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석탑/전라북도88 전북 고창 선운사 도솔암 삼층석탑 전북 고창 선운사 도솔암 삼층석탑 2015.05.25 문현준 선운사관련 이전글보기 2015/10/30 - [한국의석탑/전라북도] - 전북 고창 선운사육층석탑 2014/08/23 - [한국의산하/풍경및생태] - [전북]고창 선운사 꽃무릇 2011/11/07 - [한국의산하/풍경및생태] - [전북]고창 선운사꽃무릇 2011/10/31 - [한국의산하/풍경및생태] - [전북]고창 선운사 꽃무릇 2011/10/22 - [한국의산하/풍경및생태] - [전북]고창 선운사 꽃무릇 2011/10/01 - [한국의석탑/전라북도] - [전북]고창 선운사 육층석탑 2011/10/01 - [한국의나무/소나무] - [전북]고창 선운사 삼인리의장사송 2011/10/01 - [한국의나무/소나무] - [전북]고창 선운사 삼인리송악 2.. 2015. 10. 30. 전북 고창 선운사육층석탑 종 목 :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29호 명 칭 : 선운사육층석탑 (禪雲寺六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73.06.23 소재지 : 전북 고창군 아산면 선운사로 250 (삼인리) 시 대 : 조선시대 소유자 관리자 : 선운사 문 의 : 전라북도 고창군 문화관광과 063-560-2780 선운사 대웅전 앞마당에 자리하고 있는 고려시대의 석탑이다. 기단(基壇)을 1층으로 마련하여 전체의 무게를 버티게 하고 그 위로 6층의 탑신(塔身)을 올려 놓았다. 기단의 네 면과 탑신부의 각 몸돌은 모서리마다 기둥모양을 새겼다. 얇아 보이는 지붕돌은 밑면에 5단씩의 받침을 두었고, 처마는 양끝에서 가볍게 들려있어 경쾌한 멋이 흐른다. 꼭대기에는 머리장식이 대체로 잘 남.. 2015. 10. 30. [전북]전주 덕진공원 삼층석탑 전북 전주 덕진공원삼층석탑 2015.02.21 문현준 이전글보기 2014/11/10 - [한국의석탑/전라북도] - [전북]전주 덕진공원 삼층석탑 2013/04/23 - [한국의석탑/전라북도] - [전북]전주 덕진공원삼층석탑 2015. 8. 17. [전북]부안 내소사삼층석탑 종 목 :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124호 수 량 : 1기 지정일 : 1986.09.08 소재지 : 전북 부안군 상서면 개암로 248, 개암사 (감교리) 소유자 : 내소사 관리자 : 내소사 연락처 : 전라북도 부안군 문화관광과 063-580-4388 내소사 대웅전 앞에 서 있는 3층 석탑으로, 2층 기단(基壇) 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세우고 꼭대기에 머리장식을 얹은 모습이다.위·아래층 기단과 탑신부의 각 몸돌에는 기둥모양을 조각하였다.급한 경사가 흐르는 지붕돌은 밑면에 4단의 받침을 두었다.꼭대기에는 네모난 받침돌 위로 둥근 형태의 크고 작은 석재 2개가 남아 머리장식을 하고 있다.전체적으로 1층 탑신에 비해 2층부터는 그 높이가 급격하게 줄어들었다.규모가 작은 탑으로, 통일신라의 일반적인 석탑양식을 .. 2015. 7. 15. [전북]남원 실상사 동.서 삼층석탑 종 목 : 보물 제37호 명 칭 : 남원 실상사 동ㆍ서 삼층석탑 (南原 實相寺 東ㆍ西 三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량/면적 : 2기 지정일 : 1963.01.21 소재지 : 전북 남원시 산내면 입석길 94-129, 실상사 (입석리) 시 대 : 통일신라 소유자 : 실상사 관리자 : 실상사 실상사의 중심법당인 보광전 앞뜰에 동·서로 세워져 있는 두 탑이다. 실상사는 통일신라 흥덕왕 3년(828)에 홍척(洪陟)이 창건하였으며 풍수지리설에 의거하여, 이 곳에 절을 세우지 않으면 우리나라의 정기가 일본으로 건너간다 하여 지은 것이라 한다. 이 곳에는 3층 석탑 이외에도 석등, 묘탑, 탑비, 부도, 철조여래좌상 등이 있어 유명하다. 탑은 2층으로 된 기단(基壇) 위에 3층의 탑신(塔身.. 2015. 