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3215 경북 경주 남사리 북삼층석탑 문화재자료 제7호 경주 남사리 북삼층석탑 문화재자료 제7호 분 류 : 유적건조물/종교신앙/불교/탑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85.08.05 소재지 : 경북 경주시 현곡면 남사리 313-4번지 시 대 : 소유자 : 관리자 : 겅주시 탑이 있었던 사찰이나 탑의 유래에 대해서는 알 수 없다. 탑신(塔身)의 몸돌은 모서리마다 기둥 모양을 새겨 놓았고, 네 귀퉁이가 많이 훼손된 지붕돌은 밑면에 새긴 5단의 받침이 비교적 선명하다. 탑의 건립시기는 통일신라시대로 추정된다. 1973년 경주경찰서 신청사를 준공할 때 기단부(基壇部)만 남겨두고 지붕돌 3개를 경찰서 정원으로 옮겨 보존해 오다가 지역 주민들의 건의에 따라 1995년 부족한 탑재를 보충하여 복원해 놓았다. 자료바로가기 : 국가문화유산포탈 경북 경주 문화재 경주남사리.. 2018. 9. 12. 경북 경주 나원리 오층석탑 국보 제39호 종 목 : 국보 제39호 명 칭 : 경주 나원리 오층석탑 (慶州 羅原里 五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62.12.20 소재지 : 경북 경주시 현곡면 라원리 676 시 대 : 통일신라 소유자 : 국 유 : 관리자 : 경주시 나원리마을의 절터에 남아 있는 석탑으로, 경주에 있는 석탑 가운데 경주 감은사지 동ㆍ서 삼층석탑(국보 제112호)과 경주 고선사지 삼층석탑(국보 제38호)과 비교되는 거대한 규모를 자랑한다. 천년의 세월이 흐른 지금까지도 순백의 빛깔을 간직하고 있는데, 이로 인해 ‘나원 백탑(白塔)’이라 부르기도 한다. 2층 기단(基壇)에 5층의 탑신(塔身)을 세운 모습으로, 기단과 1층 탑신의 몸돌, 1·2층의 지붕돌을 제외한 나머지가 모두.. 2018. 9. 11. 경북 포항 보경사오층석탑 시도유형문화재 제203호 포항보경사오층석탑 시도유형문화재 제203호 분 류 : 유적건조물/종교신앙/불교/탑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85.10.15 소재지 : 경북 포항시 북구 송라면 보경로 523 (중산리) 시 대 :고려시대 소유자 : 보경사 관리자 : 보경사 자 료 : 국가문화유산포탈 보경사 경내에 있는 석탑으로, 1층 기단(基壇) 위에 5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이다. 기단의 네 면과 탑신부의 각 층 몸돌에는 기둥모양을 조각하였다. 지붕돌은 밑면에 3단의 받침을 두었고, 네 귀퉁이는 약간 들려있다. 꼭대기에는 노반(露盤:머리장식 받침)과 복발(覆鉢:엎어놓은 그릇모양의 장식)이 남아 머리장식을 하고 있다. 전체적으로 높고 날렵한 느낌을 준다. 통일신라의 석탑 양식을 따르고 있지만, 지붕돌받침이 3단으로 줄어드는 .. 2018. 9. 10. 경북 포항 보경사 원진국사비 보물 제252호 포항 보경사 원진국사비 보물 제252호 분 류 : 기록유산/서각류/금석각류/비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63.01.21 소재지 : 경북 포항시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관리자 : 자 료 : 국가문화유산포탈 보경사에 있는 고려 중기의 승려 원진국사의 탑비이다. 원진국사(1171∼1221)는 13세에 승려가 되어 명산을 두루 돌아다니며 수도를 하기도 하였고, 왕의 부름으로 보경사의 주지가 되었다. 51세로 입적하자 고종은 그를 국사(國師)로 예우하고, 시호를 ‘원진’이라 내리었다. 비는 거북받침돌 위로 비몸을 세운 간결한 모습으로, 비몸 윗부분의 양 끝을 접듯이 잘라 놓았는데, 이러한 모습은 당시에 유행하던 양식이다. 넓다란 바닥돌과 하나의 돌로 이루어진 거북받침돌은 여의주를 물고 있는 용머리.. 2018. 9. 10. 경북 포항 보경사 승탑 보물 제430호 포항 보경사 승탑 보물 제430호 분 류 : 유적건조물/종교신앙/불교/탑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65.09.01 소재지 : 경북 포항시 북구 송라면 보경로 533, 보경사 (중산리)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보경사 관리자 : 보경사 자 료 : 국가문화유산포털 보경사 뒷산의 중턱에 서 있는 묘탑으로, 원진국사의 사리를 모셔두고 있다. 원진국사 신승형(申承逈)은 고려 중기의 승려로, 51세에 입적하자 고종이 그를 국사로 추증하고 ‘원진’이라는 시호를 내렸다. 기단부(基壇部)의 아래·중간·윗받침돌 가운데 3단으로 이루어진 8각 아래받침돌은 맨윗단에만 연꽃조각이 둘러져 있다. 중간받침돌은 8각의 모서리마다 기둥모양의 조각을 새겨두었다. 윗받침돌에는 솟은 연꽃무늬를 새겼는데, 꽃잎의 끝이 뾰족하고.. 2018. 9. 10. 경북 포항 보경사 경북 포항 보경사 2016.06.19 2018. 9. 9. 경북 포항 고석사 석조여래좌상 포항 고석사 석조여래의좌상 문화재자료 제651호 분 류 : 유물/불교조각/석조/불상 수량/면적 : 1구 지정(등록)일 :2017.01.05 소재지 : 경북 포항시 시 대 : 통일신라 자 료 : 국가문화유산포탈 포항 고석사 석조여래의좌상 문화재자료 제651호 2016.06.18 2018. 9. 7. 경북 포항 영일대해수욕장 경북 포항 영일대해수욕장 2016.06.18 2018. 9. 7. 경북 포항 연오랑세오녀 테마파크 경북 포항 연오랑세오녀 테마파크 2016.06.18 2018. 9. 7. 이전 1 ··· 88 89 90 91 92 93 94 ··· 35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