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3216 [충남]부여 대조사 석조미륵보살입상 종 목 : 보물 제217호 명 칭 : 부여 대조사 석조미륵보살입상 (扶餘 大鳥寺 石造彌勒菩薩立像) 분 류 : 유물 / 불교조각/ 석조/ 보살상 수량/면적 : 1구 지정일 : 1963.01.21 소재지 : 충남 부여군 임천면 성흥로197번길 112 (구교리)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대조사 관리자 : 대조사 고려시대에 유행한 거대한 석조미륵보살의 하나로 논산에 있는 논산 관촉사 석조미륵보살입상(보물 제218호)과 쌍벽을 이루는 작품이다. 미래세계에 나타나 중생을 구제한다는 미륵보살을 형상화한 것으로 높이가 10m나 되는 거구이다.머리 위에는 이중의 보개(寶蓋)를 얹은 네모난 관(冠)을 쓰고 있으며 보개의 네 모서리에는 작은 풍경이 달려있다. 관 밑으로는 머리카락이 짧게 내려져 있는데 이와 같은 머리모.. 2015. 8. 15. [충북]충주 창룡사 극락보전 충북 충주 창룡사 극락보전 2015.02.01 문현준 2015. 8. 5. [충북]충주 창룡사 다층청석탑 종 목 : 충청북도 문화재자료 제56호 명 칭 : 충주 창룡사 다층청석탑 (忠州 蒼龍寺 多層靑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2006.06.30 소재지 : 충청북도 충주시 고든골길 63-89 (직동, 창룡사)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관리자 : 문 의 : 충청북도 충주시 문화체육과 043-850-6631~4 높이 35센티미터의 화강암 탑신석 위에 9층의 점판암제 옥개석이 올려져 있다. 평면 정사각형이며 초층 및 2층 옥개석 하면에는 연판문이 장식되어 있으며 그 이상은 각형 층급받침을 새기고 있다. 충주 지역에서는 다른 예가 없으며 전국적으로도 몇 기 안되는 청석탑으로 규모는 작으나 공예품과 같은 아름다움을 지니고 있다. 자료바로가기 : 문화재청 극.. 2015. 8. 5. [충북]충주 석종사 오층석탑 충북 충주시 직동 오층석탑 2015.02.01 문현준 2015. 8. 5. [충북]충주 석종사 충북 충주 석종사2015.02.01문현준 2015. 8. 5. [충북]충주 단호사 삼층석탑 종 목 :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69호 명 칭 : 충주 단호사 삼층석탑 (忠州 丹湖寺 三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80.11.13 소재지 : 충북 충주시 충원대로 201 (단월동) 시 대 소유자 : 관리자 : 단호사 문 의 : 충청북도 충주시 문화체육과 043-850-6631~4 단호사 대웅전 앞뜰에 자리한 석탑으로, 현재의 자리가 원래의 터로 보이며, 1층 기단(基壇) 위에 탑신부(塔身部)가 놓여 있다. 기단의 각 면에는 모서리와 가운데에 기둥 모양의 조각을 새겼는데, 일부가 약가 부서져 있다. 탑신부의 몸돌은 모서리에 기둥 모양을 새겼다. 1층 몸돌은 제법 높직하며, 4층 몸돌의 일부로 보이는 석재가 놓여 있어 5층탑이었을 것으로 짐작되기.. 2015. 8. 5. [충남]천안 각원사 좌불상(청동대좌불) 충남 천안 각원사 청동대좌불2015.02.01문현준 각원사 이전글보기 2011/11/11 - [한국의산하/풍경및생태] - [충남]천안 각원사 좌불상2011/11/10 - [한국의산하/풍경및생태] - [충남]천안 각원사 좌불상2011/11/04 - [한국의산하/풍경및생태] - [충남]천안 각원사 좌불상2011/10/11 - [한국의문화유산/충청권] - [충남]천안 각원사 석불 2015. 8. 5. [경기]안성 청룡사 삼층석탑 종 목 :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59호 명 칭 : 청룡사삼층석탑 (靑龍寺三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85.06.28 소재지 : 경기 안성시 서운면 청룡길 140 (청용리) 시 대 : 소유자 : 관리자 : 청룡사 문 의 : 경기도 안성시 문화체육관광과 031-678-2478 청룡사 앞뜰에 자리하고 있는 석탑으로, 1층 기단(基壇) 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올려놓은 모습이다. 네모난 바닥돌 위에 올려진 기단은 4장의 판돌을 세워 4면을 이루게 한 뒤, 판돌을 얹어 마무리하였는데, 4면의 모서리와 가운데마다 기둥 모양의 조각을 두었다. 몸돌과 지붕돌이 교대로 올려진 탑신부는 몸돌의 모서리에 기단에서와 같은 기둥 모양의 조각을 새겼다. 몸돌의 크기는.. 2015. 8. 1. [경기]안성 청룡사 대웅전 종 목 : 보물 제824호 명 칭 : 안성 청룡사 대웅전 (安城 靑龍寺 大雄殿)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불전 수량/면적 : 1동 지정일 : 1985.01.08 소재지 : 경기 안성시 서운면 청룡길 140, 청룡사 (청용리)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청룡사 관리자 : 청룡사 청룡사는 원래 고려 원종 6년(1265) 명본국사가 세워 대장암(大藏庵)이라 불렀던 곳이다. 공민왕 13년(1364) 나옹화상이 크게 넓히면서 청룡사라 이름을 고쳤는데 청룡이 구름을 타고 내려오는 광경을 보고 지었다는 전설이 전한다. 절의 중심 법당인 대웅전은 조선 후기에 다시 지은 건물로 추측한다. 규모는 앞면 3칸·옆면 4칸이며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을 한 팔작지붕이다. 지붕 처마를 받.. 2015. 8. 1. 이전 1 ··· 133 134 135 136 137 138 139 ··· 35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