7. 3. [전북]남원 백장암 삼층석탑 및 석등 종 목 : 국보 제10호 명 칭 : 남원 실상사 백장암 삼층석탑 (南原 實相寺 百丈庵 三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62.12.20 소재지 : 전라북도 남원시 산내면 대정리 975-0 시 대 : 통일신라 소유자 : 백장암 관리자 : 백장암 실상사는 지리산 천왕봉 서편에 위치한 절로, 통일신라 흥덕왕 3년(828)에 홍척(洪陟)이 창건하였다. 이 곳에서 북쪽으로 얼마쯤 가다보면 백장암이 나타나는데, 실상사에 딸린 소박한 암자로, 그 아래 경작지에 이 탑이 세워져 있다. 낮은 기단(基壇) 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으로, 각 부의 구조와 조각에서 특이한 양식과 수법을 보이고 있다. 즉, 일반적인 탑은 위로 올라갈수록 너비와 높이가 줄어드는.. 2015. 7. 3. [전북]익산 왕궁리 오층석탑 종 목 : 국보 제289호 명 칭 : 익산 왕궁리 오층석탑 (益山 王宮里 五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 량 : 1기 지정일 : 1997.01.01 소재지 : 전북 익산시 왕궁면 왕궁리 산80-1번지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국유 관리자 : 익산시 마한시대의 도읍지로 알려진 익산 왕궁면에서 남쪽으로 2㎞쯤 떨어진 언덕에 자리하고 있는 석탑이다. 1단의 기단(基壇) 위로 5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으로, 기단부가 파묻혀 있던 것을 1965년 해체하여 수리하면서 원래의 모습이 드러났다.탑의 기단은 네 모서리에 8각으로 깎은 주춧돌을 기둥삼아 놓고, 기둥과 기둥 사이에는 길고 큰 네모난 돌을 지그재그로 맞물리게 여러 층 쌓아 올려놓아 목조탑의 형식.. 2015. 6. 23. [전북]군산 탑동삼층석탑 종 목 :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66호 명 칭 : 탑동삼층석탑 (塔洞三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 량 : 1기 지정일 : 1974.09.27 소재지 : 전북 군산시 대야면 죽산리 66-1 시 대 소유자 : 국유 관리자 : 군산시 문 의 : 전라북도 군산시 문화관광과 063-450-6325 1층 기단(基壇)에 3층의 탑신(塔身)을 세운 후 머리장식을 얹은 탑으로, 백제탑 양식을 일부 보이고 있다. 기단은 밑바닥돌이 탑의 보수 당시 콘크리트에 묻혀 버렸다. 탑신부는 각 부분을 조립하듯 여러 돌로 짜 맞추었는데, 1층 몸돌은 큰 편이나, 2·3층의 몸돌은 높이가 급격히 낮아졌다. 1층 지붕돌은 별도의 돌로 2단의 받침을 두었다. 지붕돌은 얇고 넓으며 네 귀퉁이가 살짝 올라갔다. .. 2015. 4. 26. [전북]익산 왕궁리오층석탑 종 목 : 국보 제289호 명 칭 : 익산 왕궁리 오층석탑 (益山 王宮里 五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 량 : 1기 지정일 : 1997.01.01 소재지 : 전북 익산시 왕궁면 왕궁리 산80-1번지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국유 관리자 : 익산시 마한시대의 도읍지로 알려진 익산 왕궁면에서 남쪽으로 2㎞쯤 떨어진 언덕에 자리하고 있는 석탑이다. 1단의 기단(基壇) 위로 5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으로, 기단부가 파묻혀 있던 것을 1965년 해체하여 수리하면서 원래의 모습이 드러났다.탑의 기단은 네 모서리에 8각으로 깎은 주춧돌을 기둥삼아 놓고, 기둥과 기둥 사이에는 길고 큰 네모난 돌을 지그재그로 맞물리게 여러 층 쌓아 올려놓아 목조탑의 형식.. 2015. 4. 26. 이전 1 2 3 4 5 6 7 ··· 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