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탑972 [전남]보성 옥마리 오층석탑 종 목 :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41호 명 칭 : 보성옥마리오층석탑 (寶城玉馬里五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 량 : 1기 지정일 : 1986.02.07 소재지 : 전남 보성군 노동면 옥마리 348 시 대 : 소유자 : 월림사 관리자 : 월림사 문 의 : 전라남도 보성군 문화관광과 061-852-5924 고려 성종 15년(966)에 창건하였다고 전하는 월림사터에 남아있는 탑으로, ‘벽옥탑(碧玉塔)’이라고도 한다. 형태는 2층 기단(基壇) 위에 5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이다. 아래·위층 기단과 탑신부의 각 층 몸돌에는 기둥모양을 조각하였다. 두툼한 지붕돌은 느린 경사가 흐르다 네 귀퉁이에서 살짝 들려 있으며, 밑면에 1·2층은 5단, 3층은 4단, 4·5층은 3단의 받침.. 2013. 9. 4. [전남]보성 봉천리 오층석탑 종 목 : 보물 제1115호명 칭 : 보성 봉천리 오층석탑 (寶城 鳳川里 五層石塔)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수 량 : 1기지정일 : 1992.01.15소재지 : 전남 보성군 복내면 봉천리 767-1시 대 : 고려시대소유자 : 국유관리자 : 보성군 오동사터에 서있는 탑으로, 2단의 기단(基壇) 위에 5층의 탑신(塔身)을 쌓아 올렸다. 기단은 아래층 기단이 너무 낮아 마치 바닥돌처럼 보인다. 위층 기단의 남쪽 면에는 승려의 모습이 돋을새김되어 있어 흥미롭다. 탑신은 각 층의 몸돌과 지붕돌을 각각 하나의 돌로 새겨 쌓았는데, 1층 몸돌만은 4장의 판판한 돌을 사방으로 세워 구성하였다. 각 층의 몸돌마다 네 모서리에 기둥을 본 뜬 조각이 보이며, 1층 몸돌의 크기에 비해 2층은 눈에 띄게 작.. 2013. 9. 4. [전남]보성 계산리 삼층석탑 종 목 :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133호명 칭 : 보성계산리삼층석탑 (寶城桂山里三層石塔)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수 량 : 1기지정일 : 1986.09.29소재지 : 전남 보성군 복내면 계산리 590시 대소유자 : 사유관리자 : 복내면문 의 : 전라남도 보성군 문화관광과 061-852-5924 전체의 무게를 지탱하는 기단(基壇)을 2층으로 두고, 3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의 탑이다. 원래는 기단(基壇)의 일부가 없어지고, 탑신의 3층 몸돌과 지붕돌이 각각 따로 떨어져 흩어져 있었는데, 1989년 탑을 해체하면서 모두 수습하여 복원해 놓았다. 아래층 기단은 네 개의 돌을 바둑판처럼 짜서 이루게 하였으며, 4면의 모서리와 가운데에 기둥 모양을 본 떠 새겼다. 위층 기단은 4장의 돌을.. 2013. 9. 3. [전남]순천 향림사 삼층석탑 종 목 :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16호명 칭 : 향림사삼층석탑 (香林寺三層石塔)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수 량 : 2기지정일 : 1985.02.25소재지 : 전남 순천시 석현동 230시 대소유자 : 향림사관리자 : 향림사문 의 : 전라남도 순천시 문화관광과 061-749-3226 향림사 대웅전 앞마당에 동서로 나란히 서 있는 2기의 석탑이다. 두 탑 모두 기단(基壇)을 1층으로 두어 전체의 무게를 버티도록 하고, 그 위로 3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이다. 기단과 탑신부의 각 몸돌은 4면마다 기둥을 본떠 새겼는데, 기단은 면의 모서리와 가운데에 조각을 두고 몸돌은 모서리에만 새겼다. 각 층의 지붕돌은 밑면에 4단씩의 받침을 마련하였고, 윗면은 얇고 평평하며, 처마는 네 귀퉁이가 위.. 2013. 9. 3. [전남]순천 순천고삼층석탑 전남 순천 순고등학교 삼층석탑 2013.03.01문현준 2013. 9. 3. [전남]순천 금둔사지삼층석탑 종 목 : 보물 제945호명 칭 : 순천 금둔사지 삼층석탑 (順天 金芚寺址 三層石塔)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수 량 : 1기지정일 : 1988.04.01소재지 : 전남 순천시 낙안면 상송리 산2-1 금둔사시 대 : 통일신라소유자 : 국유관리자 : 금둔사 낙안면 소재지에서 북으로 약 2km 떨어진 금전산의 무너진 절터에 자리하고 있는 탑이다. 『동국여지승람』에 “금전산에 금둔사가 있다”라는 기록이 있어 이 절터를 금둔사라고 추정하고 있으며, 현재는 조그마한 암자가 지어져 금둔사의 명맥을 잇고 있다. 탑은 2단의 기단(基壇)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이다. 아래층 기단에는 기둥 모양을 본떠 새기고, 위층 기단에는 기둥과 8부중상(八部衆像)을 도드라지게 새겨 놓았다. 탑신은 몸돌과.. 2013. 9. 3. [경기]용인 마북리 석불입상 및 석탑 용인시 향토유적 제52호 마북리 석불입상 및 석탑 2013.02.23 문현준 2013. 9. 2. [경기]용인 공세리오층석탑 종 목 :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42호명 칭 : 용인공세리오층석탑 (龍仁貢稅里五層石塔)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수 량 : 1기지정일 : 1983.09.19소재지 : 경기 용인시 기흥구 공세동 264시 대 : 고려시대소유자 : 황병태관리자 : 용인시문 의 : 경기도 용인시 문화예술과 031-324-2147, 2148 이름을 알 수 없는 옛 절터에 불상, 석등 하대석 등 과 함께 보존되어 있는 탑으로, 1층 기단(基壇) 위에 5층의 탑신(塔身)을 올리고 있다. 기단부의 지대석은 16판의 연꽃(복련)으로 장식되었으며, 그 위로 모서리에 기둥 모양을 조각한 4장의 판돌을 사방에 세워 만들었는데, 현재 마주보는 2장이 없어졌다. 탑신부의 몸돌은 1층에 비해 2층 몸돌이 급격히 줄어들었고 그 위층.. 2013. 9. 2. [충남]청양 삼층석탑 종 목 :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48호명 칭 : 청양삼층석탑 (靑陽三層石塔)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수 량 : 1기지정일 : 1984.05.17소재지 : 충남 청양군 청양읍 칠갑산로9길 58 (읍내리 15-37)시 대 : 고려시대소유자 : 청양군관리자 : 청양군문 의 : 충청남도 청양군 기획감사실 041-940-2226 청양삼존불입상(보물 제97호)과 함께 ‘일명사’라는 옛 절터에 있던 탑으로, 군청 뒤편에 옮겼다가 1961년 지금의 장소로 옮겨 세웠다. 형태는 1층 기단(基壇) 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이다. 기단은 간결하게 짜여 있고, 탑신은 각 층 몸돌과 지붕돌을 각각 한 돌로 만들어 쌓아 올렸다. 탑신의 1층 몸돌 앞면에는 문짝모양을 본 떠 새겼다. 꼭대기에는 노반.. 2013. 8. 30. 이전 1 ··· 53 54 55 56 57 58 59 ··· 10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