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244 [충북]괴산 각연사 대웅전 종 목 :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126호 명 칭 : 괴산각연사대웅전 (槐山覺淵寺大雄殿)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불전 수 량 :1동 지정일 : 1982.12.17 소재지 : 충북 괴산군 칠성면 태성리38 시 대 소유자 : 각연사 관리자 : 각연사 문 의 : 충청북도 괴산군 문화관광과 043-830-3444 각연사는 신라 법흥왕(재위 514∼540) 때 유일이 세운 절로 지었을 당시의 설화에 의하면 현재의 칠성면 근처에 자리를 잡고 공사를 시작했는데, 갑자기 까마귀 떼가 나타나서 대패밥과 나무 부스러기를 물고 날아가 작은 연못에 떨어뜨렸다고 한다. 유일이 물 속을 들여다보니 불상 하나가 있었음으로 깨달음을 얻어 못을 메우고 절을 지어서 각연사라 하였다 한.. 2014. 11. 18. [충북]제천 경은사 석탑 충북 제천시 경은사 석탑 2013.08.01 문현준 2014. 4. 30. [충북]청원 안심사 대웅전 명 칭 : 청원 안심사 대웅전 (淸原 安心寺 大雄殿) 종 목 : 보물 제664호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불전 수 량 : 1동 지정일 : 1980.06.11 소재지 : 충북 청원군 남이면 사동리 271 안심사 시 대 : 조선시대 소유자 : 안심사 관리자 : 안심사 안심사는 법주사에 딸린 작은 절이다. 통일신라 혜공왕 11년(775)에 진표율사가 지었다고 하는데 편안한 마음으로 제자를 길렀다 해서 안심사라는 이름을 붙였다고 한다. 고려 충숙왕 12년(1325)에 원명국사가 다시 짓고 인조 4년(1626)에 송암대사가 수리하였다고 하며 한말에 고쳐 세워 오늘에 이르고 있다. 지금 있는 대웅전은 확실하게 지은 시기를 알 수는 없지만, 1979년 해체·수리 때 발견한 기와의 기록으로 미루어 조.. 2014. 4. 19. [충북]청원 안심사 세존사리탑 명 칭 : 청원 안심사 세존사리탑 (淸原 安心寺 世尊舍利塔) 종 목 :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27호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 량 : 1기 지정일 :1976.12.21 소재지 : 충북 청원군 남이면 사동리 산47-1 시 대 : 소유자 : 사유 관리자 : 안심사 문 의 : 충청북도 청원군 문화체육과 043-251-3283 안심사는 통일신라 혜공왕 11년(775)에 진표율사가 창건하였다. 절에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에 따르면, 이 세존사리탑은 절을 창건할 당시 진표율사가 직접 조각하여 석가모니의 사리를 봉안해 놓은 것이라 한다. 탑은 바닥돌 위에 매우 높직한 8각 받침돌을 두어 기단(基壇)을 마련하고, 그 위로 길쭉하고 둥근 탑신(塔身)을 올린 후 큼직한 보주(寶珠:꽃봉오리모양의 장식).. 2014. 4. 19. [충북]청원 안심사 극락전 명 칭 : 안심사 비로전 (淸原 安心寺 毘盧殿) 종 목 :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112호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불전 수 량 : 1동 지정일 : 1982.12.17 소재지 : 충북 청원군 남이면 사동리 271 시 대 : 소유자 : 법주사 관리자 : 법주사 문 의 : 충청북도 청원군 문화체육과 043-251-3283 조선 광해군 5년(1613)에 세워진 건물로 조선시대 말기인 헌종 8년(1842)에 고쳤다. 안심사 비로전은 대적광전이라고도 하며 원래는 비로자나불을 모시는 법당이지만 이곳에서는 최근에 나한을 모시고 있다 해서 영산전이라 부르고 있다. 앞면 3칸·옆면 2칸으로 옆면이 사람 인(人)자 모양인 맞배집이다. 기둥 위에서 지붕 처마를 받치는 공포가 기둥 위와 기둥 사이에도 있는 다포.. 2014. 