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3186

강원 태백 본적사지 삼층석탑 강원도 문화재자료 제126호 태백 본적사지 삼층석탑재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2000.01.22 소재지 : 강원 태백시 황지동 467-10번지 시 대 : 신라 자 료 : 국가문화유산포털 본적사지는 일명 번적사지로도 불리는데, 이 곳 주변에는 많은 절터들이 있다. 절터 주변에는 이중기단 삼층석탑의 석탑재와 기와 조각 등이 흩어져 있다. 기단부로 발견된 탑재는 지대석(기초부에 까는 받침돌), 아래층 기단, 위층 기단의 부재이다. 아래층 기단과 위층 기단 면석(탑 기단의 받침돌과 덮개돌 사이에 막아댄 넓은 돌)에는 모서리기둥과 버팀기둥이 표현되어 있고, 갑석(뚜껑처럼 덮은 돌)에는 2단의 굄받침이 있다. 탑 몸체부는 지붕돌 2개와 몸돌 2개가 발견되었다.. 2019. 10. 4.
강원 동해 삼화사 삼층석탑 보물 제1277호 동해 삼화사 삼층석탑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98.04.06 소재지 : 강원도 동해시 삼화로 584 (삼화동, 삼화사) 시 대 : 통일신라 자 료 : 국가문화유산포털 삼화사에 있는 석탑으로, 2단의 기단(基壇) 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이다. 비교적 높아 보이는 기단은 각 층 모두 네 면의 모서리와 가운데에 기둥 모양의 조각을 두었다. 기단의 맨윗돌에는 별도의 탑신 괴임돌을 두어 탑신을 받치도록 하였다. 탑신은 몸돌과 지붕돌을 번갈아 쌓아 올렸는데, 위층으로 올라갈수록 그 규모가 서서히 줄어든다. 여러군데에 금이 가 있고 부분적으로 훼손되었으나, 대체로 잘 남아있고 균형이 잘 잡힌 단아한 모습이다. 기단의 구성이나 .. 2019. 10. 4.
강원 영월 상동 이끼계곡 강원 영월 이끼계곡소경 2018.06.24 영월 이끼계곡 이전글보기 2019/09/03 - [한국의산하/풍경및생태] - 강원 영월 상동이끼 계곡 강원 영월 상동이끼 계곡 강원 영월 상동이끼계곡 2017.06.18 이끼계곡 관련 이전글보기 2018/09/05 - [한국의산하/풍경및생태] - 강원 영월 상동 이끼계곡 강원 영월 상동 이끼계곡 강원 영월 상동 이끼계곡 2016.06.16 상동이끼계곡 이.. sajin365.net 2018/09/05 - [한국의산하/풍경및생태] - 강원 영월 상동 이끼계곡 강원 영월 상동 이끼계곡 강원 영월 상동 이끼계곡 2016.06.16 상동이끼계곡 이전글보기 2014/06/25 - [한국의산하/풍경및생태] - [강원]영월 상동이끼 2011/11/11 - [한국의산하/풍경및.. 2019. 10. 4.
강원 동해 추암일출 강원 동해 주암해변 일출 2018.06.24 추암일출 이전글보기 2018/10/02 - [한국의문화유산/강원권] - 강원 동해 북평 해암정 강원 동해 북평 해암정 북평해암정 종 목 : 시도유형문화재 제63호 (강원) 분 류 : 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조경건축/ 누정 수 량 : 1동 지정일 : 1979.05.30 소재지 : 강원 동해시 소유자 : 삼척심씨종중 관리자 : 삼척심씨종중 연락처.. sajin365.net 2014/06/25 - [한국의산하/일출및일몰] - [강원]동해 추암일출 [강원]동해 추암일출 강원 동해 추암일출 2013.08.18 문현준 이전글보기 2011/11/05 - [한국의산하/일출및일몰] - [강원]삼척 추암일출 2011/12/12 - [한국의문화유산/강원권] - [강원]동해 북평.. 2019. 10. 4.
인천 강화 교동도 화개사 부도 인천 강화 교동도 화개사 부도탑 문현준의사진속으로(2018.04.29) 2019. 10. 3.
인천 강화 교동도 화개사 인천 강화 교동도 화개사 2018.04.29 2019. 10. 3.
인천 강화 연산군 유배지 인천 강화 교동도 연산군 유배지 2018.04.29 2019. 10. 3.
인천 강화 교동향교 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 제28호 교동향교 분 류 : 유적건조물 / 교육문화 / 교육기관 / 향교 수량/면적 : 9동 / 3,835㎡ 지정일 : 1995.03.02 소재지 : 인천광역시 강화군 교동남로 229-49 (교동면) 교동향교 시 대 : 조선시대 자 료: 국가문화유산포털 향교는 성현의 위패를 모시고 제사를 지내며, 지방 백성의 교육을 담당하기 위해서 국가에서 세운 교육기관이다. 고려 인종 5년(1127)에 화개산 북쪽에 지었으나, 조선 영조 17년(1741)에 조호신이 현재의 위치로 옮겼으며 1966년에 수리하였다. 고려 충렬왕 12년(1286)에 안향이 원나라에 갔다가 돌아오는 길에 공자상을 들여와 모셨다고 전하며, 이후 서울의 각 읍에 조상이나 성현의 위패를 모시는 문묘를 설치했다고 한다. 현재 .. 2019. 10. 3.
인천 강화 교동읍성 인천광역시 기념물 제23호 교동읍성 분 류 :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 성 / 성곽 수량/면적 : 1곽 / 5,958.7㎡ 지정일 : 1995.03.02 소재지 : 인천 강화군 교동면 읍내리 577번지 시 대 : 조선시대 자 료 : 국가문화유산포털 읍성이란 군이나 현의 주민을 보호하고, 군사적·행정적인 기능을 함께 하는 성을 말한다. 인천광역시 강화군 교동면의 교동읍성은 한 도읍 전체를 둘러싸 외부로부터의 침입을 막았으며, 군데군데 문을 내어 바깥과 통하도록 만들었다. 성의 둘레는 약 430m, 높이는 약 6m로, 동·남·북쪽 3곳에 성문을 두었고, 각 문에는 망을 보기 위해 문루를 세웠는데, 동문은 통삼루, 남문은 유량루, 북문은 공북루라고 하였다. 조선 인조 7년(1629)에 처음 쌓았으며, 영조 .. 2019. 10.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