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의석탑/충청북도120

충북 옥천 용암사 동·서 삼층석탑 보물 옥천 용암사 동·서 삼층석탑 (沃川 龍岩寺 東·西 三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면적 : 2기 지정일 : 2002.03.12 소재지 : 충북 옥천군 옥천읍 삼청리 산51-1번지 용암사 시   대 : 고려시대 용암사는 신라 진흥왕 13년(552) 때 의신(義信)이 세운 사찰이다. 이 석탑은 일반적인 가람배치와 달리 대웅전의 앞이 아니라 사방이 한 눈에 조망되는 북쪽 낮은 봉우리에 있다. 석탑이 사방의 조망권이 확보된 위치에 건립된 것으로 보아 고려시대에 이르러 성행했던 산천비보(山川裨補)사상에 의해 건립된 것으로 추정된다. 산천비보사상이란, 탑이나 건물을 건립해 산천의 쇠퇴한 기운을 북돋아준다는 것이다. 같은 모양의 석탑 2기는 이층 기단 위에 3층의 탑신을 올렸.. 2024. 7. 30.
충북 증평 남하리사지 삼층석탑 충청북도 유형문화유산 증평 남하리사지 삼층석탑 (曾坪 南下里寺址 三層石塔) 대표이미지남하리삼층석탑 해당 국가유산의 정보입니다. 분류, 수량/면적, 지정(등록)일, 소재지, 시대, 소유자(소유단체), 관리자(관리단체)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84.12.31 소재지 : 충북 증평군 증평읍 남하리 35-2번지 바위의 윗부분을 평평히 다듬고 네모난 받침돌을 놓아 3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석탑이다. 탑신의 1·3층 몸돌은 각각 한 돌로 되어있고, 2층 몸돌은 1층 지붕돌과 한 돌로 조성되었다. 지붕돌은 밑면에 3단씩의 받침을 높게 새긴 점이 특징적인데, 네 귀퉁이의 치켜올림과 잘 어울려 안정감을 준다. 꼭대기에는 머리장식을 받.. 2024. 7. 30.
충북 충주 탑평리 칠층석탑(중앙탑) 국보 충주 탑평리 칠층석탑 (忠州 塔坪里 七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등록)일 : 1962.12.20 소재지 : 충청북도 충주시 중앙탑면 탑평리 11 시 대 : 통일신라시대 8세기 남한강의 아름다운 경관과 잘 어우러져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석탑으로, 당시에 세워진 석탑 중 가장 규모가 크며, 우리나라의 중앙부에 위치한다고 해서 중앙탑(中央塔)이라고도 부르는 이 탑은 2단의 기단(基壇) 위에 7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이다. 높은 탑신을 받치기 위해 넓게 시작되는 기단은 각 면마다 여러 개의 기둥 모양을 새겨 놓았고, 탑신부의 각 층 몸돌 역시 모서리마다 기둥 모양의 조각을 두었다. 몸돌을 덮고 있는 지붕돌은 네 귀퉁이 끝이 경쾌하게 치켜올려 있어.. 2022. 8. 12.
충북 충주 탑평리칠층석탑(중앙탑) 국보 충주 탑평리 칠층석탑 (忠州 塔坪里 七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등록)일 : 1962.12.20 소재지 : 충청북도 충주시 중앙탑면 탑평리 11 시 대 : 통일신라시대 8세기 남한강의 아름다운 경관과 잘 어우러져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석탑으로, 당시에 세워진 석탑 중 가장 규모가 크며, 우리나라의 중앙부에 위치한다고 해서 중앙탑(中央塔)이라고도 부르는 이 탑은 2단의 기단(基壇) 위에 7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이다. 높은 탑신을 받치기 위해 넓게 시작되는 기단은 각 면마다 여러 개의 기둥 모양을 새겨 놓았고, 탑신부의 각 층 몸돌 역시 모서리마다 기둥 모양의 조각을 두었다. 몸돌을 덮고 있는 지붕돌은 네 귀퉁이 끝이 경쾌하게 치켜올려 있어.. 2022. 8. 8.
충북 청주 계산리오층석탑 보물 제511호 청주 계산리 오층석탑 (淸州 桂山里 五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등록)일 : 1969.07.18 소재지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가덕면 계산리 산 46-3 시 대 : 고려시대 계산리의 말미장터 남쪽 언덕의 밭 가운데에 서 있는 탑으로, 1단의 기단 위에 5층의 탑신을 올린 모습이다. 기단(基壇)은 가운데돌이 서로 엇갈려 짜였으며 아무런 조각이 없다. 탑신(塔身)은 1층과 3층의 몸돌은 4장의 돌로 구성하였으며, 2층과 4·5층의 몸돌은 하나의 돌로 구성하였다. 지붕돌은 1·2층이 2장의 돌로 이루어져 있고, 3층 이상은 한 돌이다. 지붕돌 아래받침은 1·2층이 5단, 3·4층이 4단, 5층은 3단으로 줄어들었다. 지붕돌의 윗면(낙.. 2021. 6. 24.
충북 청주 화림사 석탑 충북 청주 화림사 석탑 2021.06.12 화림사석탑 이전글보기 2012.04.17 - [한국의석탑/충청북도] - [충북]청원 화림사석탑 [충북]청원 화림사석탑 네비는 화엄사로 나오고 .. 인터넷 주소만 확인하고 무작정 찿아간곳.. 입구에 이름을 확인할수 있는 문패도 아니보이고.. 스님께 여쭤보니 화림사가 맞는단다... 네비게이션이 잘못된것 이라고. sajin365.net 2021. 6. 24.
충북 청주 동화사석탑 충북 청주 동화사석탑 2021.06.12 충북 청주 동화사석탑 이전글보기 2012.04.12 - [한국의석탑/충청북도] - [충북]청원 동화사석탑 [충북]청원 동화사석탑 충북 청원 동화사석탑 2012.04.07 촬영 문현준 sajin365.net 2021. 6. 24.
청북 청주 청용리석탑 충북 청주 청용리 석탑 2021.06.12 청용리석탑 이전글보기 2012.04.13 - [한국의석탑/충청북도] - [충북]청원 청용리석탑 [충북]청원 청용리석탑 충북 청원군 가덕면 청용리 68-1(청용2길 49-4) 네비가 가리키는곳은 인근 가족묘원으로.. 인근 방황하다가 조그마한 청용사라는 이정표를 발견하고 찿아간곳.. 2012.04.07 촬영 문현준 sajin365.net 2021. 6. 24.
충북 괴산 봉학사지 오층석탑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29호 괴산 봉학사지 오층석탑 (槐山 鳳鶴寺址 五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등록)일 : 1976.12.21 소재지 : 충북 괴산군 사리면 사담리 산1번지 이 석탑은 기단(基壇)이 제대로 갖추어지지 않은 채, 평평한 돌 위로 5층의 탑신(塔身)이 올려져 있다. 탑신의 1층 몸돌은 2개의 돌로 이루어졌고, 나머지 몸돌과 지붕돌은 각각 하나의 돌로 만들어졌다. 1층 몸돌은 큰편이고, 2층 몸돌에서 급격히 낮아지다가 5층까지는 비슷한 크기를 유지한다. 각 층 지붕돌은 두꺼운 편이며, 밑면에는 5단씩의 받침을 두었다. 전체적으로 비례가 좋지 않고, 지붕돌이 두꺼워진 점 등으로 보아 고려시대 작품으로 짐작된다. 일제시대에 쓰러졌던 것을 .. 2021. 5.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