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천23 전남 순천 동화사 삼층석탑 종 목 : 보물 제831호 명 칭 : 순천 동화사 삼층석탑 (順天 桐華寺 三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85.01.08 소재지 : 전남 순천시 별량면 동화사길 208, 동화사 (대룡리)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동화사 관리자 : 동화사 동화사의 법당 앞에 세워져 있는 탑으로, 밑부분인 기단(基壇)이 땅속에 거의 파묻힌 채 그 위로 3층의 탑신(塔身)을 쌓아 올렸다. 땅위로 드러난 기단의 맨윗돌은 4장의 돌로 짜여져 있으며 경사져 있다. 탑신은 모두 지붕돌과 몸돌이 각각 한돌로 이루어져 있고, 몸돌에는 모서리마다 기둥모양이 새겨져 있다. 지붕돌 밑면의 받침수는 모두 3단씩이나, 높이의 차가 심해서 형식화된 느낌을 준다. 또한, 지붕돌 네 귀.. 2015. 10. 24. 전남 순천 동화사 부도 전남 순천 동화사 부도 2015.05.05 문현준 순천 동화사관련 이전글보기 2015/10/24 - [한국의법당/전라권] - 전남 순천 동화사 대웅전 2013/09/03 - [한국의나무/기타] - [전남]순천 동화사에서~ 2013/09/03 - [한국의문화유산/전라권] - [전남]순천 동화사 부도 2013/09/03 - [한국의법당/전라권] - [전남]순천 동화사 대웅전 2015. 10. 24. 전남 순천 동화사 대웅전 종 목 :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61호 명 칭 : 동화사대웅전 (桐華寺大雄殿)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불전 수 량 : 1동 지정일 : 1976.09.30 소재지 : 전남 순천시 별량면 대룡리 282 시 대 : 소유자 : 동화사 관리자 : 동화사 문 의 : 전라남도 순천시 문화관광과 061-749-3226 개운산에 위치한 동화사는 고려 초기 대각국사가 지은 사찰로 조선 숙종 22년(1696) 계환대사가 일부 건물을 다시 지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동화사 대웅전은 석가모니 부처님을 모시는 법당으로,앞면 3칸·옆면 3칸 규모이며 지붕 옆면이 여덟 팔(八)자 모양인 팔작지붕집이다. 지붕 처마를 받치면서 장식을 겸하는 공포가 기둥 위와 기둥 사이에도 놓인 다포양식 건물로이다. 동화사 대웅전은 .. 2015. 10. 24. 전남 순천 죽도봉에서 바라본 순천야경 전남 순천 죽도봉에서 바라본 야경 2015.05.04 문현준 2015. 10. 23. 전남 순천 선암사삼층석탑 종 목 : 보물 제395호 명 칭 : 순천 선암사 동ㆍ서 삼층석탑 (順天 仙巖寺 東ㆍ西 三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량/면적 : 2기 지정일 : 1963.09.02 소재지 : 전남 순천시 승주읍 선암사길 450 (죽학리) 시 대 : 통일신라 소유자 : 선암사 관리자 : 선암사 선암사는 신라의 아도화상이 개창하여 비로암이라고 하였다고 하나 헌강왕 때에 도선(道詵)이 창건하여 선암사라고 하였다는 설이 더 믿을 만하다. 절 서쪽에 높이가 10여 장(丈)이나 되고 면이 평평한 큰 돌이 있는데, 사람들은 옛 선인이 바둑을 두던 곳이라고 하여, 이 때문에 ‘선암(仙岩)’이라는 절이름이 생겼다고도 한다. 절 안의 승선교를 지나 마당에 들어서면 대웅전 앞에 좌우로 3층석탑 2기가 서있다... 2015. 10. 5. [전남]순천 향림사 삼층석탑 종 목 :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16호명 칭 : 향림사삼층석탑 (香林寺三層石塔)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수 량 : 2기지정일 : 1985.02.25소재지 : 전남 순천시 석현동 230시 대소유자 : 향림사관리자 : 향림사문 의 : 전라남도 순천시 문화관광과 061-749-3226 향림사 대웅전 앞마당에 동서로 나란히 서 있는 2기의 석탑이다. 두 탑 모두 기단(基壇)을 1층으로 두어 전체의 무게를 버티도록 하고, 그 위로 3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이다. 기단과 탑신부의 각 몸돌은 4면마다 기둥을 본떠 새겼는데, 기단은 면의 모서리와 가운데에 조각을 두고 몸돌은 모서리에만 새겼다. 각 층의 지붕돌은 밑면에 4단씩의 받침을 마련하였고, 윗면은 얇고 평평하며, 처마는 네 귀퉁이가 위.. 2013. 9. 3. [전남]순천 동화사에서~ 순천 동화사에서 나무에 내려앉은 나비 한마리를 보다 2013.03.01문현준 2013. 9. 3. [전남]순천 향림사 종 목 :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3호명 칭 : 향림사 (香林寺)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사찰수 량 : 일원지정일 : 1984.02.29소재지 : 전남 순천시 석현동 230시 대 : 소유자 : 향림사관리자 : 향림사문 의 : 전라남도 순천시 문화관광과 061-749-3226 비봉산에 자리잡은 절로 통일신라 경문왕 5년(865)에 도선국사가 세웠고 조선 현종 10년(1669)에 고쳐 지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도선은 신라말의 승려이자 풍수지리의 대가로 알려져 있다. 광해군 때 이수광이 편찬한 『승평지』에 따르면 이 부근의 지형이 새가 알을 품고 있는 형상으로 그 기운이 너무 강하여 지세를 누르기 위해 이곳에 향림사를 지었다고 한다. 경내의 건물로는 대웅전과 삼성각 그리고 스님들이 생활하는 .. 2013. 9. 3. [전남]순천 정혜사 대웅전 종 목 : 보물 제804호 명 칭 : 순천 정혜사 대웅전 (順天 定慧寺 大雄殿)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불전수 량 : 1동지정일 : 1984.11.30소재지 : 전남 순천시 서면 정혜사길 32 (청소리)시 대 : 조선시대소유자 : 정혜사관리자 : 정혜사 정혜사는 신라 경덕왕 때 보조국사가 세웠다는 설과 혜조국사가 세웠다는 설이 있으나 확실한 사실을 알 수는 없다. 오래된 절이란 뜻에서 고사(古寺)로도 부르는데 대웅전은 조선시대 건물로 추정한다. 규모는 앞면 3칸·옆면 2칸이며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을 한 팔작지붕이다.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해 장식하여 짜은 구조는 기둥 위뿐만 아니라 기둥 사이에도 있다. 이를 다포 양식이라 하는데 밖으로 뻗쳐 나온 부재가 굵직하게 .. 2013. 9. 3.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