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문화유산550 제주 용두암 제주특별자치도 기념물 용연·용두암 (龍淵·龍頭岩) 분 류 : 자연유산 / 천연기념물 / 지구과학기념물 / 지질지형 수량/면적 : 6필지 지정일 : 2001.03.07 소재지 : 제주 제주시 용담1동 2581-4번지 등 제주도 서쪽에 위치한 용연과 그 주변 해안가에 있는 용암이다. 용연은 작은 연못과 같은 소(沼)를 말하는데, 취병담 또는 용추라고도 불린다. 조선시대 지방관리와 유배된 사람들이 풍류를 즐겼던 곳으로 특히 밤 경취가 매우 아름다워 뱃놀이를 하였다고 한다. 용두암은 약 50∼60만년 전의 용암류로 구성된 층으로 추정되는데, 밖으로 드러난 암석이 모두 붉은색의 현무암질로 되어 있다. 이 용두암은 용암이 위로 뿜어 올라가면서 만들어진 것으로 관찰되고 있어 지질학적으로 연구 가치가 있는 귀중한 .. 2024. 8. 1. 제주 서귀포 협자연대 제주특별자치도 기념물 협자연대 (俠子煙臺) 분 류 : 유적건조물 / 교통통신 / 통신 / 봉수 수량/면적 : 기 지정일 : 1973.04.03 소 재 지 제주 서귀포시 성산읍 섭지코지로 261 (고성리) 연대란 옛 군사적 통신수단으로 적의 침입이나 위급한 일이 일어났을 때, 낮에는 연기를 피우고 밤에는 횃불을 사용하여 인근 마을이나 군대가 있는 곳에 빠르게 연락하던 시설이다. 봉수대와 차이점이 있다면 연대는 해변 가까운 높은 지대에 설치하는 반면 봉수대는 산 정상에 위치한다는 점이다. 수산진에 소속된 협자연대는 해안 절벽과 푸른바다, 선돌바위같은 주변경관이 뛰어난 곳에 자리잡고 있다. 이 연대는 옛 모습이 잘 남아 있으며, 연대 위에는 화덕자리도 남아 있다. 높이 3.1m의 이 연대는 북쪽으로는 오소.. 2024. 8. 1. 충남 당진 신리다블뤼주교유적지 충청남도 기념물 당진신리다블뤼주교유적지 (唐津新里다블뤼主敎遺蹟址)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천주교 / 부속건물 수량/면적 : 1554 지정일 : 2008.12.22 소재지 : 충청남도 당진시 신리1길 44 (합덕읍) 내포 교회의 초기 공소가 있었던 곳으로, 병인박해 때 다블뤼 주교, 오메트르 신부, 위앵 신부, 황석두 등이 체포되어 순교한 곳으로 손자손을 비롯한 천주교의 성인 5명이 관련된 유적이다. 다블뤼 주교는 제5대 조선교구장으로 신리공소는 실질적인 조선교구청이었던 셈이다. 공소 건물은 원래 손자손의 생가로 보수공사 때 확인된 건축연대는 1815년인데, 1964년 새롭게 복원되었다. 병인박해 때 순교한 32인의 순교자가 안장되어 있다. 최근 천주교단의 정비사업이 활발하게 진행되면서 .. 2024. 7. 31. 충남 예산 보덕사 석등 충청남도 문화유산자료 보덕사석등 (報德寺石燈)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석등 수량/면적 : 1기 지정(등록)일 1984.05.17 소재지 : 충남 예산군 덕산면 상가리 227번지 보덕사 내에 남아 있는 석등으로, 거의 절반이 없어진 상태이다. 일반적으로 석등은 등불을 밝혀두는 화사석(火舍石)을 중심으로, 아래로는 3단의 받침을 두고 위로는 지붕돌을 올려놓는데, 이 석등은 현재 화사석과 1단의 받침돌, 지붕돌만 남아있다. 8각을 이루는 화사석은 4곳에 불빛이 새어나오도록 창을 내고, 나머지 4면에는 4천왕상(四天王像)을 정교하게 새겨 놓았다. 지붕돌은 심하게 닳아 옛 모습을 찾기가 힘든 상태이며, 꼭대기에는 둥근 돌이 솟아 머리장식을 하고 있다. 보덕사는 조선시대 후기인 고종 2년.. 2024. 7. 31. 전남 신안 흑산 진리성황당 전남 신안 흑산 진리성황당2023.08.22 2024. 7. 30. 