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충남1478

[충남]논산 쌍계사 대웅전 종 목 : 보물 제408호 명 칭 : 논산 쌍계사 대웅전 (論山 雙溪寺 大雄殿)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불전 수 량 : 1동 지정일 : 1964.09.03 소재지 : 충남 논산시 양촌면 중산길 192, 쌍계사 (중산리) 시 대 : 조선시대 소유자 : 쌍계사 관리자 : 쌍계사 쌍계사는 언제 세웠는지 확실히 알려지지 않았으나 현재 남아있는 유적으로 미루어 보면 고려시대에 세운 것으로 추정된다. 조선 영조 15년(1739)에 세운 비가 남아있어 그 당시 절을 고쳐 지은 것으로 보인다. 절의 중심 법당이라 할 수 있는 대웅전은 건축 형식으로 보면 조선 후기 건물로 1972년 보수공사가 있었고 1973년에 단청을 다시 하였다. 규모는 앞면 5칸·옆면 3칸이며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 2014. 8. 5.
[충남]논산 쌍계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 종 목 :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225호 명 칭 : 논산 쌍계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 (論山 雙溪寺 木造釋迦如來三佛坐像) 분 류 : 유물 / 불교조각/ 목조/ 불상 수 량 : 3구 지정일 : 2013.04.22 소재지 : 충남 논산시 시 대 : 조선시대 소유자 : (소유단체) 관리자 : (관리단체) 문 의 : 충청남도 논산시 문화관광과 041-730-3226 논산 쌍계사의 대웅전은 1738(영조14)년에 재건립 된 건물로서 현재 보물 제 408호로 지정되어 있음. 대웅전에는 석가불을 중심으로 좌우에 약사불과 아미타불로 이루어진 삼세불상이 봉안되어 있으며, 불상 안에서 조성발원문을 비롯한 여러 종류의 경전 및 복장물 등이 출토됨 삼세불상은 가운데 석가불이 좌우 약사불과 아미타불보다 약간 크게 조성되었으며, .. 2014. 8. 5.
[충남]부여 정림사지오층석탑 종 목 : 국보 제9호 명 칭 :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 (扶餘 定林寺址 五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 량 : 1기 지정일 : 1962.12.20 소재지 : 충남 부여군 부여읍 동남리 254 시 대 : 백제 소유자 : 국유 관리자 : 부여군 부여 정림사터에 세워져 있는 석탑으로, 좁고 낮은 1단의 기단(基壇)위에 5층의 탑신(塔身)을 세운 모습이다. 신라와의 연합군으로 백제를 멸망시킨 당나라 장수 소정방이 ‘백제를 정벌한 기념탑’이라는 뜻의 글귀를 이 탑에 남겨놓아, 한때는 ‘평제탑’이라고 잘못 불리어지는 수모를 겪기도 하였다. 기단은 각 면의 가운데와 모서리에 기둥돌을 끼워 놓았고, 탑신부의 각 층 몸돌에는 모서리마다 기둥을 세워놓았는데, 위아래가 좁고 가운데를 볼록하게 .. 2014. 8. 5.
[충남]부여 한국전통문화대학내 석탑 충남 부여 한국전통문화대학내 석탑 2013.08.13문현준 이전글보기2012/03/05 - [한국의석탑/충남권] - [충남]부여 한국전통문화학교삼층석탑2012/03/05 - [한국의석탑/충남권] - [충남]부여 한국전통문화학교오층석탑 2014. 5. 14.
[충남]부여 정림사지오층석탑 종 목 : 국보 제9호 명 칭 :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 (扶餘 定林寺址 五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 량 : 1기 지정일 : 1962.12.20 소재지 : 충남 부여군 부여읍 동남리 254 시 대 : 백제 소유자 : 국유 관리자 : 부여군 부여 정림사터에 세워져 있는 석탑으로, 좁고 낮은 1단의 기단(基壇)위에 5층의 탑신(塔身)을 세운 모습이다. 신라와의 연합군으로 백제를 멸망시킨 당나라 장수 소정방이 ‘백제를 정벌한 기념탑’이라는 뜻의 글귀를 이 탑에 남겨놓아, 한때는 ‘평제탑’이라고 잘못 불리어지는 수모를 겪기도 하였다. 기단은 각 면의 가운데와 모서리에 기둥돌을 끼워 놓았고, 탑신부의 각 층 몸돌에는 모서리마다 기둥을 세워놓았는데, 위아래가 좁고 가운데를 볼록하게 .. 2014. 5. 14.
[충남]부여 세탑리오층석탑 명 칭 : 부여세탑리오층석탑 (扶餘細塔里五層石塔)종 목 :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21호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수량/면적 : 1기/400㎡지정일 : 1973.12.24소재지 : 충남 부여군 초촌면 세탑리 311번지시 대 : 고려시대소유자 : 부여군관리자 : 부여군문 의 : 충청남도 부여군 문화관광과 041-830-2241 탑이 서 있는 터 주변에는 청량사라는 절이 있었다고 하며, 곳곳에 절을 이루는 건물에 쓰였던 돌과 기와조각이 흩어져 있다. 탑의 둘레에 높이 1m 가량의 석축을 쌓아 기단부(基壇部)는 거의 보이지 않아 맨윗돌만 드러나 있고, 그 위에 5층의 탑신(塔身)이 올려져 있다. 탑신의 각 층 몸돌은 모서리마다 기둥모양을 새겼으며, 2층 이상은 1층에 비해 급격히 낮아졌다. 지.. 2014. 5. 14.
[충남]서천 선도리 월하성 여명 충남 서천 선도리 월하성 일몰여명 2013.08.12문현준 2014. 5. 13.
[충남]공주 신원사 대웅전앞 오층석탑 충남 공주 신원사 대웅전앞오층석탑 2013.07.28문현준 이전글보기2011/10/11 - [한국의석탑/충남권] - [충남]공주 신원사 대웅전앞오층석탑 2014. 4. 30.
[충남]공주 신원사의여름 명 칭 : 신원사대웅전 (新元寺大雄殿) 종 목 :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80호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불전 수 량 : 1동 지정일 : 1978.12.30 소재지 : 충남 공주시 계룡면 양화리 8 시 대 : 조선시대 소유자 : 신원사 관리자 : 신원사 문 의 : 충청남도 공주시 문화재과 ☎ 1899-0088 신원사는 계룡산 기슭에 있는 절로 백제 의자왕 11년(651)에 보덕이 처음 지었다고 전한다. 고려와 조선을 거치면서 여러 번 다시 지어졌고, 지금의 대웅전 건물은 조선 고종 13년(1876)에 보연이 지은 것이라고 한다. 앞면 3칸·옆면 3칸의 규모이며, 지붕 옆면이 여덟 팔(八)자 모양인 화려한 팔작지붕집이다. 처마의 끝을 살짝 올려 우아한 멋을 나타내었다. 지붕을 받치면서 장식.. 2014. 4.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