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문화유산550 충남 예산 덕산향교 충청남도 기념물 덕산향교 (德山鄕校) 분 류 : 유적건조물 / 교육문화 / 교육기관 / 향교 수량/면적 : 2,110㎡ 지정(등록)일 1997.12.23 소재지 : 충남 예산군 덕산면 덕산향교길 88-34 (사동리) 향교는 공자와 여러 성현께 제사를 지내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해 나라에서 세운 교육기관이다. 덕산향교를 처음 지은 정확한 연대는 알 수 없으나, 조선 인조(재위 1623∼1649) 때 세운 것으로 전한다. 대성전은 숙종 8년(1682)에 수리하였다는 기록이 있으며 1987년에 다시 한번 보수했다. 건물 배치는 외삼문 없이 앞쪽에 바로 교육 공간인 명륜당이 있고, 뒤쪽에 제사 공간인 대성전이 있어 전학후묘의 형태를 따르고 있다. 대성전은 앞면 3칸·옆면 3칸 규모로, 지붕은 옆면에서 .. 2025. 7. 29. 충남 예산 대흥동헌 충청남도 유형문화유산 예산대흥동헌및아문 (禮山大興東軒및衙門) 분 류 :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 궁궐·관아 / 관아 수량/면적 : 2동 지정(등록)일 : 2003.10.30 소재지 : 충남 예산군 대흥면 동서리 106-1번지 시 대 : 조선 태종 7년(1407) 대흥동헌은 조선 초인 태종 7년(1407)에 창건되었고, 1914년에 대흥면사무소로 개조하여 사용되다가 1979년 해체복원 정비되었다. 대흥동헌은 기본 구조가 잘 남아 있고, 예산지역에 현존하고 있는 유일한 관아건물이며 1405년에 건립된 대흥향교와 함께 대흥지역의 역사를 증명하는 건축물로서 역사적·건축학적 보존가치가 있다 자료 : 국가유산포털 충청남도 유형문화유산예산대흥동헌및아문 2025.04.13대흥동헌 이전글보기2024.10... 2025. 7. 29. 전북 정읍 망제동석불입상 전북특별자치도 유형문화유산 망제동석불입상 (望帝洞石佛立像) 분 류 : 유물 / 불교조각 / 석조 / 불상 수량/면적 : 1구 지정(등록)일 : 1985.08.16 소재지 : 전북 정읍시 망제동 산75-1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망제동에 있는 돌로 된 입불상이다. 머리에는 마치 갓과 같은 테가 큰 모자를 쓰고 있어 유교적인 성격이 가미되었음을 알 수 있다. 어깨는 다소 움츠린 모습이며, 턱 밑에는 U자형의 옷주름이 있다. 배 아래에서는 옷주름이 V자형으로 처리되었고, 손목 아래에는 3줄의 평행선이 내려지고 있다. 오른손은 어깨 높이로 들어 손바닥을 보이며 손끝은 위를 향하고 있다. 왼손은 마찬가지로 손바닥을 보이는데 손끝이 땅을 향하고 있다. 얼굴 표현과 손 표현에 노력이 집중된 불상으로 민속적인 특색을.. 2025. 6. 29. 충남 부여 정림사지 석조여래좌상 보물 부여 정림사지 석조여래좌상 (扶餘 定林寺址 石造如來坐像) 분 류 : 유물 / 불교조각 / 석조 / 불상 수량/면적 : 1구 지정(등록)일 1963.01.21 소재지 : 충남 부여군 부여읍 동남리 254번지 시 대 : 고려시대 충청남도 부여의 정림사지에 남아 있는 석조불상으로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국보)와 남북으로 마주보고 있다. 정림사는 6세기 중엽에 처음 창건되어 백제 멸망 때까지 번창하였던 사찰로 고려시대에 다시 번창했던 것으로 추정되는데, 이 석불상은 고려 때의 번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지금의 머리와 보관은 제작 당시의 것이 아니라, 후대에 다시 만들어 얹은 것으로 보인다. 신체는 극심한 파괴와 마멸로 형체만 겨우 남아 있어 세부적인 양식과 수법을 알아보기 어렵지만, 어깨가 밋밋하게 내려.. 2025. 6. 12. 충북 충주 탄금대 명승 충주 탄금대 (忠州 彈琴臺) 분 류 : 자연유산 / 명승 / 자연경관 수량/면적 : 289,492㎡ 지정(등록)일 : 2008.07.09 소재지 : 충북 충주시 칠금동 산1-1번지 등 충주 탄금대는 우리나라 3대 악성 중 하나인 우륵이 가야금을 연주하던 곳이라 하여 탄금대란 명칭이 붙은 곳이며 임진왜란 때 신립장군이 소서행장과 맞서 싸우다 패전하자 투신한 곳으로 역사적 가치가 큰 명소이다. 