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륵사7 충북 제천 신륵사 삼층석탑 보물 제천 신륵사 삼층석탑 (堤川 神勒寺 三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등록)일 : 1999.06.23 소재지 : 충북 제천시 덕산면 월악산로4길 180 (월악리) 시 대 : 고려시대 초기 신륵사에 세워져 있는 탑으로, 2단의 기단(基壇) 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이다. 기단은 각 면의 모서리와 가운데에 기둥 모양을 하나씩 본떠 새겼고, 탑신에서도 역시 몸돌의 모서리마다 기둥 모양의 조각을 두었다. 지붕돌은 밑면의 받침수가 층마다 4단이며, 빗물을 받는 낙수면은 경사를 약하게 두었고, 네 귀퉁이에서 약간씩 치켜 올려진 상태이다. 꼭대기에는 머리장식으로 노반, 복발, 앙화, 보륜, 보개(寶蓋:지붕모양의 장식) 등이 올려져 있으며, 머.. 2024. 9. 24. 충북 제천 신륵사 충청북도 유형문화유산 제천 신륵사 극락전 (堤川 神勒寺 極樂殿)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불전 수량/면적 : 1동 지정(등록)일 : 1982.12.17 소재지 : 충청북도 제천시 월악산로4길 180 (덕산면) 신륵사는 월악산 기슭에 있는 절로 신라 진평왕 4년(582) 아도가 지었다고 하나 연대가 확실하지 않다. 그 뒤 신라 문무왕(재위 661∼681) 때 원효가 고쳤다고 하며, 조선 선조(재위 1567∼1608) 때 사명대사가 다시 지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신륵사 극락전은 아미타불을 모시는 건물이다. 앞면 3칸·옆면 3칸이며, 지붕 옆면이 사람 인(人)자 모양인 맞배지붕집이다.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해 장식하여 만든 공포는 기둥 위와 기둥 사이에도 있는 다포계 양식의 건물이다.. 2024. 9. 24. [경기]여주 신륵사 극락보전 종 목 : 유형문화재 제128호 명 칭 : 신륵사극락보전 (神勒寺極樂寶殿)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불전 수량/면적 : 1동 지정일 : 1985.06.28 소재지 : 경기도 여주시 신륵사길 73 (천송리) 시 대 : 조선시대 소유자 : 관리자 : 신륵사 문 의 : 신륵사는 봉미산 기슭에 있는 절로 신라 진평왕(재위 579∼632) 때 원효가 지었다고 하나 정확하지는 않다. 고려 우왕 5년(1379)에 나옹화상이 오면서 크게 번창하였고, 성종 3년(1472)부터는 대규모로 확장시켰다. 성종 4년에는 절의 이름을 ‘보은사’라 하였다. 절 이름을 ‘신륵’이라 한 것은 미륵 또는 나옹이 신기한 굴레로 말을 막았다는 설과 고려시대에 마을에 나타난 사나운 말을 인당대사가 신의 힘으로 제압했다하여 .. 2015. 7. 9. [경기]여주 신륵사 다층전탑 종 목 : 보물 제226호 명 칭 : 여주 신륵사 다층전탑 (驪州 神勒寺 多層塼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63.01.21 소재지 : 경기도 여주시 신륵사길 73 (천송동)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신륵사 관리자 : 신륵사 아래로 한강이 굽어보이고 강 건너 멀리 평야를 마주하고 있는 경치좋은 바위 위에 이 전탑이 세워져 있다. 전탑(塼塔)이란 흙으로 구운 벽돌로 쌓은 탑을 이르며, 우리나라에서는 경기도와 경상북도 안동지역에서 몇 기가 남아 있다. 탑은 기단(基壇)을 2단으로 마련하고, 다시 3단의 계단을 쌓은 후 여러 층의 탑신(塔身)을 올렸다. 기단과 계단은 화강암으로 만들었으며, 탑신부는 흙벽돌로 6층까지 쌓아 올렸는데, 그 위에 다시 몸.. 2015. 7. 9. [경기]여주 신륵사 다층석탑 종 목 : 보물 제225호 명 칭 : 여주 신륵사 다층석탑 (驪州 神勒寺 多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63.01.21 소재지 : 경기도 여주시 신륵사길 73 (천송동) 시 대 : 조선시대 소유자 : 신륵사 관리자 : 신륵사 신륵사 극락보전 앞에 있는 탑으로, 기단(基壇)을 2단으로 마련한 후, 그 위로 여러 층의 탑신(塔身)을 세운 모습이다. 통일신라와 고려시대의 일반적인 석탑양식을 따르고 있으나 각 부분의 세부적인 조형방법은 전혀 달라서, 기단에서부터 탑신부까지 전부 한 장씩의 돌로 이루어져 있다. 바닥돌 윗면에는 연꽃을 돌려 새겼다. 아래층 기단의 네 모서리에 새겨진 기둥조각은 형식적이나, 특이하게도 물결무늬를 돋을새김해 두어 눈길을 끈다.. 2015. 7. 9. [경기]여주 신륵사 삼층석탑 종 목 : 문화재자료 제133호 명 칭 : 여주신륵사삼층석탑 (驪州神勒寺三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2004.11.27 소재지 : 경기도 여주시 신륵사길 73 (천송동, 신륵사) 시 대 : 고려시대 자료바로가기 : 문화재청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133호 경기 여주 신륵사 삼층석탑 2015.01.02 문현준 2015. 7. 9. [충북]제천 신륵사 삼층석탑 및 극락전 제천신륵사삼층석탑 종 목 : 보물 제1296호 지정일 : 1999.06.23 소재지 : 충북 제천시 덕산면 월악리 803-5 시 대 : 고려시대 제천신륵사극락전 종 목 : 시도유형문화재 제132호 (충북) 지정일 : 1982.12.17 소재지 : 충북 제천시 덕산면 월악리 803-5 시 대 : 조선시대 문현준의사진속으로[2009.01.13] 2011. 10. 4.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