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3216

[충남]청양 서정리구층석탑 청양 서정리 구층석탑 (靑陽 西亭里 九層石塔) 종 목 : 보물 제18호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 량 : 1기 지정일 : 1963.01.21 소재지 : 충남 청양군 정산면 서정리 16-2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국유 관리자 : 청양군 공주에서 청양쪽으로 23㎞ 떨어진 벌판 가운데에 서 있는 탑으로, 부근에 고려시대 백곡사(白谷寺)라는 절이 있었다고 하나 주위에 기와조각 등이 흩어져 있을 뿐 다른 유물들은 찾아볼 수 없다. 탑은 2단의 기단 위에 9층의 탑신을 올린 모습이다. 아래층 기단에는 안상(眼象)을 돌려 새겼는데, 바닥선이 꽃모양으로 솟아올라 있어 고려시대의 양식상 특징을 드러낸다. 윗층 기단에는 네 모서리와 면의 가운데에 기둥 모양을 새겼으며, 그 위로 알맞은 두께의.. 2011. 12. 29.
[충남]청양 계봉사오층석탑 계봉사오층석탑 (鷄鳳寺五層石塔) 종 목 :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47호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 량 : 1기 지정일 : 1984.05.17 소재지 : 충남 청양군 목면 본의리 675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계봉사 관리자 : 계봉사 문 의 : 충청남도 청양군 기획감사실 041-940-2226 계봉사의 정원 가운데 서 있는 5층 석탑이다. 계봉사는 백제 성왕 때 지었다고도 하며, 통일신라 문성왕 때 지어졌다고 하나 연대는 확실하지 않다. 조선 헌종 때 불에 타 버린 것을, 옛이름을 따서 작은 규모로 새로이 짓고 정원을 꾸며 오늘에 이르고 있다. 이 5층 석탑과 물을 받는 돌구유만이 옛모습 그대로 남아 있다. 탑은 2층 기단(基壇) 위에 5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이다. .. 2011. 12. 29.
[전북]군산 비응항 사진을 촬영다니면서 연출은 머 그다지 좋아 하지는 않지만. 여기서 나름대로 연출을 하면 멋진 사진이 나올듯하여 몇컷 촬영 해봤습니다. 문현준의사진속으로[2011.12.18 촬영] 2011. 12. 28.
[전북]군산 비응항 야경 개암사 내소사를 거쳐 도착한 비응항. 배는 고프고 저녁먹기도 주변에 온가족이 먹어도 취하지 않는다는 술찐빵으로 간단히 해결하고 머 말씀만 잘하시면 따듯한 코피두 한잔 주십니다요.(코피 잘마셨습니다) 에너지 절약인지 조명은 없었습니다. 주변조명으로 촬영. 문현준의사진속으로[2011.12.18 촬영] 2011. 12. 28.
[전북]부안 내소사 삼층석탑 부안 내소사 삼층석탑 종 목 : 시도유형문화재 제124호 (전북) 수 량 : 1기 지정일 : 1986.09.08 소재지 : 전북 부안군 상서면 개암로 248, 개암사 (감교리) 소유자 : 내소사 관리자 : 내소사 연락처 : 전라북도 부안군 문화관광과 063-580-4388 내소사 대웅전 앞에 서 있는 3층 석탑으로, 2층 기단(基壇) 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세우고 꼭대기에 머리장식을 얹은 모습이다.위·아래층 기단과 탑신부의 각 몸돌에는 기둥모양을 조각하였다.급한 경사가 흐르는 지붕돌은 밑면에 4단의 받침을 두었다.꼭대기에는 네모난 받침돌 위로 둥근 형태의 크고 작은 석재 2개가 남아 머리장식을 하고 있다.전체적으로 1층 탑신에 비해 2층부터는 그 높이가 급격하게 줄어들었다.규모가 작은 탑으로, 통일신.. 2011. 12. 27.
[전북]부안 내소사 대웅보전 부안 내소사 대웅보전 (扶安 來蘇寺 大雄寶殿) 종 목 : 보물 제291호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불전 수 량 : 면적 1동 지정일 : 1963.01.21 소재지 : 전북 부안군 진서면 내소사로 243, 내소사 (석포리) 시 대 : 조선시대 소유자 : 내소사 관리자 : 내소사 내소사는 백제 무왕 34년(633)에 혜구두타(惠丘頭陀)가 세운 절로 원래 이름은 소래사였다고 한다. 이 대웅보전은 아미타여래를 중심으로 우측에 대세지보살, 좌측에 관세음보살을 모신 불전으로 조선 인조 11년(1633) 청민대사가 절을 고칠 때 지은 것이라 전한다. 규모는 앞면 3칸·옆면 3칸이며,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을 한 팔작지붕이다.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해 기둥 위부분에 짜은 장식구조.. 2011. 12. 27.
[전북]부안 내소사동종 부안 내소사 동종 종 목 : 보물 제277호 분 류 : 유물 / 불교공예/ 의식법구/ 의식법구 수 량 : 1구 지정일 : 1963.01.21 소재지 : 전북 부안군 진서면 내소사로 243, 내소사 (석포리)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내소사 관리자 : 내소사 고려 시대 동종의 양식을 잘 보여주는 종으로 높이 103㎝, 입지름 67㎝의 크기이다.종의 아랫부분과 윗부분에는 덩굴무늬 띠를 둘렀고, 어깨부분에는 꽃무늬 장식을 하였다.종의 어깨 밑에는 사각형의 유곽이 4개 있고, 그 안에는 9개의 돌출된 유두가 있다.종을 치는 부분인 당좌는 연꽃으로 장식했고, 종의 몸통에는 구름 위에 삼존상이 새겨 있다.가운데 본존불은 활짝 핀 연꽃 위에 앉아 있고, 좌·우 양쪽에 협시불이 서 있다.종 정상부에는 소리의 울림.. 2011. 12. 27.
[전북]부안 개암사 대웅전 개암사대웅전 종 목 : 보물 제292호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불전 수 량 : 1동 지정일 : 1963.01.21 소재지 : 전북 부안군 상서면 개암로 248, 개암사 (감교리) 시 대 : 조선시대 소유자 : 개암사 관리자 : 개암사 개암사는 백제 무왕 35년(634)에 묘련대사가 세웠다고 전하는 절이다.개암이라는 이름은 기원전 282년 변한의 문왕이 진한과 마한의 공격을 피해 이곳에 성을 쌓을때, 우(禹)장군과 진(陳)의 두 장군으로 하여금 좌우 계곡에 왕궁의 전각을 짓게 하였는데 동쪽을 묘암, 서쪽을 개암이라고 한데서 비롯되었다고 한다.고려 충숙왕 1년(1314)에 원감국사가 이곳에 와서 절을 다시 짓고, 큰 절의 면모를 갖추게 되며, 그 뒤에 여러번 수리가 있었다.석가모니불상을 .. 2011. 12. 27.
[경기]안산 탄도항 탄도항 일몰 사탄 하나가 안면도를 가느니 어쪄니 그러더니 늦게 사무실로 오네... 웬수.. 머 안면도쪽은 늦었고... 그나마 가까운 탄도항으로... 혹시나 하고 기다려보지만 ... 문현준의사진속으로[2011.12.15 촬영] 이전글보기 2011/11/17 - [한국의산하/풍경및생태] - [경기]안산 탄도항 2011/12/05 - [한국의산하/일출및일몰] - [경기]안산 탄도항일몰 2011/12/15 - [한국의산하/일출및일몰] - [경기]안산 탄도항 일몰 2011/12/23 - [한국의산하/일출및일몰] - [경기]안산 대부도일몰 2011. 12.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