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충남1477

충남 부여 홍산상천리마애불입상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부여홍산상천리마애불입상 (扶餘鴻山上川里磨崖佛立像) 분 류 : 유물 / 불교조각 / 석조 / 불상 수량/면적 : 1구 지정(등록)일 : 1992.12.08 소재지 : 충남 부여군 홍산면 상천리 산104-1번지 문화재 설명 충청남도 부여군 홍산면 태봉산 정상의 북쪽 산중턱 암벽에 조각한 마애불이다. 이 불상은 전체높이 6m로 한면을 택하여 조각하였는데 앞쪽이 10˚정도 기울어져 있다. 민머리이며 그 위에 상투 모양의 머리묶음이 커다랗게 솟아 있다. 둥글 넓적한 얼굴에 눈은 가늘게 감았고 입술은 두터우며 귀는 길게 늘어졌다. 목에는 3줄로 새겨진 삼도(三道)가 있는데 고려시대 불상의 특징을 잘 보여준다. 왼쪽 어깨에 걸친 옷자락에는 나비모양으로 묶은 띠매듭이 있어 매우 독특하다. 몸체에 비.. 2022. 8. 10.
충남 아산 곡교천에서 충남 아산 곡교천에서.. 2022.02.14 문현준의사진속으로 2022. 8. 8.
충남 예산 석곡리석탑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석곡리석탑 (石谷里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등록)일 : 1984.05.17 소재지 : 충청남도 예산군 고덕면 석곡리 380-28 석곡리 마을회관 내에 자리하고 있는 탑으로, 이곳에서 조금 떨어진 옛 절터에서 옮겨왔으며, 함께 발견된 석곡리미륵불(충청남도문화재자료 제185호)이 옆에 남아 있다. 탑은 1층 기단(基壇) 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인데, 탑신부의 3층 몸돌은 없어진 상태이다. 기단은 네장의 판돌을 세워 4면을 이루고 있고, 각 면의 모서리와 가운데에 기둥 모양을 새겨두었으며, 탑신부의 각 몸돌에도 모서리마다 기둥 모양을 새겨 놓았다. 지붕돌은 밑면에 3단씩의 받침을 두고 있고, 처마는 수평을 이루다 네 귀퉁.. 2022. 8. 8.
충남 홍성 오관리당간지주 보물 홍성 오관리 당간지주 (洪城 五官里 幢竿支柱)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당간 수량/면적 : 1기 지정(등록)일 : 1971.07.07 소재지 : 충남 홍성군 홍성읍 오관리 297-15번지 시 대 :고려시대 중기 절에서는 불교의식이 있을 때 사찰 입구에 당(幢)이라는 깃발을 달아 두는데, 이 깃발을 다는 장대를 당간(幢竿)이라 하며, 당간을 양쪽에서 지탱해 주는 두 돌기둥을 당간지주라 한다. 이 당간지주는 홍성읍내의 경작지 한가운데에 78㎝ 간격을 두고 마주 서있다. 이 일대는 고려시대의 광경사(廣慶寺)터로 알려져 있고 석탑 및 석불좌상 등이 함께 전하고 있다. 전체적인 형태는 위로 오를수록 가늘어지고 윗쪽에 당간을 고정시키기 위한 홈이 파여있으며 가운데 깃대는 남아있지 않다. .. 2022. 8. 8.
충남 당진 삽교천에서 충남 당진 삽교천에서 가창오리군무 2022.02.13 2022. 8. 8.
충남 홍성 백월산 충남 홍성 백월산 정상에서 바라본 홍성시내 및 코끼리바위 2022.02.13 촬영 2022. 8. 8.
충남 당진 삽교천에서 충남 당진 삽교천에서 가창오리 군무 2022.02.06 촬영 2022. 8. 8.
충남 서천 성북리오층석탑 보물 서천 성북리 오층석탑 (舒川 城北里 五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등록)일 : 1963.01.21 소재지 : 충남 서천군 비인면 성북리 182-1번지 시 대 : 고려시대 지방적인 특색이 강했던 고려시대의 탑으로, 옛 백제 영토에 지어진 다른 탑들처럼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국보)의 양식을 모방하였는데, 특히 가장 충실히 따르고 있다. 바닥돌 위에 올려진 기단(基壇)은 목조건축의 기둥과 벽과 같이 모서리에 기둥을 세우고, 그 기둥 사이를 판판한 돌을 세워 막았다. 탑신(塔身)은 몸돌을 기단에서처럼 기둥과 벽을 따로 마련하여 세워 놓았는데, 각 면의 모습이 위는 좁고 아래는 넓어 사다리꼴을 하고 있다. 몸돌 위로는 지붕돌을 얹기 전에 지붕받침을 2.. 2022. 8. 8.
충남 당진 한진포구 일출 충남 당진 한진포구에 서해대교 2022년 새해일출 2022.01.01 촬영 2022. 6.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