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층석탑430 충북 옥천 용암사 동·서 삼층석탑 보물 옥천 용암사 동·서 삼층석탑 (沃川 龍岩寺 東·西 三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면적 : 2기 지정일 : 2002.03.12 소재지 : 충북 옥천군 옥천읍 삼청리 산51-1번지 용암사 시 대 : 고려시대 용암사는 신라 진흥왕 13년(552) 때 의신(義信)이 세운 사찰이다. 이 석탑은 일반적인 가람배치와 달리 대웅전의 앞이 아니라 사방이 한 눈에 조망되는 북쪽 낮은 봉우리에 있다. 석탑이 사방의 조망권이 확보된 위치에 건립된 것으로 보아 고려시대에 이르러 성행했던 산천비보(山川裨補)사상에 의해 건립된 것으로 추정된다. 산천비보사상이란, 탑이나 건물을 건립해 산천의 쇠퇴한 기운을 북돋아준다는 것이다. 같은 모양의 석탑 2기는 이층 기단 위에 3층의 탑신을 올렸.. 2024. 7. 30. 충북 증평 남하리사지 삼층석탑 충청북도 유형문화유산 증평 남하리사지 삼층석탑 (曾坪 南下里寺址 三層石塔) 대표이미지남하리삼층석탑 해당 국가유산의 정보입니다. 분류, 수량/면적, 지정(등록)일, 소재지, 시대, 소유자(소유단체), 관리자(관리단체)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84.12.31 소재지 : 충북 증평군 증평읍 남하리 35-2번지 바위의 윗부분을 평평히 다듬고 네모난 받침돌을 놓아 3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석탑이다. 탑신의 1·3층 몸돌은 각각 한 돌로 되어있고, 2층 몸돌은 1층 지붕돌과 한 돌로 조성되었다. 지붕돌은 밑면에 3단씩의 받침을 높게 새긴 점이 특징적인데, 네 귀퉁이의 치켜올림과 잘 어울려 안정감을 준다. 꼭대기에는 머리장식을 받.. 2024. 7. 30. 전남 고흥 상림리삼층석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고흥상림리삼층석탑 (高興上林里三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92.03.09 소재지 : 전라남도 고흥군 분청문화박물관길 99 (두원면, 고흥분청문화박물관) 시 대 : 고려시대 풍양면사무소 정원에 자리하고 있는 석탑으로, 인근 야산에 있던 것을 이곳으로 옮겨 놓았다. 원래는 기단부(基壇部) 전체와 탑신(塔身)의 세 지붕돌만 남아 있었으나, 1990년 몸돌과 머리장식을 새로이 만들어 복원해 놓아, 1층의 기단 위에 3층의 탑신을 올린 모습이다. 기단 한쪽 면에는 탑을 세울 당시 함께 새겨둔 기록이 남아 있어 탑을 만든 시기를 정확히 알려주고 있다. 기단 윗면의 탑신을 괴어두는 부분에는 연꽃무늬가 있는데 형식에 그친 감이 있다... 2023. 12. 6. 강원 영월 주천삼층석탑 강원특별자치도 문화재자료 주천삼층석탑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등록)일 : 1984.06.02 소재지 : 강원도 영월군 주천면 주천리 1124-1 2층 기단(基壇) 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으로, 흥령사라는 절을 처음 지을 때 이 절을 안내하기 위해 세운 3기의 탑 중 하나로 전하고 있다. 기단은 일부 떨어져 나갔으며, 각 면의 가운데와 모서리마다 기둥을 본 떠 새겨 놓았다. 아래층 기단의 맨 윗돌에는 알구멍같은 구멍이 3군데 있고, 윗면에는 연꽃무늬가 장식되어 있다. 탑신은 1층 몸돌에만 기둥 모양을 새겼다. 2층 지붕돌은 끝부분이 깨져 있는데, 그 탓에 3층 지붕돌이 더 커보여 마치 다른 탑의 것을 끼워놓은 것처럼 보인다. 흥령사 창건 당시.. 2023. 11. 30. 강원 정선 용탄리사지삼층석탑 한국의석탑 정선군 향토유적 용탄리사지삼층석탑 2023.07.03 2023. 11. 30. 경기 용인 금련사석탑 한국의 석탑 경기 용인 한국민속촌내 무봉산 금련사 석탑들 2023.06.02 문현준의사진속으로 2023. 11. 17. 충남 예산 수덕사 삼층석탑 및 칠층석탑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수덕사삼층석탑 (修德寺三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등록)일 : 1983.09.29 소재지 : 충청남도 예산군 수덕사안길 79 (덕산면, 수덕사) 수덕사내의 대웅전 앞에 자리한 고려시대 3층 석탑이다. 형태는 2층 기단(基壇) 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올리고 머리장식을 얹은 모습이다. 위·아래층 기단과 탑신의 몸돌에는 기둥 모양을 새겼다. 지붕돌은 밑면에 4단의 받침을 두었고, 네 귀퉁이는 살짝 들려있다. 꼭대기에는는 3층 지붕돌과 한 돌로 만들어진 노반(露盤:머리장식받침)이 있고 그 위로 보륜(寶輪:수레바퀴 모양의 머리장식)과 보개(寶蓋:덮개 모양의 머리장식)가 놓여 머리장식을 하고있다. 1·2층 지붕돌 귀퉁이 일부가 파손되었.. 2023. 11. 16. 충남 홍성 광경사지삼층석탑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광경사지삼층석탑 (廣景寺址三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면적 : 1구 지정(등록)일 : 1984.05.17 소재지 : 충청남도 홍성군 도청대로 29-21 (홍성읍) 시 대 : 미상 광경사의 옛 터에 당간지주와 함께 남아 있는 3층 석탑으로, 1층 기단(基壇) 위에 3층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이다. 기단은 각 면의 중앙과 모서리마다 기둥을 본 떠 새겼다. 탑신의 각 층 몸돌과 지붕돌은 각각 하나의 돌로 쌓아 올렸는데, 1층 몸돌이 큰것에 비해 2·3층 몸돌의 높이는 급격히 줄어들었다. 지붕돌은 밑면의 받침이 4단씩이며, 네 귀퉁이가 살짝 치켜올라 갔다. 전체적으로 안정된 느낌을 주고 고려시대 작품으로 짐작된다. 자 료 : 국가문화유산포털 한국의석탑 .. 2023. 11. 14. 충남 홍성 고산사 삼층석탑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홍성 고산사 삼층석탑 (洪城 高山寺 三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면적 : 1기/1,107㎡ 지정(등록)일 : 2013.04.10 소재지 : 충청남도 홍성군 만해로127번길 35-99 (결성면, 고산사대광보전) 고산사 삼층석탑은 전체적인 외관이나 양식이 통일신라시대나 고려초기처럼 깔끔하고 정교한 치석 수법은 보이지 않지만 전대의 석탑 양식을 충실히 계승하고 있으며 석탑의 규모가 작아지면서 탑신석과 옥개석을 동일석으로 마련하는 경우가 많은데, 고산사 삼층석탑은 규모가 작음에도 탑신석과 옥개석을 별석으로 마련하였음 자 료 : 국가문화유산포털 한국의석탑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홍성 고산사 삼층석탑 2023.04.22 문현준의사진속으로 홍성 고산사삼층석탑 이전.. 2023. 11. 9. 이전 1 2 3 4 5 6 ··· 4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