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충남1462

충남 아산 곡교천 일몰 충남 아산 곡교천 일몰 2023.06.03 곡교천 이전글보기 2021.04.28 - [한국의산하/일출및일몰] - 충남 아산 곡교천 야경 충남 아산 곡교천 야경 충남 아산 곡교천 야경 2020.06.11 곡교천 이전글보기 2019.09.10 - [한국의산하/일출및일몰] - 충남 아산 곡교천 야경 충남 아산 곡교천 야경 충남 아산 곡교천 야경 2017.11.30 곡교천 이전글보기 2019/08/2 sajin365.net 2016.01.28 - [한국의산하/일출및일몰] - 충남 아산 곡교천 일몰 충남 아산 곡교천 일몰 충남 아산 곡교천 일몰 2015.08.27 문현준 sajin365.net 2023. 11. 20.
충남 아산 곡교천에서 충남 아산 곡교천에서 2023.06.03 곡교천관련 이전글보기 2023.09.21 - [한국의산하/풍경및생태] - 충남 아산 곡교천 충남 아산 곡교천 충남 아산 곡교천의 가을 2022.11.09촬영 곡교천 이전글보기 2022.08.08 - [한국의산하/풍경및생태] - 충남 아산 곡교천에서 충남 아산 곡교천에서 충남 아산 곡교천에서.. 2022.02.14 문현준의사진속으로 sajin365.net 2022.08.08 - [한국의산하/풍경및생태] - 충남 아산 곡교천에서 충남 아산 곡교천에서 충남 아산 곡교천에서.. 2022.02.14 문현준의사진속으로 sajin365.net 2023. 11. 20.
충남 예산 가야산에서 충남 예산 가야산에서 바라본 모습 2023.06.03 2023. 11. 20.
충남 아산 온천천 어리연 충남 아산 온천천 어리연 2023.06.01 촬영 2023. 11. 17.
충남 예산 수덕사 삼층석탑 및 칠층석탑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수덕사삼층석탑 (修德寺三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등록)일 : 1983.09.29 소재지 : 충청남도 예산군 수덕사안길 79 (덕산면, 수덕사) 수덕사내의 대웅전 앞에 자리한 고려시대 3층 석탑이다. 형태는 2층 기단(基壇) 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올리고 머리장식을 얹은 모습이다. 위·아래층 기단과 탑신의 몸돌에는 기둥 모양을 새겼다. 지붕돌은 밑면에 4단의 받침을 두었고, 네 귀퉁이는 살짝 들려있다. 꼭대기에는는 3층 지붕돌과 한 돌로 만들어진 노반(露盤:머리장식받침)이 있고 그 위로 보륜(寶輪:수레바퀴 모양의 머리장식)과 보개(寶蓋:덮개 모양의 머리장식)가 놓여 머리장식을 하고있다. 1·2층 지붕돌 귀퉁이 일부가 파손되었.. 2023. 11. 16.
충남 예산 김정희선생고택(추사고택)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김정희선생고택 (金正喜先生古宅) 분 류 : 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 주거건축 / 가옥 수량/면적 : 2동 지정(등록)일 : 1976.01.08 소재지 : 충남 예산군 신암면 추사고택로 261 (용궁리) 조선 후기의 대표적인 실학자이며 서예가인 추사 김정희(1786∼1856)의 옛 집이다. 안채와 사랑채 2동짜리 건물로 조선 영조(재위 1724∼1776)의 사위이자 김정희의 증조할아버지인 김한신에 의해 지어진 집이라고 한다. 건물 전체가 동서로 길게 배치되어 있는데, 안채는 서쪽에 있고 사랑채는 안채보다 낮은 동쪽에 따로 있다. 사랑채는 남자주인이 머물면서 손님을 맞이하던 생활공간인데, ㄱ자형으로 남향하고 있다. 각방의 앞면에는 툇마루가 있어 통로로 이용하였다. 안채는 가운데의 안마당.. 2023. 11. 14.
충남 홍성 광경사지삼층석탑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광경사지삼층석탑 (廣景寺址三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면적 : 1구 지정(등록)일 : 1984.05.17 소재지 : 충청남도 홍성군 도청대로 29-21 (홍성읍) 시 대 : 미상 광경사의 옛 터에 당간지주와 함께 남아 있는 3층 석탑으로, 1층 기단(基壇) 위에 3층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이다. 기단은 각 면의 중앙과 모서리마다 기둥을 본 떠 새겼다. 탑신의 각 층 몸돌과 지붕돌은 각각 하나의 돌로 쌓아 올렸는데, 1층 몸돌이 큰것에 비해 2·3층 몸돌의 높이는 급격히 줄어들었다. 지붕돌은 밑면의 받침이 4단씩이며, 네 귀퉁이가 살짝 치켜올라 갔다. 전체적으로 안정된 느낌을 주고 고려시대 작품으로 짐작된다. 자 료 : 국가문화유산포털 한국의석탑 .. 2023. 11. 14.
충남 홍성 고산사 대웅전 보물 홍성 고산사 대웅전 (洪城 高山寺 大雄殿)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불전 수량/면적 : 1동 지정(등록)일 : 1963.09.02 소재지 : 충남 홍성군 결성면 만해로127번길 35-99 (무량리) 시 대 : 조선시대 초기 고산사는 신라말 도선국사가 지었다고 전하지만 건물의 위치와 앞 마당에 있는 석탑들로 미루어 고려시대의 절로 짐작된다. 대웅전은 석가모니 불상을 모신 절의 중심 법당을 가리키는데 이 건물은 ‘대광보전(大光寶殿)’이라 쓴 현판이 걸려있다. 규모는 앞면 3칸·옆면 3칸이며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을 한 팔작지붕이다.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해 지붕 위부분에 장식하여 짜은 구조가 기둥 위에만 있는 주심포 양식인데 밖으로 뻗쳐 나온 부재가 주심포 양.. 2023. 11. 9.
충남 홍성 고산사 삼층석탑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홍성 고산사 삼층석탑 (洪城 高山寺 三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면적 : 1기/1,107㎡ 지정(등록)일 : 2013.04.10 소재지 : 충청남도 홍성군 만해로127번길 35-99 (결성면, 고산사대광보전) 고산사 삼층석탑은 전체적인 외관이나 양식이 통일신라시대나 고려초기처럼 깔끔하고 정교한 치석 수법은 보이지 않지만 전대의 석탑 양식을 충실히 계승하고 있으며 석탑의 규모가 작아지면서 탑신석과 옥개석을 동일석으로 마련하는 경우가 많은데, 고산사 삼층석탑은 규모가 작음에도 탑신석과 옥개석을 별석으로 마련하였음 자 료 : 국가문화유산포털 한국의석탑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홍성 고산사 삼층석탑 2023.04.22 문현준의사진속으로 홍성 고산사삼층석탑 이전.. 2023. 11.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