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법당256 경남 남해 보리암 경남 남해 보리암에서 2023.10.29남해 보리암 이전글보기2011.10.26 - [한국의산하/풍경및생태] - [전남]남해 보리암외 [전남]남해 보리암외2003년12월6일 밤에 삼천포에 도착하였다. 야경을 카메라에 담고자 하였으나 바람이 너무 많이 분다. 춥다. 도저히 카메라를 세울수가 없어서 삼천포 인근에 숙박지를 정하고 밝아오는 아침에 남sajin365.net 2024. 9. 21. 전남 순천 금둔사 전통사찰79호로 전남 순천시 낙안면 상송리에 있는 절로 금은 부처님이고 둔은 싹이 돋는다는 뜻으로 일체 중생은 각기 불성을 갖추어 있기에 스스로 조건만 맞추어 주면 누구나 부처님이 된다는 의미라고 함. 전남 순천 금둔사 2023.10.28문현준의사진속으로금둔사 이전글 보기2013.09.03 - [한국의법당/전라남도] - [전남]순천 금둔사 [전남]순천 금둔사전남 순천시 낙안면 상송리 산2-1 금둔사 2013.03.01문현준sajin365.net 2024. 8. 22. 경기 용인 용덕사 경기 용인 성륜산에 있는 사찰로 용인시 처인구 이동읍 이원로 471-41에 위치하고 있는 절 경기 용인 용덕사 2023.10.21용덕사 이전글보기2012.04.11 - [한국의법당/서울경기] - [경기]용인 용덕사 [경기]용인 용덕사2005년 중창된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이동면 묵리에 있는절로 대한불교조계종 제2교구 본사인 용주사의 말사이며, 절 뒤편 산 언덕으로 오른 곳에 있는 극락전 뒤 바위에 암굴이 있어 일명 ‘굴sajin365.net 2024. 8. 19. 경기 용인 법륜사 경기 용인 문수산 동쪽으로 용인시 처인구 원삼면 농촌파크로 126에 있는 절. 한국의사찰경기 용인 법륜사2023.10.21법륜사 이전글보기2011.10.14 - [한국의법당/서울경기] - [경기]용인 법륜사 [경기]용인 법륜사문현준의사진속으로[2010.09.21]sajin365.net 2024. 8. 19. 경기 용인 동도사 동도사는 대한불교태고종 소속의 사찰로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이동읍 어진로 842 에 있는 절 경기 용인 동도사2023.10.21 촬영 2024. 8. 19. 충남 예산 보덕사 극락전 충청남도 유형문화유산 보덕사극락전 (報德寺極樂殿)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불전 수량/면적 : 1동 지정일 : 1995.10.07 소재지 : 충남 예산군 덕산면 가야산로 400-74 (상가리) 보덕사는 서원산 남쪽기슭에 위치한다. 본래 옥양봉 남쪽 기슭에 있던 가야사의 뒤를 이어 고종 8년(1871)에 처음 지어졌다. 가야사에는 금탑이라 불리는 지극히 빼어난 석탑이 있었고, 그 탑의 4면에는 돌로 만든 방이 있어 각각 돌부처가 모셔져 있었다. 그러나 이 절의 터가 왕손을 낳게 한다는 풍수설에 따라 흥선대원군이 철종 11년(1860)에 가야사를 불사르고 아버지인 남원군의 묘를 썼다. 그 뒤 아들 고종(재위 1863∼1907)이 왕위에 오르게 되었으므로 은혜를 갚는다는 뜻에서 지금의.. 2024. 7. 31. 충북 옥천 용암사 충북 옥천 용암사2023.08.15용암사 이전글보기2011.09.29 - [한국의산하/일출및일몰] - [충북]옥천 용암사운해 [충북]옥천 용암사운해옥천 용암사 여러번 찿았으나 ... 항상 카메라 한번 제대로 꺼내보지도 못하고 ... 오늘은 아쉬운대로 몇컷촬영.. 문현준의사진속으로[2008.05.01]sajin365.net 2024. 7. 30. 전남 고흥 정각사 고흥군 고흥읍 옥하리 옛 고흥군청사 뒤편, 주월산 기슭에 자리잡은 정각사 전남 고흥군 고흥읍 후동길 20-8 (옥학리) 정각사 2023.08.02 2023. 12. 5. 경기 안성 청원사 경기도 유형문화재 안성청원사대웅전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불전 수량/면적 : 1동 지정(등록)일 : 2000.03.24 소재지 : 경기 안성시 원곡면 통심길 16-102 (성은리) 시 대 : 조선시대 중기 건물이 처음 세워진 시기는 알 수 없지만, 2001년 수리 때 상량문이 발견되어, 1740년과 1854년에 각각 크게 수리했던 것을 알 수 있다. 건물의 모습을 보면 커다란 자연석을 2단으로 겹쳐 쌓은 기단위에 자연석 초석과 원기둥으로 몸통을 세우고, 지붕은 옆면이 수직으로 마감되는 맞배지붕을 하고 있다. 지붕 아래쪽 처마와 기둥 사이에는 건물의 무게를 지탱하고, 화려하게 돋보이도록 하는 장치인 공포를 앞뒤에만 두었다. 앞쪽은 기둥 위와 기둥사이에도 공포를 두는 다포(多包)를 두.. 2023. 11. 29. 이전 1 2 3 4 5 ··· 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