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3216 전남 구례 연곡사 동 승탑 종 목 : 국보 제53호 명 칭 : 구례 연곡사 동 승탑 (求禮 鷰谷寺 東 僧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62.12.20 소재지 : 전남 구례군 토지면 피아골로 806-16, 연곡사 (내동리) 시 대 : 통일신라 소유자 : 연곡사 관리자 : 연곡사 탑이 부처의 사리를 모시는 곳이라면, 승탑은 유명했던 스님들의 사리를 두는 곳이다. 승탑의 구성은 석탑과 같아서, 기단(基壇) 위에 사리를 모시는 탑신(塔身)을 두고 그 위에 머리장식을 얹는다. 이 승탑은 연곡사의 동쪽에 네모난 바닥돌위로 세워져 있으며, 전체적으로 8각형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연곡사는 고려 전기까지 스님들이 선(禪)을 닦는 절로 이름이 높았는데, 이 때문인지 이곳에는 이 승탑 외에도 .. 2015. 10. 23. 전남 구례 연곡사 의병장 고광순 순절비 전남 구례 연곡사 의병장 고광순 순절비 2015.05.04 문현준 2015. 10. 23. 전남 구례 사도리삼층석탑 종 목 :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2호 명 칭 : 구례사도리삼층석탑 (求禮沙圖里三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72.01.29 소재지 : 전남 구례군 마산면 사도리 산33-1번지 시 대 : 소유자 : 관리자 : 이종기 문 의 : 전라남도 구례군 문화관광과 061-780-2390 1층 기단(基壇) 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올려 놓은 석탑이다. 밑돌 ·가운데돌 ·맨윗돌을 쌓아 3단으로 마련한 기단은 아무런 조각을 하지 않았다. 탑신부는 몸돌과 지붕돌을 각각 하나씩의 돌로 쌓아 올렸으며, 역시 별다른 장식은 없다. 두터워 보이는 지붕돌은 밑면이 두꺼운 원형을 이루어 받침을 대신하고 있고, 네 귀퉁이는 위로 들려있다. 3층 지붕돌 위로는 노반(露盤:머.. 2015. 10. 23. 전남 구례 논곡리삼층석탑 종 목 : 보물 제509호 명 칭 : 구례 논곡리 삼층석탑 (求禮 論谷里 三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69.06.21 소재지 : 전남 구례군 구례읍 논곡리 산51-1번지 시 대 : 신라 소유자 : 국유 관리자 : 구례군 논곡리(論谷里) 뒷산 중턱에 자리하고 있으며, 탑의 아랫부분이 파묻혀 있어 땅 위로 보이는 모습은 1단의 기단(基壇) 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형태이다. 기단은 네 모서리에 기둥 모양을 새기고 맨윗돌에는 두툼한 연꽃받침을 두어 탑신을 받도록 하였다. 화려한 12개의 연꽃조각은 끝이 위로 올라갔으며 이러한 받침대는 다른 석탑에서는 볼수 없는 특이한 양식이다. 탑신부는 지붕돌과 몸돌이 각각 한 돌로 구성되었고 몸돌마다 모서.. 2015. 10. 23. 충남 청양 서정리구층석탑 충남 청양 서정리구층석탑 종 목 : 보물 제18호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 량 : 1기 지정일 : 1963.01.21 소재지 : 충남 청양군 정산면 서정리 16-2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국유 관리자 : 청양군 공주에서 청양쪽으로 23㎞ 떨어진 벌판 가운데에 서 있는 탑으로, 부근에 고려시대 백곡사(白谷寺)라는 절이 있었다고 하나 주위에 기와조각 등이 흩어져 있을 뿐 다른 유물들은 찾아볼 수 없다.탑은 2단의 기단 위에 9층의 탑신을 올린 모습이다. 아래층 기단에는 안상(眼象)을 돌려 새겼는데, 바닥선이 꽃모양으로 솟아올라 있어 고려시대의 양식상 특징을 드러낸다. 윗층 기단에는 네 모서리와 면의 가운데에 기둥 모양을 새겼으며, 그 위로 알맞은 두께의.. 2015. 10. 13. 세종 연기 비암사 극락보전 종 목 :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79호 명 칭 : 비암사극락보전 (碑岩寺極樂寶殿)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불전 수 량 : 1동/869평방미터,편입면적182.2평방미터 지정일 : 1978.12.30 소재지 : 충남 연기군 전의면 비암사길 137 시 대 : 조선시대 소유자 : 비암사 관리자 : 비암사 문 의 : 충청남도 연기군 문화공보과 041-861-2293 비암사는 통일신라말에 도선국사가 처음 지은 절이라고 전한다. 그 뒤의 확실한 절의 역사는 전하지 않는다. 비암사 극락보전은 앞면 3칸·옆면 2칸의 규모이며, 여덟 팔(八)자 모양인 화려한 팔작지붕집이다. 언제 지었는지는 정확히 알지 못하지만, 조선 후기의 화려하고 장식적인 양식의 건축물이다. 지붕을 받치면서 장식을 겸하는 공포가 기.. 2015. 10. 13. 세종 연기 비암사 삼층석탑 종 목 :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19호 명 칭 : 비암사삼층석탑 (碑岩寺三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 량 : 1기/편입면적8.4평방미터 지정일 : 1985.07.19 소재지 : 충남 연기군 전의면 비암사길 137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비암사 관리자 : 비암사 문 의 : 충청남도 연기군 문화공보과 041-861-2293 비암사 극락보전 앞에 서 있는 3층 석탑이다. 1층 기단(基壇) 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형태로, 1982년 복원 공사를 하면서 없어진 기단부를 보완하고 뒤집혀 있던 석재들을 바로 잡았다. 기단의 네 면과 탑신부의 각 몸돌에는 기둥 모양을 조각하였다. 지붕돌은 네 귀퉁이가 날카롭게 하늘로 향해 있고, 밑면에 4단의 받침을 두었다. 꼭대기에는 .. 2015. 10. 13. 충남 아산 야생화 제비꽃 왕둥굴레 광대수염 꽃마리 단풍나무 대파 뜰보리수 모란(목단) 뱀딸기 벼룩나물 애기똥풀 지칭개 탱자나무 충남 아산 야생화2015.05.01 2015. 10. 10. 충남 공주 신원사 오층석탑 종 목 :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31호 명 칭 : 신원사오층석탑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 량 : /면적 1기( 532.000 ㎡ ) 지정일 : 1974.09.01 소재지 : 충남 공주시 계룡면 양화리 8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대한불교조계종신원사 관리자 : 대한불교조계종신원사 문 의 : 충청남도 공주시 문화재관리소 041-840-2814 계룡산의 산신제단(山神祭壇)인 중악단(中嶽壇) 남쪽에 서 있는 5층 석탑이다. 현재는 4층 지붕돌까지만 남아 있으나 원래는 2층 기단(基壇)에 5층의 탑신(塔身)을 올렸던 것으로 보인다. 아래층 기단과 탑신의 몸돌에는 기둥모양을 새겼는데 이것은 목조건축의 기둥을 모방한 것이다. 지붕돌은 밑면의 받침이 3단씩이고, 처마는 거의 수평이다. 석.. 2015. 10. 8. 이전 1 ··· 123 124 125 126 127 128 129 ··· 35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