[2011.10.03 촬영] 2011. 12. 14.
[강원]평창 상원사동종 상원사동종 주 소 : 강원 평창군 진부면 동산리 산1 상원사 종 목 : 국보 36 지정일 : 1962.12.20 시 대 : 통일신라시대 오대산 상원사에 있는 동종으로 신라 성덕왕 24년(725)에 만들어졌다. 경주 성덕대왕신종(국보 제29호)과 더불어 우리나라에 남아있는 완형의 통일신라시대 범종 3구 중 하나이며, 크기는 높이 167cm, 입지름 91cm이다. 이 종의 맨 위에는 큰 머리에 굳센 발톱의 용이 고리를 이루고 있고, 소리의 울림을 도와주는 음통(音筒)이 연꽃과 덩굴 무늬로 장식되어 있다. 종 몸체의 아래 위에 있는 넓은 띠와 사각형의 유곽은 구슬 장식으로 테두리를 하고 그 안쪽에 덩굴을 새긴 다음 드문드문 1∼4구의 악기를 연주하는 주악상(奏樂像)을 두었다. 네 곳의 유곽 안에는 연꽃 모양의.. 2011. 12.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