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층석탑290 [전남]곡성 가곡리오층석탑 종 목 : 보물 제1322호 명 칭 : 곡성 가곡리 오층석탑 (谷城 柯谷里 五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 량 : 1기 지정일 : 2001.09.21 소재지 : 전남 곡성군 오산면 가곡리 2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국유 관리자 : 곡성군 가곡리 매봉 북쪽 경사면에 위치한 절터에 있는 석탑으로, 2단의 기단 위에 5층의 탑신(塔身)을 얹은 모습이다. 가곡리 오층석탑의 맨 아래 바닥돌은 시멘트로 만든 기단에 묻혀 있어 원래 모습을 알 수 없다. 탑의 아래기단에는 기둥 모양이 없으나 윗기단에는 모서리기둥이 새겨져 있다. 5층의 지붕돌은 알맞은 비례로 줄어들었는데, 1층 몸돌은 4매의 돌, 2층 이상의 몸돌은 1매의 돌로 이루어져 있고, 각 몸돌에는 모서리기둥이 표현되어 있다.. 2012. 2. 21. [전북]순창 강천사오층석탑 종 목 :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92호 명 칭 : 강천사오층석탑 (剛泉寺五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 량 : 1기/7620 지정일 : 1979.12.27 소재지 : 전북 순창군 팔덕면 청계리 996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강천사 관리자 : 강천사 문 의 : 전라북도 순창군 문화관광과 063-650-1224 강천사 대웅전 앞마당에 서 있는 5층 석탑이다. 1층 기단(基壇) 위로 5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으로, 화강암으로 정교하게 다듬었다. 탑신부의 각 몸돌은 모서리에 기둥 모양을 새겼는데, 1층은 확실히 보이고 있으나 그 위층부터는 희미하게 흔적만 남아 있다. 지붕돌은 밑면에 3단의 받침을 두었고, 처마는 수평을 이루다 양끝에서 서서히 올라갔다. 꼭대기에는 조그만.. 2012. 2. 16. [전북]김제 금산사오층석탑 종 목 : 보물 제25호 명 칭 : 김제 금산사 오층석탑 (金堤 金山寺 五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 량 : 1기 지정일 : 1963.01.21 소재지 : 전북 김제시 금산면 모악15길 1, 금산사 (금산리)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금산사 관리자 : 금산사 금산사 안의 북쪽에 송대(松臺)라고 불리는 높은 받침 위에 세워져 있는 탑이다. 바로 뒤에는 석종모양의 사리계단이 있는데, 이렇듯 사리계단 앞에 석탑을 세워놓은 것은 사리를 섬기던 당시 신앙의 한 모습이기도 하다. 상·하 2단의 기단(基壇) 위에 5층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의 탑이다. 기단부는 아래층 기단의 규모가 좁아져 있고, 각 기단의 윗면에 다른 돌을 끼워서 윗돌을 받치도록 하고 있어 주목된다. 탑신부는 2.. 2012. 2. 7. [전남]목포 북교동오층석탑 목포에 여러번 내려갔어도 목포에 탑이 있다는걸 얼마전에 알았다. 강원도 쪽으로 갈까 하다가 도로사정도 그렇고 그냥 편안한 마음으로 목포에 달랑 하나 있는 석탑을 보고 오다. 아마도 지정이 안된 석탑이다 보니 자료도 안보인다... 쩝~ 2012.01.08 촬영 문현준 2012. 1. 10. [충남]부여 무량사 오층석탑 종 목 : 보물 제185호 명 칭 : 부여 무량사 오층석탑 (扶餘 無量寺 五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 량 : 1기 지정일 : 1963.01.21 소재지 : 충남 부여군 외산면 만수리 166 무량사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무량사 관리자 : 무량사 무량사 극락전 앞에 자리하고 있는 웅장한 모습의 5층 석탑이다. 탑을 받치는 기단(基壇)은 1단으로, 둥글게 다듬은 두툼한 석재를 포함한 층단으로 괴임을 만들고 각 면의 모서리와 가운데에 기둥을 세웠다. 