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197 강원 춘천 근화동 당간지주 보물 제76호 춘천 근화동 당간지주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당간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63.01.21 소재지 : 강원 춘천시 근화동 793-1번지 시 대 : 고려시대 자 료 : 국가문화유산포털 당간지주는 사찰 입구에 세워두는 것으로, 절에 행사가 있을 때 이 곳에 당이라는 깃발을 달아 두는데, 이 깃발을 걸어두는 길쭉한 장대를 당간이라 하고 당간의 양 쪽에 서서 이를 버티어 주는 두 돌기둥을 당간지주라 한다. 춘천시내에서 의암호를 따라 춘천역으로 돌아가는 도로 옆에 세워져 있는 이 당간지주는 아무런 꾸밈새가 없는 간결한 형태이다. 마주 보고 있는 두 기둥 사이에는 2단으로 이루어진 당간의 받침돌이 놓여져 있는데, 아랫단은 둥근조각이 있고, 윗단은 16잎의 연꽃조각이 돌.. 2019. 8. 29. 강원 정선에서 강원 정선에서 2017.03.26 2019. 8. 22. 강원 정선 야생화 청노루귀 강원 정선 야생화 청노루귀 2017.03.26 2019. 8. 22. 강원 정선 동강할미꽃외 강원 정선 야생화 동강할미꽃외 2017.03.26 2019. 8. 22. 강원 원주 용운사지 삼층석탑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43호 용운사지삼층석탑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 량 : 1기 지정일 : 1973.07.31 소재지 : 강원 원주시 호저면 용곡리 402-1번지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관리자 : 원주시 자 료 : 국가문화유산포탈 용운사터에 석불과 나란히 서있는 고려시대 3층 석탑이다. 탑 주변에서 ‘용운사’라 새긴 기와가 발견되어 절 이름을 알게 되었다. 탑은 2층 기단(基壇)에 3층의 탑신(塔身)을 올리고 머리장식을 얹은 모습이다. 기단 맨 윗돌 위에는 연꽃을 두른 두툼한 괴임돌을 두어 탑신의 1층 몸돌을 받치도록 하였는데, 이는 고려시대에 유행했던 독특한 장식 수법이다. 탑신의 몸돌은 모서리마다 기둥모양을 새겼다. 지붕돌은 밑면에 4단의 받침을 두었으며, 낙수면의.. 2019. 7. 7. 강원 원주 용운사지석조비로자나불좌상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42호 용운사지석조비로자나불좌상 분 류 : 유물 / 불교조각 / 석조 / 불상 수 량 : 1구 지정일 : 1973.07.31 소재지 : 강원 원주시 호저면 용곡리 402-1번지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관리자 : 원주시 자 료 : 국가문화유산포탈 이곳은 불상 주위에 용운사라고 적힌 기와조각들이 주변에서 발견되어 예전에 절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불상은 광배(光背)만 없어졌을 뿐 비교적 완전한 형태를 유지하고 있다. 머리에는 작은 소라 모양의 머리칼을 붙여 놓았으며, 통통한 얼굴은 자연스럽게 미소짓고 있는 현실적인 모습이다. 양 어깨에 걸쳐 입은 옷은 얇게 표현하여 신체의 굴곡을 잘 나타내고 있다. 옷주름은 계단식으로 도식화되고 구불구불한 선은 형식적으로 표현되어 축서사 석조비로.. 2019. 7. 7. 강원 강릉 등명사지오층석탑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37호 등명사지오층석탑 (燈明寺址五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 량 : 1기 지정일 : 1971.12.16 소재지 : 강원도 강릉시 괘방산길 16 (강동면, 낙가사) 시 대 : 고려시대 자 료: 국가문화유산포털 락가사(洛伽寺) 경내에 서 있는 5층 석탑이다. 산중턱에 자리잡고 있어 푸른 동해바다가 내려다 보이는 이 절은 원래 등명사라는 절이 있던 곳이다. 탑은 2층 기단(基壇) 위에 5층의 탑신(塔身)을 올리고 머리장식을 얹은 모습이다. 아래·위층 기단의 맨 윗돌에는 연꽃무늬와 함께 석재의 일부 모서리를 곡선으로 처리하여 부드러움을 주고 있다. 기단 위에는 오밀조밀한 5층의 탑신이 쌓여 있는데, 지붕돌의 밑면의 받침과 네 귀퉁이에서의 치켜올림이 장식적인.. 2019. 7. 4. 강원 정선 정암사 수마노탑 종 목 : 보물 제410호 명 칭 : 정선 정암사 수마노탑 (旌善 淨岩寺 水瑪瑙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 량 : 1기 지정일 : 1964.09.04 소재지 : 강원 정선군 고한읍 함백산로 1062 (고한리)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정암사 관리자 : 정암사 정암사 적멸보궁 뒤의 산비탈에 세워진 7층의 모전석탑이다. 모전석탑이란 전탑을 모방한 탑으로, 돌을 벽돌 모양으로 깎아 쌓아올린 탑을 말한다. 화강암으로 6단의 기단(基壇)을 쌓고 탑신부를 받치기 위해 2단의 받침을 두었다. 탑신(塔身)은 회녹색을 띤 석회암으로 쌓았는데, 표면을 정교하게 잘 정돈하여 벽돌을 사용한 것처럼 보인다. 1층 몸돌의 남쪽면에는 감실(龕室:불상을 모시는 방)을 마련했으며, 1장의 돌을 세워 문.. 2018. 10. 2. 강원 동해 북평 해암정 북평해암정 종 목 : 시도유형문화재 제63호 (강원) 분 류 : 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조경건축/ 누정 수 량 : 1동 지정일 : 1979.05.30 소재지 : 강원 동해시 소유자 : 삼척심씨종중 관리자 : 삼척심씨종중 연락처 : 강원도 동해시 공보문화담당관 033-530-2133 삼척 심씨의 시조 심동로가 벼슬을 버리고 내려와 제자를 가르치며 생활할 때 지은 정자로 고려 공민왕 10년(1361)에 처음 짓고, 조선 중종 25년(1530)에 심언광이 다시 지었다.심동로는 어려서삼척 심씨의 시조 심동로가 벼슬을 버리고 내려와 제자를 가르치며 생활할 때 지은 정자로 고려 공민왕 10년(1361)에 처음 짓고, 조선 중종 25년(1530)에 심언광이 다시 지었다.심동로는 어려서부터 글을 잘하였는데, 고려말의.. 2018. 10. 2. 이전 1 ··· 6 7 8 9 10 11 12 ··· 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