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225 전남 순천 금둔사지 석조불비상 보물 순천 금둔사지 석조불비상 (順天 金芚寺址 石造佛碑像) 분 류 : 유물 / 불교조각 / 석조 / 불상 수량/면적 : 1구 지정(등록)일 : 1988.04.01 소재지 : 전라남도 순천시 수정암길 192 (낙안면) 시 대 : 통일신라시대 9세기 전라남도 승주군 낙안면 금전산의 서쪽에 있는 절터에 삼층석탑과 함께 있다.『동국여지승람』에 ‘금전산에 금둔사(金芚寺)가 있다’고 하여 이곳으로 추정하고 있다. 지붕 모양의 보개(寶蓋)와 대좌(臺座)를 갖춘 이 불상은 직사각형의 평평한 돌 한쪽면에 불상을 조각하여 마치 거대한 비석의 형태를 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민머리의 정수리 부분에는 낮은 상투 모양의 머리(육계)가 솟아있고 얼굴은 원만한 형태이다. 신체는 우아하게 굴곡이 있어 부피감이 느껴지며 단아.. 2024. 8. 22. 전남 순천 금둔사 전통사찰79호로 전남 순천시 낙안면 상송리에 있는 절로 금은 부처님이고 둔은 싹이 돋는다는 뜻으로 일체 중생은 각기 불성을 갖추어 있기에 스스로 조건만 맞추어 주면 누구나 부처님이 된다는 의미라고 함. 전남 순천 금둔사 2023.10.28문현준의사진속으로금둔사 이전글 보기2013.09.03 - [한국의법당/전라남도] - [전남]순천 금둔사 [전남]순천 금둔사전남 순천시 낙안면 상송리 산2-1 금둔사 2013.03.01문현준sajin365.net 2024. 8. 22. 전남 신안 흑산진리무심사지삼층석탑과석등 전라남도 문화유산자료 신안흑산진리무심사지삼층석탑과석등 (新安 黑山 鎭里 三層石塔과 石燈)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면적 : 일괄 지정일 : 1994.01.31 소재지 : 전남 신안군 흑산면 진리 721-2번지 읍동마을 당산나무 밑에 놓여 있는 석탑과 석등으로, 주위에는 밭이 펼쳐 있고 뒤로는 상라산이 병풍처럼 배경을 이루고 있다. 절터의 흔적은 찾아볼 수 없으나 주위에서 토기나 기와조각들이 발견되고 있어, 지금도 불교신도들이 이곳에 찾아와 불공을 드리고 있다. 석탑은 땅 위로 기단(基壇)의 맨 윗돌만 드러나 그 아래는 모두 묻혀 있으며, 위로는 3층의 탑신(塔身)이 쌓여 있다. 탑신의 세 몸돌은 모두 위아래와 서로 틀이 딱 맞지 않아 원래의 것이 아니었을 것으로 보이는데.. 2024. 7. 30. 전남 신안 흑산 진리성황당 전남 신안 흑산 진리성황당2023.08.22 2024. 7. 30. 전남 신안 흑산성당 신안 흑산성당 국가등록문화유산 분 류 : 등록문화유산 / 기타 / 종교시설 수량/면적 : 1동 (현황측량면적 393㎡) 지정일 : 2019.08.05 소재지 : 전라남도 신안군 흑산일주로 180-20 (흑산면) 진리 41, 42, 산79-7 시 대 : 미상 소유자 : 재)광주구천주교회유지재단 신안 흑산성당은 우리나라 서남해의 최남단에 위치한 흑산도에 천주교가 전파되어 가는 과정을 엿볼 수 있는 장소로, 선교뿐 아니라 교육, 의료 등 다양한 분야의 봉사활동을 활발하게 전개하여 낙후되었던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했던 점에서 종교적 가치 및 지역사적 측면에서 의미가 크다. 자 료 : 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 신안 흑산성당 국가등록문화유산 2023.08.22 2024. 7. 30. 전남 여수 금백암지석탑 전남 여수 금백암지석탑 금백암은 돌산읍 죽포리 뒷산에 있던 절로 금백암은 언제 없어졌는지 알 수 없으나 절터에 남아있던 3층석탑을 이곳 봉덕 초등학교 서남진 화단으로 옯겨 놓았다. 탑의 모양이 작고 옥개석 하나와 상륜부가 소실되어 문화적 가치가 약해 보이지만 돌산읍에 존해하는 유일한 석탑으로서의 의미가 있다. 전남 여수시 돌산읍 죽포1길 21-16 (죽포리 1623) 봉덕초등학교 한국의석탑 전남 여수 금백암지석탑 2023.08.02 2023. 12. 6. 전남 고흥 관리사지석탑 전남 고흥군 도양읍 관리 1160 폐교된 도양초등학교 지금은 고흥군 청년 농촌보금자리 한구석에 조용히 자리하고 있다. 한국의석탑 전남 고흥 관리사지석탑 2023.08.02 2023. 12. 6. 전남 고흥 상림리삼층석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고흥상림리삼층석탑 (高興上林里三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92.03.09 소재지 : 전라남도 고흥군 분청문화박물관길 99 (두원면, 고흥분청문화박물관) 시 대 : 고려시대 풍양면사무소 정원에 자리하고 있는 석탑으로, 인근 야산에 있던 것을 이곳으로 옮겨 놓았다. 원래는 기단부(基壇部) 전체와 탑신(塔身)의 세 지붕돌만 남아 있었으나, 1990년 몸돌과 머리장식을 새로이 만들어 복원해 놓아, 1층의 기단 위에 3층의 탑신을 올린 모습이다. 기단 한쪽 면에는 탑을 세울 당시 함께 새겨둔 기록이 남아 있어 탑을 만든 시기를 정확히 알려주고 있다. 기단 윗면의 탑신을 괴어두는 부분에는 연꽃무늬가 있는데 형식에 그친 감이 있다... 2023. 12. 6. 전남 고흥 옥하리곰솔 전라남도 기념물 고흥옥하리곰솔 (高興玉下里海松) 분 류 : 자연유산 / 천연기념물 / 생물과학기념물 / 생물상 수량/면적 : 1주(1,210㎡) 지정일 : 2002.11.27 소재지 : 전남 고흥군 고흥읍 옥상길 12-31 (옥하리) 곰솔은 소나무과로 잎이 소나무 잎보다 억세기 때문에 곰솔이라고 부르며, 소나무의 겨울눈은 붉은색인데 반해 곰솔은 회백색인 것이 특징이다. 바닷가를 따라 자라기 때문에 해송으로도 부르며, 또 줄기 껍질의 색이 소나무보다 검다고 해서 흑송이라고도 한다. 바닷바람과 염분에 강하여 바닷가의 바람을 막아주는 방풍림이나 방조림으로 많이 심는다. 고흥 옥하리 곰솔은 나이가 300년 정도로 추정되며, 높이는 14m, 둘레는 127∼130㎝이다. 흥양현 읍성(전남기념물 제35호)의 사면에 .. 2023. 12. 5. 이전 1 2 3 4 5 ··· 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