남한강이 절벽을 따라 휘감아 돌고 울창한 송림이 우거져 있어 경관이 아름답고, 대에서 조망되는 남한강과 계명산, 남산 및 충주 시가지와 넓은 평야지대가 그림같이 펼쳐져 절경을 자아내고 있는 곳이다. 자료 : 국가유산포털 명승 충주 탄금대 2024.11.24 2025. 6. 12. 충북 충주 김생사지 충청북도 기념물 충주 김생사지 (忠州 金生寺址)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사찰 수량/면적 : 1곽 지정(등록)일 : 2000.12.22 소재지 : 충북 충주시 금가면 김생로 325 (유송리) 시 대 " 통일신라시대 김생사지는 신라의 명필인 김생(711∼791)이 만년에 창건한 사찰터이다. 김생은 성덕왕 10년(711)에 가난하고 미천한 가문에서 태어나 어려서부터 글씨에 능하였고 원성왕 7년(791) 80세까지 붓잡기를 쉬지 않았다. 이 사지는 주변에 장대석이 많고 석탑재와 기와조각, 도자기조각이 산재해 있어 이곳을 ‘와당밭’이라고 일컫을 정도로 와전류(瓦塼類)가 많이 출토되었다. 김생사지는 『수산집』의 김생사중수기(金生寺重修記)와 『신증동국여지승람』의 기록을 통하여 북진애(北.. 2025. 6. 12. 충남 부여 홍산객사 및 홍산만덕교비 충청남도 유형문화유산 홍산객사 (鴻山客舍) 분 류 :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 궁궐·관아 / 관아 수량/면적 : 1동 지정(등록)일 : 1982.08.03 소재지 : 충남 부여군 홍산면 북촌로 47 (북촌리) 국가유산 설명 조선 헌종 2년(1836) 홍산군에 세운 객사 건물이다. 객사는 국왕의 전패를 모시고 초하루와 보름에 망궐례를 올리는 한편 왕명을 받들고 내려오는 중앙관리를 접대하고 유숙시키던 곳이다. 중앙에 정당이 있고 양쪽에 익실이 있다. 정당은 앞면 3칸·옆면 3칸의 규모이며, 지붕 옆면이 사람 인(人)자 모양인 맞배지붕집이다. 앞면은 문짝없이 트였고 옆면과 뒷면은 벽을 둘러 막았다. 내부는 통칸으로 트인 넓은 대청마루이다. 앞면 5칸·옆면 2칸의 동익실은 앞면은 개방하여 툇마루를 놓았고 .. 2025. 6. 9. 충북 괴산 원풍리 마애이불병좌상 보물 괴산 원풍리 마애이불병좌상 (槐山 院豊里 磨崖二佛並坐像) 분 류 : 유물 / 불교조각 / 석조 / 불상 수량/면적 : 2구 지정일 : 1963.01.21 소재지 : 충북 괴산군 연풍면 원풍리 산124-2번지 시 대 : 고려시대 높이가 12m나 되는 큰 암석을 우묵하게 파고, 두 불상을 나란히 배치한 마애불로서 우리나라에서는 드문 예이다. 둥근 얼굴에 가늘고 긴 눈, 넓적한 입 등 얼굴 전반에 미소가 번지고 있어 완강하면서도 한결 자비로운 느낌을 준다. 반듯한 어깨, 평평한 가슴 등 신체의 표현은 몸의 굴곡이 거의 드러나지 않고 형식화되었다. 옷은 양 어깨를 감싸고 있으며 옷주름은 무딘 선으로 형식적으로 표현하였다. 몸에서 나오는 빛을 상징하는 광배(光背)에는 작은 부처가 새겨져 있으나, 세부.. 2024. 11. 25. 충남 아산 용화사 미륵불 용화사 미륵불 향토문화유산 (2006.03.07지정) 미륵불은 석가모니가 열반하위 56억7000만 년이 지나면 사바세계에 출현하는 부처님이다. 이 불상은 통견의 불의를 입고 있고 목에는 삼도가, 머리에는 육계가 표현되어 있는데, 이는 통일신라 말기의 작품으로 추정된다. 불상의 표정에는 위엄이 있고, 옷 주름도 정형화되어 있지만, 손가락이나 팔 등은 자연스러운 아름다움을 보여주고 있다. 오른쪽 귀의 무늬와 왼쪽 어깨의 주름, 등의 조각 흔적 등으로 미루어 볼 때, 조각 도중에 머리 부분을 떼어 몸통 위제 돌려 앉힌 걱으로 추정된다. 이 불상은 나라에 큰 위험이나 애환이 닥치면 미리 검은 눈물을 흘려 예견 한다고 한다. 또한 지역 주민들에게는 소원을 이루어 주는 불상으로 알려져 있다. 지금의 용화사는 덤.. 2024. 11. 21. 이전 1 2 3 4 ··· 6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