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연기념물48 전남 목포 갓바위 종 목 : 천연기념물 제500호 명 칭 : 목포 갓바위 (목포 갓바위) 분 류 : 자연유산 / 천연기념물/ 지구과학기념물/ 지질지형 수량/면적 : 지정일 : 2009.04.27 소재지 : 전남 목포시 용해동 86-24번지 인접해역 시 대 소유자 : 국유 관리자 : 목포시 목포 갓바위는 해수와 담수가 만나는 영산강 하구에 위치해 풍화작용과 해식작용의 결과로 형성된 풍화혈(風化穴; tafoni)로서 삿갓을 쓴 사람의 특이한 형상을 하고 있다. 이와 같은 풍화혈은 노출암괴에서 수분이 암석내부로 쉽게 스며드는 부위(균열 등)에 발달하며, 스며든 수분의 부피변화로 야기되는 물리적 압력에 의해 암석을 구성하는 물질이 보다 쉽게 입상(粒狀)으로 떨어져 나오는데, 일단 풍화혈이 생성되기 시작하면 이곳은 햇빛에 가려져 .. 2015. 11. 23. 경북 예천 석송령 종 목 : 천연기념물 제294호 명 칭 : 예천 천향리 석송령 (醴泉 泉香里 石松靈) 분 류 : 자연유산 / 천연기념물/ 문화역사기념물/ 민속 수량/면적 : 1주 지정일 : 1982.11.09 소재지 : 경북 예천군 감천면 천향리 804외 3필 소유자 : 농림수산부 외 관리자 : 예천군 석평마을의 마을회관 앞에서 자라고 있는 예천 천향리의 석송령은 나이가 600년 정도로 추정되며, 높이는 11m, 둘레는 3.67m이다. 나무는 밑동에서부터 여러 갈래로 갈라져 있어 전체적으로 우산모양을 하고 있으며, 곁가지의 무게를 지탱하기 위해 곳곳에 돌로 된 기둥을 세워 놓았다. 전하는 이야기에 의하면, 약 600년 전 풍기지방에 큰 홍수가 났을 때 석간천을 따라 떠내려오던 소나무를 지나가던 사람이 건져서 이 자리에 .. 2015. 11. 3. [전남]장흥 옥당리 효자송 종 목 : 천연기념물 제356호 명 칭 : 장흥 옥당리 효자송 (長興 玉堂里 孝子松) 분 류 : 자연유산 / 천연기념물/ 문화역사기념물/ 기념 수량/면적 : 1주 지정일 : 1988.04.30 소재지 : 전남 장흥군 관산읍 옥당리 160-1번지 소유자 : 백동산 관리자 : 장흥군 장흥 옥당리의 효자송은 옥당리 마을 앞 농로 옆에서 자라고 있는 소나무로, 수령은 약 200여년 정도로 추정되며 높이는 12m, 가슴높이의 둘레가 4.50m이다. 마을에 내려오는 이야기에 의하면 150여년 전, 이곳에 효성이 지극한 세 청년이 살았는데 무더운 여름날 자신의 어머님이 노약하신 몸으로 밭일을 하는 모습을 보고는 그늘을 만들어 쉴 수 있게 하자고 결의하고 각각 소나무, 감나무, 소태나무를 심었다고 한다. 그러나 지금은.. 2014. 11. 26. [제주]제주 산천단곰솔군 종 목 : 천연기념물 제160호 명 칭 : 제주 산천단 곰솔 군 (濟州 山川壇 곰솔 群) 분 류 : 자연유산 / 천연기념물/ 문화역사기념물/ 민속 수량/면적 : 8주 지정일 : 1964.01.31 소재지 : 제주 제주시 516로 3041-24 (아라일동) 소유자 : 국유,사유 관리자 : 제주특별자치도 곰솔은 소나무과로 잎이 소나무 잎보다 억세고, 소나무의 겨울눈은 붉은색인데 반해 곰솔은 회백색인 것이 특징이다. 바닷가를 따라 자라기 때문에 해송(海松)으로도 부르며, 또 줄기 껍질의 색이 소나무보다 검다고 해서 흑송(黑松)이라고도 한다. 바닷바람과 염분에 강하여 바닷가의 바람을 막아주는 방풍림(防風林)이나 방조림(防潮林)으로 많이 심는다. 제주시 곰솔은 나이가 500∼600년 정도로 추정되며, 평균높이는 .. 2014. 10. 16. [제주]제주수산리곰솔 종 목 : 천연기념물 제441호 명 칭 : 제주 수산리 곰솔 (濟州 水山里 곰솔) 분 류 : 자연유산 / 천연기념물/ 문화역사기념물/ 민속 수량/면적 : 1주 지정일 : 2004.05.14 소재지 : 제주 제주시 애월읍 수산리 2274번지 소유자 : 관리자 : 제주특별자치도 곰솔은 나무껍질이 검기 때문에 흑송(黑松)이라 하기도 하며, 바닷가에 많이 자라므로 해송(海松)으로 불리기도 한다. 