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서천66

충남 서천 장항 일몰 충남 서천 장항 일몰2024.08.24 2025. 1. 25.
충남 장항 송림삼림욕장 맥문동 충남 서천 장항 송림산림욕장 맥문동2024.08.24 2025. 1. 25.
충남 서천 동백정 일몰 충남 서천 동백정 일몰2024.03.10동백정 낙조 이전글보기2011.11.11 - [한국의산하/일출및일몰] - [충남]서천 동백정 일몰 [충남]서천 동백정 일몰충남 서천 동백정 일몰 문현준의사진속으로[2009.09.01]sajin365.net2022.09.21 - [한국의문화유산/충청남도] - 충남 서천 동백정 충남 서천 동백정충남 서천 마량당집 충남 서천 동백정에서 2022.09.11 서천 동백정 이전글보기 2011.11.28 - [한국의산하/풍경및생태] - [충남]서천 동백정에서 바라본 풍경 [충남]서천 동백정에서 바라본 풍경 문현준sajin365.net2011.11.28 - [한국의산하/풍경및생태] - [충남]서천 동백정에서 바라본 풍경 [충남]서천 동백정에서 바라본 풍경문현준의사진속으로[2011.. 2024. 10. 6.
충남 서천 홍원항 소경 충남 서천 홍원항 소경.. 2022.09.11 홍원항 이전글보기 2021.04.27 - [한국의산하/일출및일몰] - 충남 서천 홍원항 일몰 충남 서천 홍원항 일몰 충남 서천 홍원함 일몰 2020.05.03 홍원항 이전글보기 2015.04.12 - [한국의산하/일출및일몰] - [충남]서천 홍원항 [충남]서천 홍원항 충남 서천 홍원항 일몰 2014.08.11 문현준 홍원항 이전글보기 2014/12/11 sajin365.net 2015.04.12 - [한국의산하/일출및일몰] - [충남]서천 홍원항 [충남]서천 홍원항 충남 서천 홍원항 일몰 2014.08.11 문현준 홍원항 이전글보기 2014/12/11 - [한국의산하/풍경및생태] - [충남]서천 홍원항소경 2014/12/11 - [한국의산하/일출및일몰] - .. 2022. 9. 21.
충남 서천 동백정 충남 서천 마량당집 충남 서천 동백정에서 2022.09.11 서천 동백정 이전글보기 2011.11.28 - [한국의산하/풍경및생태] - [충남]서천 동백정에서 바라본 풍경 [충남]서천 동백정에서 바라본 풍경 문현준의사진속으로[2011.08.27 촬영] sajin365.net 2011.11.14 - [한국의산하/일출및일몰] - [충남]서천 동백정일몰 [충남]서천 동백정일몰 서천일몰 문현준의사진속으로[2010.08.23] sajin365.net 2011.11.14 - [한국의산하/일출및일몰] - [충남]서천 동백정에서 [충남]서천 동백정에서 서천에서.. 문현준의사진속으로[2010.08.21] sajin365.net 2011.11.11 - [한국의산하/일출및일몰] - [충남]서천 동백정 일몰 [충남]서천 동백.. 2022. 9. 21.
충남 서천 성북리오층석탑 보물 서천 성북리 오층석탑 (舒川 城北里 五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등록)일 : 1963.01.21 소재지 : 충남 서천군 비인면 성북리 182-1번지 시 대 : 고려시대 지방적인 특색이 강했던 고려시대의 탑으로, 옛 백제 영토에 지어진 다른 탑들처럼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국보)의 양식을 모방하였는데, 특히 가장 충실히 따르고 있다. 바닥돌 위에 올려진 기단(基壇)은 목조건축의 기둥과 벽과 같이 모서리에 기둥을 세우고, 그 기둥 사이를 판판한 돌을 세워 막았다. 탑신(塔身)은 몸돌을 기단에서처럼 기둥과 벽을 따로 마련하여 세워 놓았는데, 각 면의 모습이 위는 좁고 아래는 넓어 사다리꼴을 하고 있다. 몸돌 위로는 지붕돌을 얹기 전에 지붕받침을 2.. 2022. 8. 8.
충남 서천 성북리 오층석탑 보물 서천 성북리 오층석탑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등록)일 : 1963.01.21 소재지 : 충남 서천군 비인면 성북리 182-1번지 시 대 : 고려시대 자 료 : 국가문화유산포털 지방적인 특색이 강했던 고려시대의 탑으로, 옛 백제 영토에 지어진 다른 탑들처럼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국보 제9호)의 양식을 모방하였는데, 특히 가장 충실히 따르고 있다. 바닥돌 위에 올려진 기단(基壇)은 목조건축의 기둥과 벽과 같이 모서리에 기둥을 세우고, 그 기둥 사이를 판판한 돌을 세워 막았다. 탑신(塔身)은 몸돌을 기단에서처럼 기둥과 벽을 따로 마련하여 세워 놓았는데, 각 면의 모습이 위는 좁고 아래는 넓어 사다리꼴을 하고 있다. 몸돌 위로는 지붕돌을 얹기 전에 지붕.. 2022. 1. 17.
충남 서천 성북리 오층석탑 보물 충남 서천 성북리 오층석탑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등록)일 : 1963.01.21 소재지 : 충남 서천군 비인면 성북리 182-1번지 시 대 : 고려시대 자 료 : 국가문화유산포탈 지방적인 특색이 강했던 고려시대의 탑으로, 옛 백제 영토에 지어진 다른 탑들처럼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국보)의 양식을 모방하였는데, 특히 가장 충실히 따르고 있다. 바닥돌 위에 올려진 기단(基壇)은 목조건축의 기둥과 벽과 같이 모서리에 기둥을 세우고, 그 기둥 사이를 판판한 돌을 세워 막았다. 탑신(塔身)은 몸돌을 기단에서처럼 기둥과 벽을 따로 마련하여 세워 놓았는데, 각 면의 모습이 위는 좁고 아래는 넓어 사다리꼴을 하고 있다. 몸돌 위로는 지붕돌을 얹기 전에 지붕받.. 2022. 1. 6.
충남 서천 성북리오층석탑 보물 서천 성북리 오층석탑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등록)일 : 1963.01.21 소재지 : 충남 서천군 비인면 성북리 182-1번지 시 대 : 고려시대 지방적인 특색이 강했던 고려시대의 탑으로, 옛 백제 영토에 지어진 다른 탑들처럼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국보 제9호)의 양식을 모방하였는데, 특히 가장 충실히 따르고 있다. 바닥돌 위에 올려진 기단(基壇)은 목조건축의 기둥과 벽과 같이 모서리에 기둥을 세우고, 그 기둥 사이를 판판한 돌을 세워 막았다. 탑신(塔身)은 몸돌을 기단에서처럼 기둥과 벽을 따로 마련하여 세워 놓았는데, 각 면의 모습이 위는 좁고 아래는 넓어 사다리꼴을 하고 있다. 몸돌 위로는 지붕돌을 얹기 전에 지붕받침을 2단 올려놓았는데 그.. 2021. 12.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