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의석탑/충청남도386

[충남]부여 부여박물관앞 석탑들 종 목 :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04호 명 칭 : 동남리석탑 (東南里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84.05.17 소재지 : 충남 부여군 부여읍 관북리 36-1번지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관리자 : 부여박물관 문 의 : 충청남도 부여군 문화관광과 041-830-2241 국립부여박물관 앞마당에 자리하고 있는 탑으로, 석목리 논절부락의 고려시대 옛 절터에 있던 것을 이곳으로 옮겨 세웠다. 전체의 무게를 지탱해주는 기단(基壇)을 2층으로 마련하고, 그 위로 5층의 탑신(塔身)을 올려놓고 있는데, 아래층 기단은 일부만 남아있고, 탑신의 4층 몸돌은 없어진 상태이다. 위층 기단의 맨윗돌은 탑신의 1층 몸돌을 괴어주는 부분 주위로 넓게 테두리를 두른.. 2015. 4. 18.
[충남]서천 성북리오층석탑(비인오층석탑) 명 칭 : 서천 성북리 오층석탑 (舒川 城北里 五層石塔) 종 목 : 보물 제224호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 량 : 1기 지정일 : 1963.01.21 소재지 : 충남 서천군 비인면 성북리 182-1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국유 관리자 : 서천군 지방적인 특색이 강했던 고려시대의 탑으로, 옛 백제 영토에 지어진 다른 탑들처럼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국보 제9호)의 양식을 모방하였는데, 특히 가장 충실히 따르고 있다. 바닥돌 위에 올려진 기단(基壇)은 목조건축의 기둥과 벽과 같이 모서리에 기둥을 세우고, 그 기둥 사이를 판판한 돌을 세워 막았다. 탑신(塔身)은 몸돌을 기단에서처럼 기둥과 벽을 따로 마련하여 세워 놓았는데, 각 면의 모습이 위는 좁고 아래는 넓어 사다리꼴을 하.. 2015. 4. 12.
[충남]청양 서정리구층석탑 충남 청양 서정리구층석탑 종   목 : 보물  제18호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   량 : 1기 지정일 : 1963.01.21 소재지 : 충남 청양군  정산면 서정리 16-2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국유 관리자 : 청양군 공주에서 청양쪽으로 23㎞ 떨어진 벌판 가운데에 서 있는 탑으로, 부근에 고려시대 백곡사(白谷寺)라는 절이 있었다고 하나 주위에 기와조각 등이 흩어져 있을 뿐 다른 유물들은 찾아볼 수 없다.탑은 2단의 기단 위에 9층의 탑신을 올린 모습이다. 아래층 기단에는 안상(眼象)을 돌려 새겼는데, 바닥선이 꽃모양으로 솟아올라 있어 고려시대의 양식상 특징을 드러낸다. 윗층 기단에는 네 모서리와 면의 가운데에 기둥 모양을 새겼으며, 그 위로 알맞은 두께의.. 2015. 4. 12.
[충남]보령 성주사지 석탑들 충남 보령 성주사지 오층석탑 및 삼층석탑군 2014.08.02 문현준 성주사지 이전글보기 2014/10/15 - [한국의석탑/충청남도] - [충남]보령 성주사지 및 석탑 2014/05/13 - [한국의문화유산/충청권] - [충남]보령 성주사지 2013/08/07 - [한국의석탑/충청남도] - [충남]보령 성주사지 석탑외 2011/10/15 - [한국의석탑/충청남도] - [충남]보령 성주사지 석탑 2011/10/15 - [한국의문화유산/충청권] - [충남]보령 성주사지 석불입상 2011/10/15 - [한국의문화유산/충청권] - [충남]보령 성주사지 석등 2011/10/04 - [한국의석탑/충청남도] - [충남]보령 성주사지석탑 2011/09/25 - [한국의문화유산/충청권] - [충남]보령 성주사지 낭혜.. 2014. 12. 19.
