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3186

[충남]부여 한국전통문화학교오층석탑 충남 부여 한국전통문화학교내 오층석탑 2012.02.26 촬영 문현준 2012. 3. 5.
[충남]부여 조왕사석탑 부여군 향토유적 제18호 조왕사석탑 2012.02.26 촬영 문현준 2012. 3. 5.
[충남]공주 박물관석탑들 공주박물관석탑 공주반죽동석탑 공주봉황동석탑 공주박물관 야외전시장 석탑들.. 2012.02.26 촬영 문현준 2012. 3. 5.
[충남]공주 중동석조 및 반죽동석조(대통사석조) 종 목 : 보물 제148호 명 칭 : 공주 중동 석조 (公州 中洞 石槽)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기타 수 량 : 1개 지정일 : 1963.01.21 소재지 : 충남 공주시 관광단지길 34, 국립공주박물관 (웅진동) 시 대 : 백제 소유자 : 국유 관리자 : 국립공주박물관 국립공주박물관 정원에 있는 백제시대 석조로, 사찰에서 연꽃을 담아 장식했던 것이다. 원래는 공주시 반죽동의 대통사 터에 공주 반죽동 석조(보물 제149호)와 함께 있었으나, 일제시대에 일본군이 말구유로 쓰기 위해 옮겨가 제자리를 떠나게 되었다. 1940년 이 곳으로 옮겨올 당시 중동초등학교에서 보관하고 있었기 때문에, 이때부터 ‘중동석조’라 부르게 되었다. 규모에 있어서 반죽동 석조보다 약간 작을 뿐 양식이나 조각 수.. 2012. 3. 5.
[충북]충주 온천리석탑 여기저기 자료를 찿아봐도 파출소에 있다고 소개되고 있으나 2010년도에 현재의 자리 충북 충주시 수안보면 온천리 867번지로 이전하였다고함. 자세한 설명보기는 충주디지털문화대전 2012.02.25 촬영 문현준 2012. 3. 3.
[충북]충주 온천리탑동삼층석탑 흔들렸네요.. 그래도 글자는 읽을수 있을듯하여.. 요집 바로 앞에 있습니다. 온천리탑동삼층석탑 충북 충주시 수안보면 온천리 853 번지 (탑골2길 25-1) 봉불사앞 개울가에 있는 고려후기의 석탑으로 자세한 설명은 디지털충주문화대전 2012.02.25 촬영 문현준 2012. 3. 3.
[충북]충주 미륵리오층석탑 종 목 : 보물 제95호 명 칭 : 충주 미륵리 오층석탑 (忠州 彌勒里 五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 량 : 1기 지정일 : 1963.01.21 소재지 : 충북 충주시 수안보면 미륵리 56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국유 관리자 : 충주시 이 곳에는 고려시대의 석불과 석굴이 만들어졌던 흔적이 남아 있고, 그 앞쪽에 석등과 더불어 이 석탑이 남아 있다. 석탑은 기단부(基壇部)의 아래부분이 땅 속에 파묻혀 있어서, 그 구조가 어떤지를 정확히 확인할 수 없다. 드러난 부분은 자연석에 가까운 네모난 돌로 특별하게 장식을 하지 않았으며, 그 위로 기단의 맨윗돌이 올려져있다. 탑신(塔身)은 1층 지붕돌이 2장일 뿐 몸돌이나 다른 지붕돌은 모두 1장의 돌로 되어 있다. 각 층의 몸돌.. 2012. 3. 3.
[충북]충주 미륵리삼층석탑 종 목 :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33호 명 칭 : 중원미륵리삼층석탑 (中原彌勒里三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 량 : 1기 지정일 : 1976.12.21 소재지 : 충북 충주시 상모면 미륵리 58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국유 관리자 : 충주시 문 의 : 충청북도 충주시 문화체육과 043-850-6631~4 석굴이 있는 미륵사터 경내에서 동쪽으로 500m쯤 떨어진 곳에 자리한 고려시대 3층 석탑이다. 이곳이 원래의 터로 추정되는데 절터와 멀리 떨어진 곳에 왜 탑을 세웠는지는 알 수 없다. 탑은 2층 기단(基壇) 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올리고 머리장식을 얹은 모습이다. 위 ·아래층 기단과 탑신의 몸돌에는 기둥 모양을 조각하였다. 탑신은 1층 몸돌에 비하여 2층 몸돌의 .. 2012. 3. 3.
[충북]충주 미륵리불두 자세한 설명과 안내는 디지털충주문화대전에.. 충주시향토유적 제9호 미륵리불두 2012.02.25 촬영 문현준 2012. 3.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