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문화유산/전라남도48 [전남]곡성 태안사 적인선사탑 종 목 : 보물 제273호 명 칭 : 곡성 태안사 적인선사탑 (谷城 泰安寺 寂忍禪師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63.01.21 소재지 : 전남 곡성군 죽곡면 태안로 622-215, 태안사 (원달리) 시 대 : 통일신라 소유자 : 태안사 관리자 : 태안사 이 탑은 승려 적인선사 혜철의 탑으로, 혜철 스님의 사리를 모시고 있다. 대안사는 신라시대 선(禪)을 가르치는 유명한 종파인 구산선문 가운데 하나로 이름이 높으며, 적인선사 혜철(惠哲)은 대안사가 속한 동이산파를 연 스님이다. 이 탑은 전체적인 형태가 모두 8각형으로 이루어져 통일신라시대 탑의 전형적인 모습을 하고 있으며, 3단의 기단(基壇) 위로 탑신(塔身)과 머리장식을 올리고 있다. 기단은 아래.. 2014. 8. 8. [전남]진도 용장성(용장산성) 명 칭 : 진도 용장성 (珍島 龍藏城)종 목 : 사적 제126호분 류 :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성/ 성곽수량/면적 : 472,915㎡지정일 : 1964.06.10소재지 : 전남 진도군 군내면 용장리 106번지시 대 : 고려시대소유자 : 국유,사유관리자 : 진도군 배중손이 이끌던 삼별초가 몽골의 침략에 대항하여 항쟁을 벌였던 장소이다. 고려 고종 18년(1231)부터 침략해 오던 몽골과의 전쟁을 벌이기 위해 고려는 수도를 개경에서 강화로 옮겼다. 그리고 40여 년 동안 삼별초가 중심이 되어 몽골과의 전쟁을 벌였으나, 원종 11년(1270) 고려가 몽골에 항복을 하였다. 몽골에 대한 항복을 받아들일 수 없던 배중손을 비롯한 삼별초는 왕족인 승화후 온(承化候溫)을 왕으로 삼아 남쪽으로 내려와 이곳에 궁궐과.. 2014. 5. 12. [전남]진도 남도진성(남도석성) 명 칭 : 진도 남도진성 (珍島 南桃鎭城)종 목 : 사적 제127호분 류 :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성/ 성곽수량/면적 :41,368㎡지정일 : 1964.06.10소재지 : 전남 진도군 임회면 남동리 149번지시 대 : 삼국시대소유자 : 국·공·사유관리자 : 진도군 고려 원종(재위 1259∼1274), 삼별초가 진도에서 몽골과 항쟁을 벌일 때 해안지방을 방어하기 위해 쌓은 성으로, 삼별초가 제주도로 옮겨갈 때 이곳에서 출발했다고 전해진다. 그러나 백제 때 진도에는 3개의 마을이 있었고 그 중 한 마을의 중심지가 이곳으로 여겨지는데, 통일신라를 거쳐 고려시대까지 이어져 오는 것을 보면, 삼국시대에 이미 성이 있었을 가능성이 크다. 13세기부터는 왜구가 나타나서 노략질을 계속해 오자, 고려 충정왕 2년(1.. 2014. 5. 12. [전남]순천 동화사 부도 전남 순천 동화사 부도군 2013.03.01문현준 2013. 9. 3. [전남]순천 금둔사지석조불비상 종 목 : 보물 제946호명 칭 : 순천 금둔사지 석조불비상 (順天 金芚寺址 石造佛碑像)분 류 : 유물 / 불교조각/ 석조/ 불상수 량 : 1구지정일 : 1988.04.01소재지 : 전남 순천시 낙안면 상송리 산2-1 금둔사시 대 : 통일신라소유자 : 국유관리자 : 순천시 전라남도 승주군 낙안면 금전산의 서쪽에 있는 절터에 삼층석탑과 함께 있다.『동국여지승람』에 ‘금전산에 금둔사(金芚寺)가 있다’고 하여 이곳으로 추정하고 있다. 지붕 모양의 보개(寶蓋)와 대좌(臺座)를 갖춘 이 불상은 직사각형의 평평한 돌 한쪽면에 불상을 조각하여 마치 거대한 비석의 형태를 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민머리의 정수리 부분에는 낮은 상투 모양의 머리(육계)가 솟아있고 얼굴은 원만한 형태이다. 신체는 우아하게 굴곡이 있어 부.. 2013. 9. 3. [전남]영암 월출산 마애여래좌상 영암 월출산 마애여래좌상(靈巖 月出山 磨崖如來坐像) 종 목 : 국보 제144호 분 류 : 유물 / 불교조각/ 석조/ 불상 수 량 : 1구 지정일 : 1972.03.02 소재지 : 전남 영암군 영암읍 회문리 산26-8 시 대 : 통일신라 소유자 : 국유 관리자 : 영암군 문현준의사진속으로[2010.11.21] 2011. 10. 14. [전남]화순 운주사 석조불감외 기타석불등 종 목 : 보물 제797호 명 칭 : 화순 운주사 석조불감 (和順 雲住寺 石造佛龕)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기타 수 량 : 1기 지정일 : 1984.11.30 소재지 : 전남 화순군 도암면 용강리 941-32 시 대 : 고려시대 종 목 :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273호 명 칭 : 화순운주사와형석조여래불 (운주사와불) 분 류 : 유물 / 불교조각/ 석조/ 불상 수 량 : 1 지정일 : 2005.07.13 시 대 : 고려시대 종 목 :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274호 명 칭 : 화순운주사광배석불좌상 (和順雲住寺光背石佛坐像) 분 류 : 유물 / 불교조각/ 석조/ 불상 수 량 : 1 지정일 : 2005.07.13 시 대 : 고려시대 종 목 :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275호 명 칭 : 화순운주사.. 2011. 10. 10. [전남]화순 쌍봉사 철감선사탑 종 목 : 국보 제57호 명 칭 : 화순 쌍봉사 철감선사탑 (和順 雙峯寺 澈鑒禪師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 량 : 1기 지정일 : 1962.12.20 소재지 : 전남 화순군 이양면 증리 195-1 쌍봉사 시 대 : 통일신라 소유자 : 쌍봉사 관리자 : 쌍봉사 문현준의사진속으로[2009.12.20] 2011. 10. 10. [전남]화순 쌍봉사 철감선사탑비 종 목 : 보물 제170호 명 칭 : 화순 쌍봉사 철감선사탑비 (和順 雙峯寺 澈鑒禪師塔碑) 분 류 : 기록유산 / 서각류/ 금석각류/ 비 수 량 : 1기 지정일 : 1963.01.21 소재지 : 전남 화순군 이양면 증리 산195-1 시 대 : 통일신라 소유자 : 쌍봉사 관리자 : 쌍봉사 문현준의사진속으로[2009.12.20] 2011. 10. 10. 이전 1 2 3 4 5 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