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의법당256

[경기]용인 용덕사 2005년 중창된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이동면 묵리에 있는절로 대한불교조계종 제2교구 본사인 용주사의 말사이며, 절 뒤편 산 언덕으로 오른 곳에 있는 극락전 뒤 바위에 암굴이 있어 일명 ‘굴암절’이라고도 한다. 자세한 안내는 디지털용인문화대전에서 2012.03.31 촬영 문현준 2012. 4. 11.
[충남]서산 개심사 종 목 : 보물 제143호 명 칭 : 서산 개심사 대웅전 (瑞山 開心寺 大雄殿)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불전 수 량 : 면적 1동 지정일 : 1963.01.21 소재지 : 충남 서산시 운산면 개심사로 321-86, 개심사 (신창리) 시 대 : 조선시대 소유자 : 개심사 관리자 : 개심사 절의 기록에 의하면 개심사는 신라 진덕여왕 5년, 백제 의자왕 14년 혜감국사가 지었다고 되어 있는데, 진덕여왕 5년(651)과 의자왕 14년(654)은 다른 해에 해당한다. 개심사는 백제 의자왕 14년(654) 혜감국사가 지었다고 전한다. 1941년 대웅전 해체 수리시 발견된 기록에 의해 조선 성종 15년(1484)에 고쳐 지었음을 알 수 있다. 현재 건물은 고쳐 지을 당시의 모습을 거의 유지하고 있.. 2012. 4. 2.
[충북]진천 보탑사 충북 진천군 진천읍 연곡리에 있는 사찰 2012.03.10 촬영 문현준 2012. 3. 29.
[전북]군산 은적사 전북 군산 은적사 대웅전 2012.03.04 촬영 문현준 2012. 3. 27.
[전북]익산 남원사 미륵전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제88호 남원사 미륵전 2012.03.04 촬영 문현준 2012. 3. 13.
[강원]춘천 청평사 춘천 청평사 2012.03.01 촬영 문현준 2012. 3. 10.
[충남]부여 무량사 극락전 종 목 : 보물 제356호 명 칭 : 부여 무량사 극락전 (扶餘 無量寺 極樂殿)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불전 수 량 : /면적 1동 지정일 : 1963.01.21 소재지 : 충남 부여군 외산면 무량로 203, 무량사 (만수리) 시 대 : 조선시대 소유자 : 무량사 관리자 : 무량사 무량사는 신라 말에 범일이 세워 여러 차례 공사를 거쳤으나 자세한 연대는 전하지 않는다. 다만 신라말 고승 무염대사가 일시 머물렀고, 고려시대에 크게 다시 지었으며, 김시습이 이 절에서 말년을 보내다가 세상을 떠났다고 한다. 이 건물은 우리나라에서는 그리 흔치않는 2층 불전으로 무량사의 중심 건물이다. 외관상으로는 2층이지만 내부에서는 아래·위층이 구분되지 않고 하나로 트여 있다. 아래층 평면은 앞면 5칸·.. 2012. 1. 3.
[전북]부안 내소사 대웅보전 부안 내소사 대웅보전 (扶安 來蘇寺 大雄寶殿) 종 목 : 보물 제291호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불전 수 량 : 면적 1동 지정일 : 1963.01.21 소재지 : 전북 부안군 진서면 내소사로 243, 내소사 (석포리) 시 대 : 조선시대 소유자 : 내소사 관리자 : 내소사 내소사는 백제 무왕 34년(633)에 혜구두타(惠丘頭陀)가 세운 절로 원래 이름은 소래사였다고 한다. 이 대웅보전은 아미타여래를 중심으로 우측에 대세지보살, 좌측에 관세음보살을 모신 불전으로 조선 인조 11년(1633) 청민대사가 절을 고칠 때 지은 것이라 전한다. 규모는 앞면 3칸·옆면 3칸이며,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을 한 팔작지붕이다.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해 기둥 위부분에 짜은 장식구조.. 2011. 12. 27.
[전북]부안 개암사 대웅전 개암사대웅전 종 목 : 보물 제292호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불전 수 량 : 1동 지정일 : 1963.01.21 소재지 : 전북 부안군 상서면 개암로 248, 개암사 (감교리) 시 대 : 조선시대 소유자 : 개암사 관리자 : 개암사 개암사는 백제 무왕 35년(634)에 묘련대사가 세웠다고 전하는 절이다.개암이라는 이름은 기원전 282년 변한의 문왕이 진한과 마한의 공격을 피해 이곳에 성을 쌓을때, 우(禹)장군과 진(陳)의 두 장군으로 하여금 좌우 계곡에 왕궁의 전각을 짓게 하였는데 동쪽을 묘암, 서쪽을 개암이라고 한데서 비롯되었다고 한다.고려 충숙왕 1년(1314)에 원감국사가 이곳에 와서 절을 다시 짓고, 큰 절의 면모를 갖추게 되며, 그 뒤에 여러번 수리가 있었다.석가모니불상을 .. 2011. 12.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