[충남]서천 수암리삼층석탑 종 목 :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29호 명 칭 : 수암리삼층석탑 (水岩里三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84.05.17 소재지 : 충남 서천군 문산면 수암리 26번지 시 대 : 조선시대 소유자 : 관리자 : 서천군 문 의 : 충청남도 서천군 문화관광과 041-950-4225 2층 기단(基壇) 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으로, 탑 전체를 하나의 돌로 조성한 것이 특이하다. 탑신의 몸돌에는 기둥 모양을 새겼다. 지붕돌은 네 귀퉁이가 치켜올라갔고, 밑면에는 3단의 받침을 두었다. 꼭대기에는 노반(露盤:머리장식받침)과 연꽃무늬를 두른 복발(覆鉢:엎어 놓은 그릇모양)을 올려 머리장식을 하고 있다. 전하는 말에 의하면, 조선 후기 이 지방을 관할.. 2014. 12. 11.
[충남]공주 가척리석탑 종 목 :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98호 명 칭 : 공주가척리석탑 (公州加尺里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82.12.31 소재지 : 충남 공주시 탄천면 청림1길 136 (가척리)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관리자 : 송종원 문 의 : 충청남도 공주시 문화재과 ☎ 1899-0088 청림사의 절터로 전하는 곳에 이 탑이 서 있다. 석탑은 전체의 무게를 받치는 기단(基壇)을 2층으로 쌓고, 3층의 탑신(塔身)을 올렸는데, 원래는 5층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규모는 비교적 작은 크기이며, 각 부분이 일부 깨져 있다. 기단은 아래층과 윗층의 맨윗돌이 탑신에 비해 지나치게 커보여 비례가 잘 맞지 않는다. 탑신의 각 지붕돌은 얇고 작으며 밑면에 3단의 받침.. 2014. 12. 10.
[충남]당진 영탑사 칠층석탑 종 목 :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216호 명 칭 : 영탑사칠층석탑 (靈塔寺七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84.05.17 소재지 : 충남 당진군 면천면 성하리 510번지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관리자 : 영탑사 문 의 : 충청남도 당진시 문화체육과 041-350-3581~4 영탑사 법당 뒤의 바위 위에 서 있는 7층 석탑이다. 『당진군사』에는 조선 정조 22년(1798) 연암당 지윤스님이 유리광전을 보수하면서 그 뒤 바위에 5층탑을 세운 후 절 이름을 ‘영탑사’라 하였다는 기록이 보이는데, 원래는 7층탑이었던 것으로 전한다. 이후 훼손되어 5층만 남아있던 것을 1920년대에 이 절의 신도들에 의해 다시 7층의 모습을 되찾게 되었다 한다. .. 2014. 12. 9.
[충남]당진 안국사지 석탑 종   목 : 보물  제101호  명   칭 : 당진 안국사지 석탑 (唐津 安國寺址 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   량 : 1기 지정일 : 1963.01.21 소재지 : 충남 당진시  정미면 원당골1길 188 (수당리)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국유 관리자 : 당진시 안국사터에 세워져 있는 탑이다. 안국사는 창건된 해가 분명하지 않고, 다만 절 안에서 발견된 유물들을 통해 고려시대에 창건되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후 조선시대에 폐사되었던 것을, 1929년 승려 임용준이 주지가 되어 다시 일으켜 세웠으나 곧 다시 폐사되어 현재는 터만 남아있다. 절터에는 이 탑 외에도 당진 안국사지 석조여래삼존입상(보물 제100호)이 보존되어 있다. 탑은 아래부분인 기단부(基.. 2014. 12. 9.
[충남]당진 신암사석탑 충청남도 당진군 송악면 가교리 신암사에 있는 석탑 충남 당진군 송악면 가교길 166-71 2014.06.20문현준 신암사 이전글보기 2012/01/05 - [한국의석탑/충청남도] - [충남]당진 신암사석탑 2014. 12.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