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석조여래좌상3

충남 부여 정림사지 석조여래좌상 보물 부여 정림사지 석조여래좌상 (扶餘 定林寺址 石造如來坐像) 분 류 : 유물 / 불교조각 / 석조 / 불상 수량/면적 : 1구 지정(등록)일 1963.01.21 소재지 : 충남 부여군 부여읍 동남리 254번지 시 대 : 고려시대 충청남도 부여의 정림사지에 남아 있는 석조불상으로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국보)와 남북으로 마주보고 있다. 정림사는 6세기 중엽에 처음 창건되어 백제 멸망 때까지 번창하였던 사찰로 고려시대에 다시 번창했던 것으로 추정되는데, 이 석불상은 고려 때의 번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지금의 머리와 보관은 제작 당시의 것이 아니라, 후대에 다시 만들어 얹은 것으로 보인다. 신체는 극심한 파괴와 마멸로 형체만 겨우 남아 있어 세부적인 양식과 수법을 알아보기 어렵지만, 어깨가 밋밋하게 내려.. 2025. 6. 12.
경북 포항 고석사 석조여래좌상 포항 고석사 석조여래의좌상 문화재자료 제651호 분 류 : 유물/불교조각/석조/불상 수량/면적 : 1구 지정(등록)일 :2017.01.05 소재지 : 경북 포항시 시 대 : 통일신라 자 료 : 국가문화유산포탈 포항 고석사 석조여래의좌상 문화재자료 제651호 2016.06.18 2018. 9. 7.
[울산]울주 간월사지 석조여래좌상 종 목 : 보물 제370호 명 칭 : 울주 간월사지 석조여래좌상 (蔚州 澗月寺址 石造如來坐像) 분 류 : 유물 / 불교조각/ 석조/ 불상 수 량 : 1구 지정일 : 1963.01.21 소재지 : 울산 울주군 상북면 등억온천4길 15 (등억리) 시 대 : 신라 소유자 : 국유 관리자 : 울주군 경상남도 울산 울주군 상북면 등억리의 간월사지에 있는 석조여래좌상으로 약간의 파손은 있지만 비교적 잘 보관되어 있다. 머리에는 작은 소라 모양의 머리칼을 붙여 놓았으며 그 위로 상투 모양의 큼직한 머리(육계)가 자리잡고 있다. 얼굴은 둥글고 원만하며 단정한 입과 긴 눈, 짧은 귀 등의 표현에서 온화하고 인간적인 느낌을 준다. 어깨는 좁아지고, 몸은 양감이 줄어든 모습이다. 양 어깨에 걸쳐 입은 옷은 옷은 얇으며 U자.. 2012. 10.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