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문화유산550 전남 영광 단주리 당간지주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영광단주리당간지주 (靈光丹朱里幢竿支柱)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당간 수량/면적 : 1기 지정(등록)일 : 1987.06.01 소재지 : 전남 영광군 영광읍 단주리 306-5번지 문화재 설명 당간지주는 사찰 입구에 설치하는 것으로, 절에 행사나 의식이 있을 때면 이곳에 당이라는 깃발을 걸게 되는데, 이 깃발을 매달아 두는 길쭉한 장대를 당간이라 하고, 당간을 양쪽에서 지탱해주는 두 돌기둥을 당간지주라 한다. 이 당간은 원래 높이가 12m나 되는 거대한 것이었다고 전한다. 1945년 태풍으로 윗부분이 부러져 쇠고리로 붙였으나, 부러진 부분이 없어지고 지금은 붙였던 흔적만 남아있다. 당간지주는 간결한 형태로 기둥 맨 윗부분은 모서리를 깍아 둥글게 처리하였다. 기둥 사.. 2022. 8. 9. 충남 홍성 오관리당간지주 보물 홍성 오관리 당간지주 (洪城 五官里 幢竿支柱)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당간 수량/면적 : 1기 지정(등록)일 : 1971.07.07 소재지 : 충남 홍성군 홍성읍 오관리 297-15번지 시 대 :고려시대 중기 절에서는 불교의식이 있을 때 사찰 입구에 당(幢)이라는 깃발을 달아 두는데, 이 깃발을 다는 장대를 당간(幢竿)이라 하며, 당간을 양쪽에서 지탱해 주는 두 돌기둥을 당간지주라 한다. 이 당간지주는 홍성읍내의 경작지 한가운데에 78㎝ 간격을 두고 마주 서있다. 이 일대는 고려시대의 광경사(廣慶寺)터로 알려져 있고 석탑 및 석불좌상 등이 함께 전하고 있다. 전체적인 형태는 위로 오를수록 가늘어지고 윗쪽에 당간을 고정시키기 위한 홈이 파여있으며 가운데 깃대는 남아있지 않다. .. 2022. 8. 8. 충남 예산 오추리고택 국가민속문화재 예산 오추리 고택 (禮山 梧楸里 古宅) 분 류 : 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 주거건축 / 가옥 수량/면적 : 필지/820㎡ 지정(등록)일 : 1984.12.24 소재지 : 충남 예산군 고덕면 지곡오추길 133-62 (오추리) 시 대 : 조선시대 ( 19세기 ) 안내판설명 국가민속문화재 제191호 충청남도 예산군 고덕면 오추리586 오추리 고택은 19세기 초에 지은 것으로 보이는 초가집이다. 이 집은 뒤로 산이 아늑하게 감싸고, 앞으로 넓은 들판이 펼쳐진 곳에 동남쪽을 향하여 자리를 잡고 있다. 안마당을 중심으로 안채와 사랑채가 나란히 배치되어 있고, 곳간채와 부엌, 광(창고) 등이 왼쪽과 오른쪽을 감싸고 있어 전체적으로 튼 ‘ㅁ’자 모양을 하고 있다. 본채와 별도로 헛간채와 화장실이 있다... 2022. 6. 10. 충남 서산 보원사지법인국사탑비외 서산 보원사지 법인국사탑비 (瑞山 普願寺址 法印國師塔碑) 분 류 : 기록유산 / 서각류/ 금석각류/ 비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63.01.21 소재지 : 충남 서산시 운산면 용현리 119-2번지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국유 관리자 : 서산시 보원사는 고란사라고도 하며, 이 절에 관한 역사는 알려지지 않고 있으나, 주변에 담아있는 유물들을 볼 때 규모가 큰 사찰이었음을 알 수 있다. 비받침인 귀부(龜趺)는 거북모양이나, 머리는 여의주를 물고 있는 용의 모습으로, 목은 앞으로 빼고 콧수염은 뒤로 돌아 있으며 눈은 크게 튀어 나와 있다. 등 위에는 3단받침을 하고 비를 얹었으며, 비머리는 네 귀퉁이에서 안쪽을 바라보는 용을 새기고, 앞·뒷면에는 구름무늬를 조각하였다. 비문에 의하면, 법인국사.. 2022. 6. 9. 충남 예산 대흥동헌및아문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예산대흥동헌및아문 (禮山大興東軒및衙門) 분 류 :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 궁궐·관아 / 관아 수량/면적 : 2동 지정(등록)일 : 2003.10.30 소재지 : 충남 예산군 대흥면 동서리 106-1번지 시 대 : 조선 태종 7년(1407) 대흥동헌은 조선 초인 태종 7년(1407)에 창건되었고, 1914년에 대흥면사무소로 개조하여 사용되다가 1979년 해체복원 정비되었다. 