4. 19. [충북]청주 상당산성 명 칭 : 청주 상당산성 (淸州 上黨山城) 종 목 : 사적 제212호 분 류 :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성/ 성곽 면 적 : 704,609㎡ 지정일 : 1970.10.01 소재지 : 충북 청주시 상당구 성내로124번길 14 (산성동) 시 대 : 조선시대 소유자 : 국유 관리자 : 청주시 상당산 계곡을 둘러 돌로 쌓아 만든 산성으로 백제 때 부터 이미 이곳에 토성이 있었던 것으로 짐작되는 곳이다. 『삼국사기』에는 통일신라 초기에 김유신의 셋째 아들이 서원술성을 쌓았다는 기록이 있는데 이때 쌓여진 것이 아닌가 추측되기도 한다. 상당이란 이름은 백제 때 청주목을 상당현이라 부르던 것에서 유래한 것이다. 지금의 성은 임진왜란 때에 일부 고쳤으며 숙종 42년(1716)에 돌성으로 다시 쌓은 것이다. 성벽은 네모.. 2014. 4. 19. [충북]청주 보살사 오층석탑 명 칭 : 청주 보살사 오층석탑 (淸州 菩薩寺 五層石塔) 종 목 :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65호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 량 : 1기 지정일 : 1980.11.13 소재지 : 충북 청주시 상당구 용암동 7 시 대 : 보살사 관리자 : 보살사 문 의 : 충청북도 청주시 문화관광과 043-200-2218 보살사는 청주 근교에서 가장 오래된 사찰로, 신라 진흥왕 28년(567)에 의신이 창건하였다. 보살사 극락보전 앞에 자리한 이 탑은 1층 기단(基壇) 위에 5층의 탑신(塔身)을 올리고 머리장식을 갖춘 모습이다. 기단은 3단의 괴임돌을 크기를 줄여 쌓아올린 모습이다. 맨윗돌의 괴임 윗면에는 아래로 향한 8잎의 연꽃무늬를 조각해 놓아 통일신라 후기나 고려의 석탑양식이 엿보인다. 탑신부는.. 2014. 4. 19. [충북]청주 보살사 극락보전 명 칭 : 청주 보살사 극락보전 (淸州 菩薩寺 極樂寶殿) 종 목 :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56호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불전 수 량 : 1동 지정일 : 1980.01.09 소재지 : 충북 청주시 상당구 용암동 7 시 대 : 보살사 관리자 : 보살사 문 의 : 충청북도 청주시 문화관광과 043-200-2218 보살사는 신라 진흥왕 28년(567)에 의신이 처음 지었으며, 청주 근교에서 가장 오래된 유서 깊은 절이다. 아미타불을 모신 극락보전은 조선 초기에 지은 것으로 선조(재위 1567∼1608) 때 수리하였으며, 고종 9년(1872)에 다시 지었다. 앞면 3칸·옆면 2칸의 규모이며, 지붕 옆면이 사람 인(人)자 모양인 소박한 맞배지붕집이다. 지붕 처마를 받치면서 장식을 겸하는 공포는 .. 2014. 4. 19. [충북]청주 보살사 석조이불병립상 명 칭 : 청주 보살사 석조이불병립상 (淸州 菩薩寺 石造二佛竝立像) 종 목 :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24호 분 류 : 유물 / 불교조각/ 석조/ 보살상 수 량 : 2구 지정일 : 1976.12.21 소재지 : 충북 청주시 상당구 용암동 7 시 대 : 보살사 관리자 : 보살사 문 의 : 충청북도 청주시 문화관광과 043-200-2218 커다란 판석에 두 불상을 나란히 돋을새김 하였는데, 하나의 광배(光背)에 두 불상을 새긴 이른바 일광이불상(一光二佛像)으로 두 불상은 크기와 양식이 비슷하며 귀여운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갸름하고 고운 어린아이같은 얼굴에 천진스러운 미소를 짓고 있으며 신체에는 부드러운 굴곡이 잘 표현되었다. 양 어깨를 감싸고 있는 간략한 옷차림과 좌우로 엇바뀐 두 손의 표현 등에서 불상의 .. 2014. 4. 19. 이전 1 ··· 10 11 12 13 14 15 16 ··· 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