탑신(塔身)은 지붕돌과 몸돌을 한 층으로 하여 5층을 이루고 있다. 네 모서리에 기둥을 세우고 있는 몸돌은 지붕돌에 비하여 높이가 낮은 편이나 전체적으로 알맞은 비례를 보이고 있어 우아하면서도 장중한 느낌을 준다. 지붕돌은 .. 2012. 1. 3. [충남]청양 계봉사오층석탑 계봉사오층석탑 (鷄鳳寺五層石塔) 종 목 :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47호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 량 : 1기 지정일 : 1984.05.17 소재지 : 충남 청양군 목면 본의리 675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계봉사 관리자 : 계봉사 문 의 : 충청남도 청양군 기획감사실 041-940-2226 계봉사의 정원 가운데 서 있는 5층 석탑이다. 계봉사는 백제 성왕 때 지었다고도 하며, 통일신라 문성왕 때 지어졌다고 하나 연대는 확실하지 않다. 조선 헌종 때 불에 타 버린 것을, 옛이름을 따서 작은 규모로 새로이 짓고 정원을 꾸며 오늘에 이르고 있다. 이 5층 석탑과 물을 받는 돌구유만이 옛모습 그대로 남아 있다. 탑은 2층 기단(基壇) 위에 5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이다. .. 2011. 12. 29. [강원]강릉 관음리오층석탑 강릉관음리오층석탑 종 목 : 시도유형문화재 제112호 (강원) 수 량 : 1기 지 정 일 : 1992.06.10 소 재 지 : 강원 강릉시 성산면 관음리 774 소 유 자 : 강릉시 관 리 자 : 강릉시 연 락 처 : 강원도 강릉시 문화체육과 033-640-5111 2층 기단(基壇) 위로 5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의 석탑으로, 주변에 절터로 보이는 건물터와 석불의 대좌로 보이는 석물 등이 남아있다. 아래층 기단의 각 면에는 둥글넓적한 안상(眼象)을 얕게 새기고, 위층 기단에는 각 면의 모서리와 가운데에 기둥 모양을 새겼다. 탑신부는 몸돌과 지붕돌을 각각 하나의 돌로 쌓아 올렸는데, 1층 몸돌은 큰 편이며, 2층부터는 높이가 급격히 낮아졌다. 지붕돌은 밑면에 3단의 받침을 두고, 네 귀퉁이는 높이 치.. 2011. 12. 10. [충남]공주 신원사 오층석탑 신원사오층석탑 종 목 :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31호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 량 : /면적 1기( 532.000 ㎡ ) 지정일 : 1974.09.01 소재지 : 충남 공주시 계룡면 양화리 8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대한불교조계종신원사 관리자 : 대한불교조계종신원사 문 의 : 충청남도 공주시 문화재관리소 041-840-2814 계룡산의 산신제단(山神祭壇)인 중악단(中嶽壇) 남쪽에 서 있는 5층 석탑이다. 현재는 4층 지붕돌까지만 남아 있으나 원래는 2층 기단(基壇)에 5층의 탑신(塔身)을 올렸던 것으로 보인다. 아래층 기단과 탑신의 몸돌에는 기둥모양을 새겼는데 이것은 목조건축의 기둥을 모방한 것이다. 지붕돌은 밑면의 받침이 3단씩이고, 처마는 거의 수평이다. 석탑의 서쪽에.. 2011. 12. 8. [충남]공주 신원사오층석탑 신원사오층석탑 종 목 :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31호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 량 : /면적 1기( 532.000 ㎡ ) 지정일 : 1974.09.01 소재지 : 충남 공주시 계룡면 양화리 8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대한불교조계종신원사 관리자 : 대한불교조계종신원사 문 의 : 충청남도 공주시 문화재관리소 041-840-2814 문현준의사진속으로[2011.08.27 촬영] 2011. 11. 28. 이전 1 ··· 20 21 22 23 24 25 26 ··· 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