대흥동헌은 기본 구조가 잘 남아 있고, 예산지역에 현존하고 있는 유일한 관아건물이며 1405년에 건립된 대흥향교와 함께 대흥지역의 역사를 증명하는 건축물로서 역사적·건축학적 보존가치가 있다. 자료 : 국가문화유산포털 한국의문화유산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예산대흥동헌및아문 2021.12.12 촬영 대흥동헌 이전글보기 .. 2022. 6. 9. 충남 천안 만일사 마애불 및 석불좌상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만일사마애불(晩日寺磨崖佛) 분 류 : 유물 / 불교조각 / 석조 / 불상 수량/면적 : 1구 지정(등록)일 : 1984.05.17 소재지 : 충남 천안시 서북구 성거읍 천흥리 산50-2번지 충청남도 천원군 성거읍 청흥리의 만일사 법당 뒤의 자연암벽에 돋을새김한 마애여래좌상이다. 미완성의 불상이며 마멸이 심해 윤곽을 알아보기 어렵다. 머리 부분은 직사각형이고 얼굴의 윤곽은 거의 알아볼 수 없다. 양 어깨는 거의 수평으로 당당하게 보이며, 양 발을 무릎 위에 올리고 발바닥이 하늘을 향한 자세로 앉아 있다. 불상의 앞부분과 머리 위쪽 양편에 홈이 있는 점으로 보아 보호각을 설치했던 것 같다. 주변의 유물과 석탑 등으로 보아 고려시대에 만들어진 불상으로 추정된다. 바위에 새긴 불상 중 앉아있.. 2022. 2. 15. 전북 익산 고도리석조여래입상 보물 익산 고도리 석조여래입상 (益山 古都里 石造如來立像) 분 류 : 유물 / 불교조각 / 석조 / 불상 수량/면적 : 2구 지정(등록)일 : 1963.01.21 소재지 : 전북 익산시 금마면 동고도리 400-2 , 1086번지 시 대 : 고려시대 자 료 : 국가문화유산포털 약 200m의 거리를 사이에 두고 마주 서 있는 2구의 석상으로, 사다리꼴 모양의 돌기둥에 얼굴, 손, 대좌 등이 표현되어 있다. 이 불상에 얽힌 전설에 의하면 음력 12월에 두 불상이 만나 1년 동안의 회포를 풀고 새벽닭 우는 소리를 듣고 제자리로 돌아가는 남녀상이라고 한다. 머리에는 4각형의 높은 관(冠) 위에 다시 4각형의 갓을 쓰고 있다. 4각형의 얼굴에는 가는 눈, 짧은 코, 작은 입이 간신히 표현되어 있는데, 토속적인 수호.. 2022. 1. 17. 충북 청주 정북동토성 사적 : 충북 청주 정북동토성 분 류 :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 성 / 성곽 수량/면적 : 91,936㎡ 지정(등록)일 : 1999.10.28 소재지 : 충북 청주시 상당구 정북동 351-1번지 시 대 : 후삼국시대 미호천변 평야의 중심에 있는 평지에 흙으로 쌓은 성이다. 만든 시기는 알 수 없으나, 『상당산성고금사적기』에 궁예가 상당산성을 쌓아 도읍을 삼았는데, 견훤이 산성을 빼앗아 정북동 토성으로 짐작되는 토성을 쌓았다는 기록이 있어, 후삼국 쟁란기인 9세기 후반에서 10세기 전반에 이루어졌다고 보기도 한다. 하지만 출토된 유물과 성의 위치, 주변 여건이 초기 성곽시설의 모습을 보이고 있어 더 오래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성의 길이는 675m이고 높이 3.5m, 폭은 8∼13m 정도 된다. 성안에서.. 2021. 12. 29. 충북 단양 고수동굴 천연기념물 단양 고수동굴 (丹陽 古藪洞窟) 분 류 : 자연유산 / 천연기념물 / 지구과학기념물 / 천연동굴 수량/면적 : 61,784㎡ 지정(등록)일 : 1976.09.24 소재지 : 충북 단양군 단양읍 고수리 산4-2번지 외 시 대 : 고생대 단양 고수리 동굴은 남한강 상류 충주호반의 단양읍 금곡천 냇가에 있다. 총길이는 1,200m이나 현재 공개하여 관광코스로 이용하고 있는 구간은 600m 이며, 안쪽의 나머지 지역은 동굴 환경을 보존하기 위하여 출입통제 구역으로 설정되어 있다. 동굴 내부에는 동굴의 수호신이라고 할 수 있는 사자바위를 비롯하여, 웅장한 폭포를 이루는 종유석, 선녀탕이라 불리는 물 웅덩이, 7m 길이의 고드름처럼 생긴 종유석, 땅에서 돌출되어 올라온 석순, 석순과 종유석이 만나 기둥을.. 2021. 9. 29. 이전 1 ··· 4 5 6 7 8 9 10 ··· 62 다음