제주 수산리 곰솔은 북제주군 애월읍 수산리 입구 수산봉 남쪽 저수지 옆에 위치하며 수고 12.5m, 수관폭 24.5m, 수령은 약 400년 정도로 추정된다. 이 곰솔은 마을의 수호목으로서 주민들이 적극 보호하는 등 문화적 가치가 매우 높고, 곰솔의 상부에 눈이 덮이면 마치 백곰이 저수지의 물을 마시는 모습을 연상시킨다... 2014. 10. 16. [전남]진도 임회면 상만리 비자나무 명 칭 : 진도 상만리 비자나무 (珍島 上萬里 비자나무)종 목 : 천연기념물 제111호분 류 : 자연유산 / 천연기념물/ 문화역사기념물/ 생활수량/면적 :633㎡(보호구역)지정일 : 1962.12.03소재지 : 전남 진도군 임회면 상만리 681-1번지소유자 : 공유, 사유관리자 : 진도군수 비자나무는 우리나라의 내장산 이남과 일본 등지에서 자란다. 나무의 모양이 아름다워서 마을 주변에 많이 심으며, 열매는 구충제 및 변비 치료제나 기름을 짜는데 쓰인다. 임회면의 비자나무는 나이가 600년 정도 된 것으로 추정되며, 높이 12.0m, 가슴높이 둘레 6.35m에 달한다. 가지가 무성하게 자라 좋은 그늘을 만들어주고 있어 쉼터 역할도 한다. 이 비자나무는 1,000년 전에 세워졌던 구암사 경내에 있었던 것으로.. 2014. 5. 12. [충남]태안 신두리 해안사구 명 칭 : 태안 신두리 해안사구 (泰安 薪斗里 海岸砂丘) 종 목 : 천연기념물 제431호 분 류 : 자연유산 / 천연기념물/ 지구과학기념물/ 지질지형 면 적 : 1,702,165㎡(지정구역) 지정일 : 2001.11.30 소재지 : 충남 태안군 원북면 신두리 산263-1 외 소유자 : 국유, 사유 관리자 : 충남 태안군수 해안사구는 해류에 의하여 사빈으로 운반된 모래가 파랑에 의하여 밀려 올려지고, 그곳에서 탁월풍의 작용을 받은 모래가 낮은 구릉 모양으로 쌓여서 형성되는 지형을 말한다. 신두리 해안사구는 태안반도 서북부의 바닷가를 따라 형성된 길이 약 3.4㎞, 폭 약 0.5∼1.3㎞의 모래언덕으로 내륙과 해안의 완충공간 역할을 하며 바람자국 등 사막지역에서 볼 수 있는 경관이 나타나는 곳이다. 신두리 .. 2014. 4. 22. [경북]안동 만송정숲 종 목 : 천연기념물 제473호명 칭 : 안동 하회마을 만송정 숲 (安東 河回마을 萬松亭 숲)분 류 : 자연유산 / 천연기념물/ 문화역사기념물/ 역사수량/면적 :145,219㎡(지정구역)지정일 : 2006.11.27소재지 : 경북 안동시 풍천면 뱃나들길 74, 등 (하회리)소유자 : 국유관리자 : 경북 안동시자 료 : 문화재청 만송정 숲은 낙동강이 하회마을을 휘돌아 흐르며 만들어진 넓은 모래 퇴적층에 위치하며, 조선 선조 때 문경공 류운용이 마을 맞은편 부용대의 기를 완화하기 위하여 1만그루의 소나무를 심어 조성한 숲이다. 하회마을, 백사장, 낙동강 그리고 부용대 등과 어우러져 경관이 뛰어난 마을숲으로 경관적, 역사적, 문화적 가치가 크다. 천연기념물 제473호안동 하회마을 만송정 숲 2012.09.02.. 2012. 12. 21. [경북]구미 독동리반송 종 목 : 천연기념물 제357호명 칭 : 구미 독동리 반송 (龜尾 禿洞里 반송)분 류 : 자연유산 / 천연기념물/ 문화역사기념물/ 기념수 량 : 면적465㎡(보호구역)지정일 : 1988.04.30소재지 : 경북 구미시 선산읍 독동리 539외 2필소유자 : 구미시관리자 : 경북 구미시자 료 : 문화재청 반송(盤松)은 소나무의 한 종류로 줄기가 밑둥에서부터 여러 갈래로 갈라져서 줄기와 가지의 구별이 없고 전체적으로 우산과 같은 모습을 하고 있다. 이 반송은 나이가 약 400년으로 추정되며, 높이는 13.1m이고 밑줄기 둘레는 4.05m이다. 줄기가 아래에서부터 여러 갈래로 갈라져 전체적으로는 부챗살처럼 퍼진 반송의 전형적인 모습을 하고 있다. 안강 노씨가 마을에 처음 들어올 때부터 자라던 나무라고 전해진다... 2012. 12. 20. 이전 1 2 3 4 5 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