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서산문화유산24

충남 서산 동문동당간지주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96호 서산동문동당간지주 (瑞山東門洞幢竿支柱) 분 류 : 유적건조물 수량/면적 : 1기/1 지정(등록)일 : 2008.04.10 소재지 : 충청남도 서산시 동문동 832-34 동문동에 소재한 오층석탑과 당간지주가 위치한 이곳은 고려시대에 큰절이 있었다고 해서 지금도 이곳을 대사동(大寺洞)이라고 부른다. 당간지주의 간대(竿臺)는 중앙에 간을 받치는 부분을 직경 20㎝ 정도로 파고 기둥자리의 원자(圓座)를 양각하였다. 장식적인 의장이나 아무런 조각이 없으며 1개의 통석으로 비교적 작고 소박하게 조성된 것으로 보아 고려 말에서 조선초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자 료 : 국가문화유산포털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96호 서산동문동당간지주 2021.04.24 동문동당간지주 이전글보기 20.. 2021. 6. 10.
충남 서산 동문동오층석탑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95호 서산동문동오층석탑 (瑞山東門洞五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면적 : 1기/7.9 지정(등록)일 : 2008.04.10 소재지 : 충청남도 서산시 동문동 832-14 동문동에 소재한 오층석탑과 당간지주가 위치한 이곳은 고려시대에 큰절이 있었다고 해서 지금도 이곳을 대사동(大寺洞)이라고 부른다. 당간지주와 약 50m 정도 거리에 위치하고 있는 오층석탑은 현재 3층만이 남아있다. 현재 2중기단의 갑석위에 올려져 있는 탑층은 3층까지만 남아 있고 4층과 5층, 상륜부 등이 결실되었다. 옥개석과 탑신은 모두 1개의 통석으로 되어 있고 옥개받침은 4단이며 옥개석 네 귀퉁이가 반전되었고 우아한 체감율을 보여주는 전형적인 고려시대 석탑이다 자료:국가문화.. 2021. 6. 10.
충남 서산 보원사지오층석탑 종 목 : 보물 제104호 명 칭 : 서산 보원사지 오층석탑 (瑞山 普願寺址 五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63.01.21 소재지 : 충남 서산시 운산면 용현리 119-1번지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국유 관리자 : 서산시 보원사(普願寺)터 서쪽의 금당터 앞에 세워져 있는 고려시대의 석탑이다. 보원사는 백제 때의 절로 사찰에 대한 역사는 전혀 알려지지 않았으나, 1959년 국보 제84호인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이 발견되면서 학계의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절터에는 이 탑 외에도 서산 보원사지 법인국사탑과 탑비, 당간지주, 석조 등이 남아있어 당시 사찰의 규모가 매우 컸음을 알 수 있다. 이 탑은 2단의 기단(基壇) 위에 5층의 탑신(塔身.. 2017. 9. 5.
[충남]서산 개심사오층석탑 충남 서산시 운산면 신창리 개심사에 있는 석탑 2012.03.13 촬영 문현준 이전글보기 2011/09/26 - [한국의석탑/충남권] - [충남]서산 개심사 오층석탑 2012. 4. 2.
[충남]서산 천장사 칠층석탑 천장사칠층석탑 종 목 :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202호 수 량 : 1기 지 정 일 : 1984.05.17 소 재 지 : 충남 서산시 고북면 장요리 1 소 유 자 : 천장사 관 리 자 : 천장사 연 락 처 : 충청남도 서산시 문화관광과 041-660-3023 문현준의사진속으로[2011.03.27] 2011. 10. 16.
[충남]서산 천장사칠층석탑 종 목 :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202호 명 칭 : 천장사칠층석탑 (天藏寺七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 량 : 1기 지정일 : 1984.05.17 소재지 : 충남 서산시 고북면 장요리 1 소유자 : 천장사 관리자 : 천장사 문 의 : 충청남도 서산시 문화관광과 041-660-3023 문현준의사진속으로[2010.04.24] 2011. 10.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