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석탑972

충남 태안 남문리오층석탑 종 목 :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201호 명 칭 : 남문리오층석탑 (南門里五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84.05.17 소재지 : 충남 태안군 태안읍 탑골길 55 (남문리)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관리자 : 태안군 문 의 : 충청남도 태안군 문화관광과 041-670-2761 남문리 마을 안에 자리하고 있는 탑으로, 널찍하게 마련한 돌단 위에 놓여 있다. 몇년 전까지 주변에서 기와조각이 발견되었고, 인근 민가 앞에서 작은 석불(石佛)이 발견되어 이곳이 절터였음을 말해주고 있다. 대체로 파손이 심하지 않은 이 탑은 기단(基壇)을 1층으로 쌓고, 그 위로 5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이다. 기단은 윗돌을 괴어두는 부분에 2단의 높직한 괴임을.. 2015. 11. 10.
경북 안동 충효당앞삼층석탑(중대사삼층석탑) 중대사삼층석탑(충효당앞삼층석탑) 경북 안동시 풍천면 하회리에 있는 고려시대 삼층석탑으로 하회마을 충효당(忠孝堂, 보물 제414호) 앞 마당에 위치한다. 주 소 : 안동시 풍천면 하회리 656번지 경북 안동 하회마을내 충효당앞 삼층석탑 2015.06.07 문현준 이전글보기 2012/12/21 - [한국의석탑/경상북도] - [경북]안동 중대사삼층석탑 2015. 11. 3.
경북 안동 운흥동오층전탑 종 목 : 보물 제56호 명 칭 : 안동 운흥동 오층전탑 (安東 雲興洞 五層塼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63.01.21 소재지 : 경북 안동시 운흥동 231번지 시 대 : 통일신라 소유자 : 국유 관리자 : 안동시 안동역 구내에 있는 탑으로, 전탑의 형태를 띠고 있다. 안동 지방에는 다른 지방에서는 볼 수 없는 전탑이 다소 있는데, 전탑이란 흙으로 구운 벽돌로 쌓은 탑을 이른다. 탑은 무늬없는 벽돌로 5층을 쌓았다. 몸돌에는 층마다 불상을 모시기 위한 방인 감실(龕室)을 설치했고 특히 2층 남쪽면에는 2구의 인왕상(仁王像)을 새겨두었다. 지붕돌은 벽돌을 사용한 것에서 오는 제약때문에 처마 너비가 일반 석탑에 비해 매우 짧다. 밑면의 받침수는 1층.. 2015. 11. 3.
전북 고창 선운사 도솔암 삼층석탑 전북 고창 선운사 도솔암 삼층석탑 2015.05.25 문현준 선운사관련 이전글보기 2015/10/30 - [한국의석탑/전라북도] - 전북 고창 선운사육층석탑 2014/08/23 - [한국의산하/풍경및생태] - [전북]고창 선운사 꽃무릇 2011/11/07 - [한국의산하/풍경및생태] - [전북]고창 선운사꽃무릇 2011/10/31 - [한국의산하/풍경및생태] - [전북]고창 선운사 꽃무릇 2011/10/22 - [한국의산하/풍경및생태] - [전북]고창 선운사 꽃무릇 2011/10/01 - [한국의석탑/전라북도] - [전북]고창 선운사 육층석탑 2011/10/01 - [한국의나무/소나무] - [전북]고창 선운사 삼인리의장사송 2011/10/01 - [한국의나무/소나무] - [전북]고창 선운사 삼인리송악 2.. 2015. 10. 30.
전북 고창 선운사육층석탑 종 목 :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29호 명 칭 : 선운사육층석탑 (禪雲寺六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73.06.23 소재지 : 전북 고창군 아산면 선운사로 250 (삼인리) 시 대 : 조선시대 소유자 관리자 : 선운사 문 의 : 전라북도 고창군 문화관광과 063-560-2780 선운사 대웅전 앞마당에 자리하고 있는 고려시대의 석탑이다. 기단(基壇)을 1층으로 마련하여 전체의 무게를 버티게 하고 그 위로 6층의 탑신(塔身)을 올려 놓았다. 기단의 네 면과 탑신부의 각 몸돌은 모서리마다 기둥모양을 새겼다. 얇아 보이는 지붕돌은 밑면에 5단씩의 받침을 두었고, 처마는 양끝에서 가볍게 들려있어 경쾌한 멋이 흐른다. 꼭대기에는 머리장식이 대체로 잘 남.. 2015. 10. 30.
경기 용인 두창리삼층석탑 용인시 향토유적 제19호 경기 용인 두창리 삼층석탑 2015.05.10 문현준 이전글보기 2012/04/05 - [한국의석탑/경기도] - [경기]용인 두창리삼층석탑 2015. 10. 28.
충남 청양 서정리구층석탑 충남 청양 서정리구층석탑 종   목 : 보물  제18호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   량 : 1기 지정일 : 1963.01.21 소재지 : 충남 청양군  정산면 서정리 16-2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국유 관리자 : 청양군 공주에서 청양쪽으로 23㎞ 떨어진 벌판 가운데에 서 있는 탑으로, 부근에 고려시대 백곡사(白谷寺)라는 절이 있었다고 하나 주위에 기와조각 등이 흩어져 있을 뿐 다른 유물들은 찾아볼 수 없다.탑은 2단의 기단 위에 9층의 탑신을 올린 모습이다. 아래층 기단에는 안상(眼象)을 돌려 새겼는데, 바닥선이 꽃모양으로 솟아올라 있어 고려시대의 양식상 특징을 드러낸다. 윗층 기단에는 네 모서리와 면의 가운데에 기둥 모양을 새겼으며, 그 위로 알맞은 두께의.. 2015. 10. 27.
충남 청양 도림사지 삼층석탑 종 목 :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27호 명 칭 : 도림사지삼층석탑 (道林寺址三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73.12.24 소재지 : 충남 청양군 장평면 적곡리 산8-1번지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관리자 : 청양군 문 의 : 충청남도 청양군 기획감사실 041-940-2226 도림마을 뒷산 중턱에 자리하고 있는 탑으로, 주변에서 ‘도림사(道林寺) ’라 새겨진 기와조각이 발견되어 이 터가 도림사의 옛 터임을 알게 되었다. 도림사는 고려시대 이전에 창건되어 조선 중기까지 계속되었던 사찰로 추측되고 있는데, 화재로 모두 불에 타고 현재는 터만 남아있다. 탑은 전체의 무게를 지탱하는 기단(基壇)을 2층으로 쌓고, 그 위로 3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2015. 10. 27.
전남 순천 향림사 삼층석탑 종 목 :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16호 명 칭 : 향림사삼층석탑 (香林寺三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 량 : 2기 지정일 : 1985.02.25 소재지 : 전남 순천시 석현동 230 시 대 소유자 : 향림사 관리자 : 향림사 문 의 : 전라남도 순천시 문화관광과 061-749-3226 향림사 대웅전 앞마당에 동서로 나란히 서 있는 2기의 석탑이다. 두 탑 모두 기단(基壇)을 1층으로 두어 전체의 무게를 버티도록 하고, 그 위로 3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이다. 기단과 탑신부의 각 몸돌은 4면마다 기둥을 본떠 새겼는데, 기단은 면의 모서리와 가운데에 조각을 두고 몸돌은 모서리에만 새겼다. 각 층의 지붕돌은 밑면에 4단씩의 받침을 마련하였고, 윗면은 얇고 평평하며, 처마는.. 2015. 10.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