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충남1478

[충남]서천 홍원항일몰 충남 서천 홍원항일몰 2012.05.06 문현준 이전글보기 2011/11/10 - [한국의산하/일출및일몰] - [충남]서천일몰 2011/11/14 - [한국의산하/일출및일몰] - [충남]서천일몰 2011/11/14 - [한국의산하/일출및일몰] - [충남]서천 일몰 2011/11/14 - [한국의산하/일출및일몰] - [충남]서천 일몰 2012. 7. 28.
[충남]아산 회룡리삼층석탑 회룡리삼층석탑 종 목 : 향토유적 지정일 : 2006.03.07 시 대 : 고려시대 위 치 : 충남 아산시 배방읍 회룡리 83-2 회룡리사지내 위치한 석탑으로 현재는 석탑외 다른 구조물을 확인할 수 는 없으나 석탑을 통해 오래전 이곳에 사찰이 존재 했음을 알수있다. 화강석으로 조정한 이 석탑은 기단부.탑신부 그리고 상륜부로 구성되어 있는데, 기단이나 상륜은 본래의 모습은 아닌것으로 추정된다. 잔존하고 있는탑의 높이는 250Cm로 이중 기단부는 95cm 상륜부는 25cm인데 탑신부의 경우 초층의 옥신석이 크고 이외는 상당히 낮게 결구 하였다. 기단은 자연석을 이용 하단의 지대석을 구성 하였고, 그위에 상대 중석은 4매의 판석으로 결구 하여 조성하였으나, 우주나 탱주의 표현을 하지 않고 있다. 상대의 갑석역.. 2012. 7. 28.
[충남]아산 윤정사 오층석탑외 충남 아산시 배방면 회룡리에 있는 사찰. 겨울사진은 지난 2012.01.10 촬영한 사진으로 빛상태가 좋지 않아 올리지 않고 있다가 이번에 함께 .. 2012.05.06 촬영 문현준 2012. 7. 28.
[충남]아산 오봉암삼층석탑 오봉암삼층석탑 대웅전 축대 아래에 세워진 삼층석탑은 별다른 장식없이 담백하고 단아한 모습을 지니고 있다. 지대석과 기단부, 3층의 탑신과 옥개석을 갖추고 있는데, 지대석에는 각 면에 2개씩의 안상이 있고 기단부에는 우주와 탱주가 모각되었다. 그 위의 갑석에는 3단의 탑신 괴임이 조각되어 있으며, 3층의 탑신과 옥개석이 올려져 있다. 위로 올라갈수록 작아진 각 층의 탑신에는 우주가 모각되었고, 옥개석은 3단의 괴임을 가지고 있다. 상륜부는 현재 결실되어 새로 올려놓았으나 작은 크기와 다소 치졸한 모습으로 인해 격에 어울리지 않는다. 고려시대에 조성된 것으로 전체 높이는 250cm이다. 원래 자비원 건물이 있던 곳에 있었는데, 대웅전 건립시 현재의 장소로 이전한 것이다. 자료는 전통사찰종합관광정보에서 충남 .. 2012. 7. 11.
[충남]아산 오봉암 충남 아산시 장존동 산60번지오봉암(五峰庵)은 아산시 장존동 산60번지 설화산(雪華山)에 있는 대한불교조계종 제6교구 본사 마곡사의 말사이다. 아산시의 진산인 설화산은 사화산(死火山)으로 온양온천수의 발원지인데, 크게 다섯 개의 봉우리로 이루어진 것에서부터 오봉(五峰)이라고 이름이 붙여졌다고 한다. 혹은 온양의 옛 읍인 온주(溫州)의 남쪽에 있다고 하여 남산(南山)이라고 불렀다고도 한다. 남산인 설화산이 읍을 진호하고 그 곳에 절을 창건하여 온주의 백성들의 안위를 기원하였을 것이다. 현재 이 절의 구체적 기록은 전혀 발견되지 않아 지금으로서는 사세의 규모나 연혁을 알 수 없다. 다만 경내의 삼층석탑은 경상북도 경주시 암곡동에 있는 보물 제126호 무장사(諪藏寺) 삼층석탑과 양식상 유사하며, 또한 이곳에서.. 2012. 7. 11.
[충남]공주 공산성의봄 충남 공주 공산성의 봄 2012.05.05 문현준 이전글보기 2012/06/14 - [한국의산하/풍경및생태] - [충남]공주 공산성야경 2012. 7. 9.
[충남]천안 만일사오층석탑 종 목 :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254호 명 칭 : 만일사오층석탑 (晩日寺五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 량 : 면적 1기 지정일 : 1984.05.17 소재지 : 충남 천안시 성거읍 천흥리50-2 시 대 : 소유자 : 만일사 관리자 : 만일사 문 의 : 충청남도 천안시 문화관광담당관실 041-521-2034 만일사 영산전 앞에 자리하고 있는 탑으로, 원래는 법당 앞에 있었으나 법당을 새로 보수하면서 이곳으로 옮겨놓았다. 널찍한 바닥돌 위로, 1층의 기단(基壇)을 쌓고, 5층의 탑신(塔身)을 차례로 올려놓은 모습으로, 탑신부의 1층 몸돌은 옮길 때 잘못 놓았는지 거꾸로 놓여 있다. 기단은 4면마다 모서리에 기둥 모양을 새겨놓은 후, 안상(眼象)을 얕게 새겼으며, 맨 윗돌의 밑.. 2012. 7. 8.
[충남]천안 만일사마애불 종 목 :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255호 명 칭 : 만일사마애불 (晩日寺磨崖佛) 분 류 : 유물 / 불교조각/ 석조/ 불상 수 량 : 면적 1구 지정일 : 1984.05.17 소재지 : 충남 천안시 성거읍 천흥리50-2 시 대 : 소유자 : 만일사 관리자 : 만일사 문 의 : 충청남도 천안시 문화관광담당관실 041-521-2034 충청남도 천원군 성거읍 청흥리의 만일사 법당 뒤의 자연암벽에 돋을새김한 마애여래좌상이다. 미완성의 불상이며 마멸이 심해 윤곽을 알아보기 어렵다. 머리 부분은 직사각형이고 얼굴의 윤곽은 거의 알아볼 수 없다. 양 어깨는 거의 수평으로 당당하게 보이며, 양 발을 무릎 위에 올리고 발바닥이 하늘을 향한 자세로 앉아 있다. 불상의 앞부분과 머리 위쪽 양편에 홈이 있는 점으로 보아 보호.. 2012. 7. 8.
[충남]천안 만일사 석불좌상 종 목 :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256호 명 칭 : 만일사석불좌상 (晩日寺石佛坐像) 분 류 : 유물 / 불교조각/ 석조/ 불상 수 량 : 면적 1구 지정일 : 1984.05.17 소재지 : 충남 천안시 성거읍 천흥리50-2 시 대 : 소유자 : 만일사 관리자 : 만일사 문 의 : 충청남도 천안시 문화관광담당관실 041-521-2034 충청남도 천안시 성거읍에 있는 만일사(晩日寺)는 고려 태조 4년(921)에 도선이 지은 사찰로, 석가모니불과 5층 석탑을 만들어 놓았다고 하나 신빙성은 없다. 높이 164㎝의 불상은 관음전 뒤편에 있는 자연동굴 속 암벽에 조각되어 있다. 머리를 잃어버려서 시멘트로 새로 만들었는데 신체에 비해 좀 크게 느껴진다. 깊게 새겨진 옷은 왼쪽 어깨를 감싸고 있으며, 오른손은 무릎 위.. 2012. 7.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