충북 옥천 용암사 마애여래입상 충청북도 유형문화유산 옥천 용암사 마애여래입상 (沃川 龍岩寺 磨崖如來立像) 분 류 : 유물 / 불교조각 / 석조 / 불상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76.12.21 소재지 : 충북 옥천군 옥천읍 삼청리 산51-1번지 신라 진흥왕 13년(552)에 창건한 용암사에 있는 마애불로 방 모양으로 암벽을 파고 그 안에 불상을 도드라지게 새겼는데, 붉은 바위색이 퍽 인상적인 작품이다. 사찰에서는 마의태자상이라고 하는데 마의태자를 추모하였던 신라 도공의 후손이 염불하는 태자의 모습을 그리워하며 미륵불을 조각하였다고 한다. 이 마애불은 영험이 있어 기도하면 이루어지지 않는 것이 없다고 전한다. 발을 좌우로 벌리고 연꽃대좌 위에 서 있으며, 가늘고 긴 눈, 작은 입, 가는 코 등이 묘사된 얼굴에는 파격적인 미소.. 2024. 7. 30. 충북 옥천 용암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충청북도 유형문화유산 옥천 용암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沃川 龍巖寺 木造阿彌陀如來坐像) 분 류 : 유물 / 불교조각 / 목조 / 불상 수량/면적 : 1구 지정일 : 1998.11.20 소재지 : 충북 옥천군 옥천읍 삼청2길 400 (삼청리) 용암사는 충청북도 옥천군 옥천읍 장령산에 있는 사찰로, 법주사의 말사(末寺)이다. 용처럼 생긴 바위가 있어서 용암사라고 이름지었으나, 일제시대 일본인에 의해 용바위가 파괴되어 현재는 그 흔적만이 남아 있다. 대웅전 안에는 불상과 5종의 탱화(幀畵)가 보관되어 있다. 현재 이 대웅전에 모셔져 있는 목조불상은 이전의 연혁이 알려지지 않고 있다. 1880년 불상을 열어 보았을 때 속에서 ‘순치 8년 신묘년(효종 2년, 1651)’에 만들어진 다라니경이 발견되었다. 이로 인.. 2024. 7. 30. 충북 증평 남하리사지 마애불상군 충청북도 유형문화유산 증평 남하리사지 마애불상군 분 류 : 유물 / 불교조각 / 석조 / 불상 수량/면적 : 5구 지정일 : 1998.12.31 소재지 : 충북 증평군 증평읍 남하리 35-2번지 충청북도 증평군 증평읍 남대산을 배경으로 동향한 기슭에 남하리사 절터가 있다. 이 절터 근처 암벽의 3면에 모두 5구의 불·보살상이 조각되어 있다. 중앙에 본존불과 좌우에 보살을 조각한 1면이 있고 그 암반의 북면에 여래입상이 별도로 새겨졌다. 삼존불이 있는 바위의 남쪽 앞 정면 삼각형의 바위에는 한쪽 다리만 올리고 생각하는 자세로 앉아 있는 반가사유상이 조각되어 있다. 마애불상군의 전체 높이는 1.14∼2.98m이며, 본존불의 높이는 2.98m, 여래입상의 높이는 2.53m, 반가사유상의 높이는 2.53m이.. 2024. 7. 30. 전남 고흥 흥양현읍성 전라남도 기념물 흥양현읍성 (興陽縣邑城) 분 류 :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 성 / 성곽 수량/면적 : 일원 지정일 :1978.09.22 소재지 : 전남 고흥군 고흥읍 옥하리 145-4번지 읍성이란 군이나 현의 주민을 보호하고, 군사적·행정적인 기능을 함께하는 성을 말한다. 전라남도 고흥군 고흥읍 옥하리에 있는 이 읍성은 뒷쪽에 주월산을 끼고 쌓은 성이다. 평지에 읍성을 만드는 것은 조선 전기부터 나타나기 시작한다. 이 성은 왜구의 침입을 막기 위해 조선 태조 4년(1395) 광양현에 진을 설치한 것으로 보아 이 시기에 만든 것이라 여겨진다. 고종 8년(1871)에 크게 고쳐 쌓았던 것으로 보이는데, 원래는 여장(성 위에 쌓은 낮은 담), 곡성(성문을 보호하기 위해 성문 밖으로 쌓은 작은 성)이 있었다.. 2023. 12. 5. 이전 1 2 3 4 5 6 7 ··· 6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