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3186 [충남]부여 장하리 삼층석탑 종 목 : 보물 제184호 명 칭 : 부여 장하리 삼층석탑 (扶餘 長蝦里 三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 량 : 1기 지정일 : 1963.01.21 소재지 : 충남 부여군 장암면 장하리 536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국유 관리자 : 부여군 백제의 옛 땅이었던 충청·전라도에는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국보 제9호)의 양식을 모방한 백제계 석탑이 몇 개 전하고 있는데 이 탑 역시 그런 계열에 속하는 탑이다. 땅 위에 자연석에 가까운 바닥돌을 깔고 그 위에 같은 돌로 너비를 좁히면서 3단의 기단(基壇)을 만들었다. 탑신(塔身)은 네 귀퉁이에 위로 오를수록 좁아지는 형태의 기둥 모양을 새겼고, 그 사이에 긴 판돌을 세워 면을 이루게 하였다. 동서남북 사면에 감실모양이 있는데, .. 2012. 1. 3. [충남]부여 무량사 당간지주 종 목 : 시도유형문화재 제57호 (부여군) 명 칭 : 무량사당간지주(無量寺幢竿支柱) 분 류 수 량 : 1기 지정일 : 1976.01.08 소재지 : 충남 부여군 외산면 만수리 116 시 대 소유자 : 무량사 관리자 : 무량사 문 의 : 충청남도 부여군 문화관광과 041-830-2241 당간지주는 사찰 입구에 설치하는 것으로, 절에 행사나 의식이 있을 때는 이곳에 당이라는 깃발을 달아두는데, 이 깃발을 걸어두는 길쭉한 장대를 당간이라 하며, 당간의 양쪽에 서서 이를 지탱해주는 두 돌기둥을 당간지주라 한다. 드물게 당간이 있으나 대부분 두 기둥만 남아 있다. 이 당간지주는 무량사 천왕문 동쪽에 남아 있는 것으로, 두 개의 길다란 돌기둥이 서로 마주보고 있다. 기둥 끝은 안쪽면에서 바깥쪽으로 둥글게 다듬었고.. 2012. 1. 3. [충남]부여 무량사 오층석탑 종 목 : 보물 제185호 명 칭 : 부여 무량사 오층석탑 (扶餘 無量寺 五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 량 : 1기 지정일 : 1963.01.21 소재지 : 충남 부여군 외산면 만수리 166 무량사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무량사 관리자 : 무량사 무량사 극락전 앞에 자리하고 있는 웅장한 모습의 5층 석탑이다. 탑을 받치는 기단(基壇)은 1단으로, 둥글게 다듬은 두툼한 석재를 포함한 층단으로 괴임을 만들고 각 면의 모서리와 가운데에 기둥을 세웠다. 탑신(塔身)은 지붕돌과 몸돌을 한 층으로 하여 5층을 이루고 있다. 네 모서리에 기둥을 세우고 있는 몸돌은 지붕돌에 비하여 높이가 낮은 편이나 전체적으로 알맞은 비례를 보이고 있어 우아하면서도 장중한 느낌을 준다. 지붕돌은 .. 2012. 1. 3. [충남]부여 무량사 극락전 종 목 : 보물 제356호 명 칭 : 부여 무량사 극락전 (扶餘 無量寺 極樂殿)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불전 수 량 : /면적 1동 지정일 : 1963.01.21 소재지 : 충남 부여군 외산면 무량로 203, 무량사 (만수리) 시 대 : 조선시대 소유자 : 무량사 관리자 : 무량사 무량사는 신라 말에 범일이 세워 여러 차례 공사를 거쳤으나 자세한 연대는 전하지 않는다. 다만 신라말 고승 무염대사가 일시 머물렀고, 고려시대에 크게 다시 지었으며, 김시습이 이 절에서 말년을 보내다가 세상을 떠났다고 한다. 이 건물은 우리나라에서는 그리 흔치않는 2층 불전으로 무량사의 중심 건물이다. 외관상으로는 2층이지만 내부에서는 아래·위층이 구분되지 않고 하나로 트여 있다. 아래층 평면은 앞면 5칸·.. 2012. 1. 3. 새해복많이받으세요. 오신는 모든분들 2012년 새해에는 행복한 한해가 되시길,,,, 2011. 12. 30. [충남]공주 동원리석탑 공주동원리석탑 (公州東院里石塔) 종 목 :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49호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 량 : 면적 1기(3,420.000 ㎡ ) 지정일 : 1976.01.08 소재지 : 충남 공주시 신풍면 동원리 380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공주시외3인 관리자 : 공주시 문 의 : 충청남도 공주시 문화재관리소 041-840-2814 동원리라는 마을 위쪽의 밭에 서 있는 3층 석탑이다. 3면이 산으로 둘러싸인 탑 주변은 기와조각이 흩어져 있을 뿐 다른 유물은 없다. 탑은 2층 기단(基壇) 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올렸는데, 현재 세번째 탑신은 없어졌다. 1 ·2층 기단과 탑신의 몸돌에는 기둥 모양을 새겼다. 지붕돌은 네 귀퉁이가 살짝 치켜올라 갔고, 밑면에는 4단의 받침을 두.. 2011. 12. 29. [충남]청양 서정리구층석탑 청양 서정리 구층석탑 (靑陽 西亭里 九層石塔) 종 목 : 보물 제18호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 량 : 1기 지정일 : 1963.01.21 소재지 : 충남 청양군 정산면 서정리 16-2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국유 관리자 : 청양군 공주에서 청양쪽으로 23㎞ 떨어진 벌판 가운데에 서 있는 탑으로, 부근에 고려시대 백곡사(白谷寺)라는 절이 있었다고 하나 주위에 기와조각 등이 흩어져 있을 뿐 다른 유물들은 찾아볼 수 없다. 탑은 2단의 기단 위에 9층의 탑신을 올린 모습이다. 아래층 기단에는 안상(眼象)을 돌려 새겼는데, 바닥선이 꽃모양으로 솟아올라 있어 고려시대의 양식상 특징을 드러낸다. 윗층 기단에는 네 모서리와 면의 가운데에 기둥 모양을 새겼으며, 그 위로 알맞은 두께의.. 2011. 12. 29. [충남]청양 계봉사오층석탑 계봉사오층석탑 (鷄鳳寺五層石塔) 종 목 :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47호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 량 : 1기 지정일 : 1984.05.17 소재지 : 충남 청양군 목면 본의리 675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계봉사 관리자 : 계봉사 문 의 : 충청남도 청양군 기획감사실 041-940-2226 계봉사의 정원 가운데 서 있는 5층 석탑이다. 계봉사는 백제 성왕 때 지었다고도 하며, 통일신라 문성왕 때 지어졌다고 하나 연대는 확실하지 않다. 조선 헌종 때 불에 타 버린 것을, 옛이름을 따서 작은 규모로 새로이 짓고 정원을 꾸며 오늘에 이르고 있다. 이 5층 석탑과 물을 받는 돌구유만이 옛모습 그대로 남아 있다. 탑은 2층 기단(基壇) 위에 5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이다. .. 2011. 12. 29. [전북]군산 비응항 사진을 촬영다니면서 연출은 머 그다지 좋아 하지는 않지만. 여기서 나름대로 연출을 하면 멋진 사진이 나올듯하여 몇컷 촬영 해봤습니다. 문현준의사진속으로[2011.12.18 촬영] 2011. 12. 28. 이전 1 ··· 218 219 220 221 222 223 224 ··· 35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