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3215

전북 진안 마이산탑 전라북도 기념물 제35호 마이산탑 (馬耳山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민간신앙 / 마을신앙 수량/면적 : 일원 지정일 : 1976.04.02 소재지 : 전북 진안군 마령면 마이산남로 367 (동촌리) 자 료 : 국가문화유산포털 마이산 내에 쌓여 있는 돌탑들로 80여 기에 이르는데, 작은 바윗돌을 쌓아 만든 모습들이 대장관을 이루고 있다. 각각의 탑들은 다듬지 않은 작은 돌들을 그대로 사용하여, 위로 올라갈수록 점차 뾰족하게 쌓아올린 모습으로, 비록 막돌이긴 하나 설계가 정확하고 틈새가 없이 치밀하게 쌓여 우람한 체구가 하늘을 찌를 듯 높이 솟아 있다. 보는 이로 하여금 신비감을 불러 일으키고 있는 이 탑들은 이곳에 살았던 이갑용 처사가 쌓았다는 설이 있으나 확실하지 않고, 조선 전기에 나라.. 2021. 5. 19.
전북 진안 금당사 석탑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제122호 금당사석탑 (金塘寺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 량 : 1기 지정일 : 1986.09.08 소재지 : 전북 진안군 마령면 마이산남로 406 (동촌리) 자 료 : 국가문화유산포털 금당사 경내에 있는 탑으로, 현재 남아있는 부재들로 보아 5층 석탑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기단부(基壇部)는 가운데돌이 없어져 다른 돌로 대신하였으며, 그 위로 3층의 탑신(塔身)을 쌓아 올렸다. 지붕돌은 밑면에 3단의 받침을 두었다. 꼭대기에 놓인 머리장식은 후에 보충한 것으로 보인다. 규모가 작은 탑으로, 제작양식이나 수법으로 보아 고려시대에 세운 것으로 추정된다.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제122호 금당사석탑 2021.02.12 진안 금당사 석탑 이전글보기 2020.01.. 2021. 5. 18.
인천 중구 의선당 인천 중구 의선당 2021.01.17 2021. 5. 18.
인천 월미도 인천 뭘미도에서 2021.01.17 2021. 5. 18.
인천 중구 북성포구 인천 북성포구 소경 2021.01.17 북성포구 이전글보기 2016.08.29 - [한국의산하/풍경및생태] - 인천 중구 북성포구 야경 인천 중구 북성포구 야경 인천 북성포구 야경 2016.02.21 문현준 이전글보기 2016/06/04 - [한국의산하/일출및일몰] - 인천 중구 북성포구 야경 2016/06/04 - [한국의산하/일출및일몰] - 인천 중구 북성포구 야경 sajin365.net 2016.06.04 - [한국의산하/일출및일몰] - 인천 중구 북성포구 야경 인천 중구 북성포구 야경 인천 북성포구 야경 2015.12.25 문현준 북성포구 이전글보기 2016/06/04 - [한국의산하/일출및일몰] - 인천 중구 북성포구 야경 sajin365.net 2016.06.04 - [한국의산하/일출및일몰] .. 2021. 5. 18.
충남 홍성 고산사 삼층석탑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419호 홍성 고산사 삼층석탑 (洪城 高山寺 三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면적 : 1기/1,107㎡ 지정(등록)일 : 2013.04.10 소재지 : 충청남도 홍성군 만해로127번길 35-99 (결성면, 고산사대광보전) 자 료 : 국가문화유산포털 고산사 삼층석탑은 전체적인 외관이나 양식이 통일신라시대나 고려초기처럼 깔끔하고 정교한 치석 수법은 보이지 않지만 전대의 석탑 양식을 충실히 계승하고 있으며 석탑의 규모가 작아지면서 탑신석과 옥개석을 동일석으로 마련하는 경우가 많은데, 고산사 삼층석탑은 규모가 작음에도 탑신석과 옥개석을 별석으로 마련하였음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419호 홍성 고산사 삼층석탑 2020.12.25 충남 홍성 고산사 이전글보기 2.. 2021. 5. 10.
충남 홍성 고산사 석조여래입상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221호 홍성 고산사 석조여래입상 (洪城 高山寺 石造如來立像) 분 류 : 유물 / 불교조각 / 석조 / 불상 수량/면적 : 1구 지정(등록)일 : 2013.04.10 소재지 : 충청남도 홍성군 자 료 : 국가문화유산포털 고산사 석조여래입상은 타원형의 둥근 얼굴에 둥글게 솟은 육계가 있으며 얼굴은 마모되어 선명하지 않은 편임. 전체적으로 편편하고 길쭉한 신체에 통견식의 대의를 입었으며 목 밑에서부터 촘촘하게 둥근 옷주름이 측면까지 이어지면서 새겨져 있음. 대퇴부에서 양 다리 사이로 신체의 굴곡이 남아 있어 전체적으로 얇은 대의를 걸쳤음을 알 수 있으며 오른손은 아래로 그냥 내리고 왼손은 가슴 위로 들어 시무외인을 하고 있음.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221호 홍성 고산사 석조여래입상 20.. 2021. 5. 10.
충남 홍성 고산사 대웅전 보물 제399호 홍성 고산사 대웅전 (洪城 高山寺 大雄殿)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불전 수량/면적 : 1동 지정(등록)일 : 1963.09.02 소재지 : 충남 홍성군 결성면 만해로127번길 35-99 (무량리) 시 대 : 조선시대 초기 자 료 : 국가문화유산포털 고산사는 신라말 도선국사가 지었다고 전하지만 건물의 위치와 앞 마당에 있는 석탑들로 미루어 고려시대의 절로 짐작된다. 대웅전은 석가모니 불상을 모신 절의 중심 법당을 가리키는데 이 건물은 ‘대광보전(大光寶殿)’이라 쓴 현판이 걸려있다. 규모는 앞면 3칸·옆면 3칸이며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을 한 팔작지붕이다.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해 지붕 위부분에 장식하여 짜은 구조가 기둥 위에만 있는 주심포 양식인.. 2021. 5. 10.
충남 아산 온양향교 충청남도 기념물 제115호 온양향교 (溫陽鄕校) 분 류 : 유적건조물 / 교육문화 / 교육기관 / 향교 수량/면적 : 2,737㎡ 지정(등록)일 : 1997.12.23 소재지 : 충남 아산시 외암로 1414-11 (읍내동) 시 대 : 2년(1610) 향교는 공자와 여러 성현께 제사를 지내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해 나라에서 세운 교육기관이다. 온양향교는 법곡동에 있었으나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고 그 뒤 광해군 2년(1610)에 지금 있는 자리로 옮겨 세웠다. 전체적인 구조는 전학후묘의 전형적인 형태로 앞쪽에는 교육 공간을, 뒤쪽에는 제사 공간을 두었다. 입구에는 하마비·홍살문이 있고 외삼문을 지나면 정면에 교육 공간인 명륜당과 기숙사인 동재가 있다. 명륜당 뒤쪽 내삼문을 지나면 정면에 제사 공간인 대성.. 2021. 5.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